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PAM(폴리아크릴아미드)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톈진무역관
  • 2025-05-22
  • 출처 : KOTRA

2024년 중국의 對韓 PAM 수입금액 전년比 17% 상승

중국 수처리 시장 지속 확대, 반도체·배터리 등 수요처 주목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품명

HS Code

이미지

 폴리 아크릴 아미드

(Polyacrylamide,

PAM)

3906.90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3e33c2f46.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5pixel, 세로 606pixel

[자료: 알리바바(1688.com)]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이하 PAM)는 수용성 합성 폴리머의 일종으로,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단위체가 중합된 고분자 화합물이다. PAM은 비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PAMN), 음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APAM),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CPAM) 등으로 구분된다. 2024년 기준 음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APAM)는 중국 시장에서 가장 높은 수요를 보이는 유형으로, 전체 시장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PAM 시장 동향: '24년 수처리 산업 발전에 따라 시장 규모 확대

 

2024년 들어 중국 PAM 산업은 환경 규제 강화와 수처리 수요 증가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PAM은 폐수 처리(전체의 약 43%, 침전제 또는 응집제로서 중금속 제거 및 고형물 분리), 석유(27%, 유정 굴착 시 드릴링 유체의 점도 조절제), 제지·섬유(15%, 종이 경화제 또는 섬유 가공 보조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중국 정부는 202312월 발표한 하수처리 오염저감 및 탄소저감 시너지 효과 추진에 관한 실시 의견(关于推进污水处理减污降碳协同增效的实施意见)을 통해, 2025년까지 수자원과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100개의 녹색 저탄소 하수처리 표준 공장을 건설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에 따라 관련 장비와 제품 시장이 확대되기 시작했다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국 PAM 시장 규모는 약 152억 위안으로 집계됐으며, 2024PAM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2% 성장한 170억 위안을 기록했다.

 

<중국 PAM 시장 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3e33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18pixel, 세로 334pixel

[자료: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2025년 들어 광미(채굴 작업 중 발생하는 폐기물) 처리 및 토양 복원 분야에서 PAM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PAM 기반 고효율 응집제는 금속 광미 폐기물의 입자 침전을 가속화하고 고액 분리 효율을 높이며, 광미수의 재사용률을 최대 50%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PAM의 흡착 및 킬레이트화 작용을 통해 토양 내 크로뮴(Cr), (Pb) 등 중금속의 생체이용률을 낮출 수 있다. 농경지의 경사지에 PAM 용액을 살포하면 토양 침식을 50% 이상 감소시키고, 토양의 수분 보유 기간을 2~3일 연장할 수 있다. , PAM을 가교제로 활용하면 3D 프린팅 소재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복잡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DNGH(이중 메쉬 미립자 하이드로겔) 생산도 가능하다.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은 향후 광미 처리, 토양 복원, 3D 프린팅 시장이 PAM 수요를 견인해 전체 산업 규모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PAM으로 만든 3D 프린팅 재료 DNGH(이중 메쉬 미립자 하이드로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3e33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98pixel, 세로 410pixel

[자료: 알리바바(1688.com)]

  

경쟁 동향 및 기업 현황: 글로벌 기업의 기술 우위, 특수 산업용 제품은 여전히 수입 의존

 

중국 PAM 시장에서 외국 브랜드는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며, 중국 로컬 생산업체들은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중저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바스프(BASF), SNF와 같은 외국계 기업은 분자량 정밀 제어 기술(오차율 0.5% 이하)을 바탕으로, 유전(Oilfield)용 초고분자량 PAM(분자량 2000만 이상) 시장에서 8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 제품은 고온·고염 환경에서 중국산 제품보다 점도 유지율이 30%가량 높다. 바스프를 비롯한 외국계 기업들은 중국 내에 고품질 PAM 생산기지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나, 반도체 등급 PAM과 같은 첨단 제품은 여전히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한편, 허난롱위(河南龙宇)와 산둥바오머(山东宝莫)와 같은 현지 기업은 양이온성 PAM의 톤당 가격을 최대 8만 위안까지 낮추면서 공공부문 하수 처리 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다.

 

<중국 주요 PAM 브랜드 현황>

기업/브랜드

국적

개요

주요제품

바스프

(BASF)

독일

1865년 독일에서 설립된 글로벌 화학기업으로, 석유화학, 신소재, 농업 분야의 전문기업이며, 자동차, 건축, 전자, 의약품 등 90개 국의 다양한 산업으로 첨단 화학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각종 화학품

SNF

프랑스

1978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글로벌 화학기업으로, 수용성 고분자 및 고효율 응집제 제품 생산. 140여 개국의 석유 자원 개발, 수처리, 광업 등 기업에 납품하고 있음.

각종 화학품

허난롱위

(河南龙宇)

중국

허난성

2004년 중국 허난성에서 설립된 대형 석탄화학 기업으로, 메탄올·초산·에틸렌글리콜 생산기지를 보유. 석유화학·신재료·바이오의약 등 산업에 고부가가치 화학품을 판매하고 있음.

각종 화학품

산둥바오머

(山东宝莫)

중국

산둥성

1996년 중국 산둥성(山东省)에서 설립된 석유화학 전문기업으로, 폴리아크릴아미드(PAM) 및 유전용 화학첨가제 분야의 대표 생산기업이며, 석유 자원 개발, 수처리, 광업용 제품 생산 및 판매 중임.

폴리아크릴아미드(PAM), 유전용 화학첨가제 등

[자료: 기업별 홈페이지, KOTRA 톈진무역관 정리]

 

유통 구조: 직판·대리점·온라인 등 다채로운 유통망, 주요 지역은 허난·허베이·산둥

 

중국의 폴리아크릴아미드(PAM) 유통 구조는 다층적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운영되며, 직판, 대리점 유통, 전자상거래가 주요 판매 채널로 활용된다. 주요 생산업체는 최종 고객(주로 대형기업)에게 직접 판매를 통해 전체 매출의 40~60%를 달성하고 있으며, 이들은 전국에 500여 개 대리점을 통해 지역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알리바바 등 온라인 플랫폼은 소규모 기업 사이에 주요 구매 채널로 떠오르고 있으며, 전체 PAM 시장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바스프(BASF)는 고객사와의 합자법인을 설립해 주문량을 늘려가며 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있고, SNF 중국법인은 동남아시아 지역 대리점을 통해 중국 생산 제품의 약 30%를 판매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기업 정보 사이트 치차차(qichacha.com)를 분석한 결과, 주요 유통망은 허난성(26%), 허베이성(21%), 산둥성(19%)에 집중돼 있다.

 

중국 PAM 수입 동향: 2022년부터 對韩 수입 1위 유지, 2025년 1~3월 전년 동기 比 13% 상승

 

2024년 중국의 PAM(HS Code: 3906.90) 수입 금액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2% 증가한 212300만 달러로 집계됐으며, 對韓 수입액도 사상 최고치인 69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은 중국의 최대 PAM 수입국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2024년 중국의 對韓 수입액은 전년 대비 17.6% 증가했다. 20251~3월 기준, 중국의 對韓 수입액은 178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으며, 이는 같은 기간 중국의 전체 PAM 수입 증가율을 상회하는 수치다.

 

<중국 PAM(폴리아크릴아미드, HS Code: 3906.90) 수입금액 순위(20251~3월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명

2022

2023

2024

2025년(1~3월)

수입금액

수입

증감률

수입금액

수입

증감률

수입금액

수입

증감률

수입금액

전년 동기比

수입

증감률

 

총계

2,073

13.8

1,885

9.1

2,123

12.7

510

9.1

1

한국

642

7.7

592

7.7

696

17.6

178

13.1

2

일본

342

8.2

332

2.8

363

9.3

92

10.7

3

말레이시아

183

39.3

170

7.6

210

24.1

69

51.8

4

미국

154

0.2

143

7.1

148

3.3

23

32.1

5

싱가포르

105

17.2

129

22.3

116

9.8

22

7.9

6

독일

89

5.5

81

8.5

82

1.3

20

19.0

7

네덜란드

40

3.8

34

14.9

35

2.2

8

10

8

태국

26

26.8

25

2.6

26

2.2

6

19.6

9

프랑스

25

13.1

24

3.8

25

7.1

5

10.1

10

이탈리아

31

1.7

18

42.4

21

15.8

4

29.4

[자료: 한국무역협회]

 

관세 및 규제: 한-중 FTA 세율 적용 시 관세 5.9%, 통관 시 별도 인증 필요 없음

 

한국산 PAM(HS Code: 3906.90)을 중국에 수출할 경우, MFN(최혜국 대우) 세율 또는 한-FTA 협정 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다. 기본 관세율은 45%이지만, 한국 관세청에서 발급한 원산지 증명서를 제출하면 2025년 기준 한-FTA 협정 세율인 5.9%가 적용된다. 한국산 PAM의 중국 수출 및 판매, 현지에서 별도로 취득해야 하는 인증은 없다.

 

<중국의 PAM(폴리아크릴아미드, HS Code: 3906.90) 수입 관세율(2025년 기준)>

상품명

HS Code

기본세율

MFN(최혜국)

세율

-FTA

협정 세율

PAM(폴리아크릴아미드)

3906.90

45%

6.5%

5.9%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시사점

 

중국 PAM(폴리아크릴아미드) 시장은 수처리·광업·화학 산업 전반의 환경 규제 강화와 기술 발전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에 따르면, 2025년 중국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산업 폐수 배출 기준을 강화하고 수자원 재활용률을 30% 향상하는 등의 목표를 제시했으며, 이에 따라 PAM의 주요 수요처인 수처리 분야(고효율 응집제)에서의 수요 증가가 기대된다. 또한, 2025년 중국의 반도체(특히 웨이퍼) 생산량은 전년 대비 1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반도체 공정 폐수 처리에 사용되는 PAM 관련 수입 시장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리튬배터리 재활용 시장의 성장 역시 중금속 제거용 PAM의 수요를 10% 이상 증가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 기업은 관련 수요처와의 협업 기회를 수시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KOTRA 톈진무역관의 인터뷰에서 TIANJIN ZHONGYUAN 사 대표 씨는 2025년 중국 PAM(폴리아크릴아미드) 시장은 수처리·광업·석유화학 산업의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성장 잠재력이 크다. 다만 기술력이 비교적 낮은 제품이라면 중국 현지에 공장이 있는 외자기업과 중국 로컬기업의 제품과 경쟁하기 어렵다. 한국 제품은 반도체, 배터리 분야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인지도가 높아서, 중국 PAM 시장 안에서도 이러한 세부 분야에서 경쟁력을 찾아 진출 기회를 노리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중국브랜드망(中国品牌网), 한국무역협회, 관세법령정보포털, KOTRA 톈진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PAM(폴리아크릴아미드)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