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김치 시장 동향
- 상품DB
- 일본
- 후쿠오카무역관 김성영
- 2025-05-22
- 출처 : KOTRA
-
한국의 최대 김치 수출국, 일본
한국산 김치의 발효 건강식 이미지, 다양한 종류, 여러 단계의 매운맛 등 소비 포인트 강조 필요
상품명 및 HS코드
구분
HS CODE
품목
일반
2005
기타 채소의 조제 또는 저장처리한 것 (식초·식염 없이)
일반
200599
기타 채소(김치 포함)
(한국) 수출 시
2005991000
김치
시장 동향
일본에서 한국 김치는 건강식품, 발효식품 등으로서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K-Food의 인기에 힘입어 판매량 및 판매액이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농식품수출정보(Kati)의 '[일본] 김치 신제품의 연이은 등장(2024.09.05.)'에 따르면, 일본에서 김치는 2000년대 초 한류 붐의 영향으로 절임류 주력 카테고리로 성장했다. 식물성 유산균에 의한 장내 환경 개선 효과가 있는 발효식품이란 점이 건강한 식품을 찾는 소비자 수요를 끌어당겼고, 김치의 면역 효과가 현지 TV 방송에 소개되면서 2010년대 중후반 시장 규모가 확대됐다. 아울러 2020년부터 코로나로 인해 소비자들이 집에서 식사하는 횟수가 증가하며 시판용 김치를 중심으로 시장이 성장했으나, 2022년부터는 원료 및 포장재 가격 상승에 따른 가격 인상과 함께 매출 확대에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한국산 김치의 인기에 힘입어 총각김치, 부추김치, 백김치 등 김치의 종류가 다양해지거나, 아주 매운 맛을 강조한 실비김치가 유통되는 등 매운맛에 변화를 준 상품들도 출시되고 있다.
<일본 김치 시장 규모>
(단위: 톤, 백만 엔, 엔/kg)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판매량(톤)
217,100
219,000
233,000
245,600
233,000
236,800
판매액
(백만 엔)
66,000
66,600
71,300
74,500
72,500
73,500
평균단가
(엔/㎏)
304.0
304.1
306.0
303.3
311.2
310.4
[자료: 후지경제 '2024년 식품 마케팅 편람' (aT '일본 김치 시장 동향 및 대일 수출 확대 방안 전략 조사'에서 재인용)]
수입 동향
김치는 한국에서 수출할 때는 세부 HS코드(2005991000)를 적용받고 있으나,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200599(기타 채소)로 분류돼 수입되고 있다. 이에 따라 김치의 수입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한일 양쪽 통계를 모두 볼 필요가 있다.
<한국 김치(HS code: 2005991000) 최근 3년 수출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 지역
수출액
점유율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 세계
140,816
155,598
163,571
100.00
100.00
100.00
1
일본
60,996
61,490
54,023
43.32
39.52
33.03
2
미국
29,098
39,989
47,960
20.66
25.70
29.32
3
네덜란드
6,429
7,380
9,587
4.57
4.74
5.86
4
캐나다
3,702
5,463
8,336
2.63
3.51
5.10
5
오스트레일리아
5,883
5,990
7,682
4.18
3.85
4.70
6
영국
5,309
6,152
7,285
3.77
3.95
4.45
7
대만
5,490
5,521
5,551
3.90
3.55
3.39
8
홍콩
7,270
5,812
4,500
5.16
3.74
2.75
9
싱가포르
3,193
2,992
2,632
2.27
1.92
1.61
10
독일
1,283
1,703
2,293
0.91
1.09
1.40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5.14.]
먼저, 한국에서 수출되는 김치의 통계를 보면, 지난 3개년간 일본에 대한 수출액이 전체의 30% 이상을 유지할 정도로 가장 많았다. 다만, 2위 수출국인 미국의 점유율이 꾸준히 증가하며, 2024년의 경우 점유율 차이를 많이 좁힌 것을 알 수 있다.
<일본 기타 채소(HS code: 200599) 최근 3년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 지역
수입액
점유율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 세계
388,588
366,815
357,787
100.00
100.00
100.00
1
중국
280,269
261,050
258,484
72.13
71.17
72.25
2
한국
63,501
64,374
57,042
16.34
17.55
15.94
3
태국
14,590
15,796
13,607
3.75
4.31
3.80
4
미국
4,716
4,962
4,792
1.21
1.35
1.34
5
네덜란드
3,534
3,785
4,501
0.91
1.03
1.26
6
베트남
4,699
3,100
4,204
1.21
0.85
1.17
7
뉴질랜드
2,220
1,823
2,611
0.57
0.50
0.73
8
인도네시아
2,775
1,853
1,977
0.71
0.51
0.55
9
대만
1,799
1,361
1,725
0.46
0.37
0.48
10
이탈리아
1,636
1,639
1,303
0.42
0.45
0.36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5.14.]
한편, 일본의 기타 채소 3개년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중국이 수입액 점유율 70% 이상을 유지할 정도로 압도적인 1위 수입국이며, 한국은 약 15% 정도의 점유율로 2위 수입국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단, 해당 통계는 김치를 포함한 기타 채소(양념채소, 볶은 채소류 등)에 대한 통계임에 유의해야 하며, 정확한 수입 통계를 내는 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경쟁 동향
일본 소비자들이 직접 다양한 주제에 대해 랭킹을 정하는 '민나노 랭킹' 사이트의 2025년 김치 인기순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시판용 김치 중에서는 한국산 김치 중 대상재팬의 '종가김치', CJ 푸드재팬의 '비비고', 푸드레벨의 '규카쿠', 동원 F&B의 '모란봉'의 브랜드가 인기다.
<일본 소비자가 뽑은 김치 인기 순위>
랭킹
회사명
제품명
사진
1
대상재팬
종가김치
2
텐페이김치
나가이모김치
3
세키구치
마늘듬뿍 배추김치
4
도카이츠케모노
고쿠우마김치
5
로손
본격 숙성 김치
6
쿠니오노김치
쿠니오노연어김치
7
패밀리마트
고쿠토우마미 국산배추김치
8
니시토모(미나사마노오스미츠키)
숙성 해산물 맛김치
9
푸드라벨
규카쿠김치
10
세븐일레븐
본고장한국산김치
[자료: 민나노 랭킹, 아마존,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구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일본 김치 시장 동향 및 대일 수출 확대 방안 전략(2024)'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에서 시판용 김치 유통은 제조업체, 상사, 슈퍼마켓, CVS 등의 판매점 사이에 절임류 벤더 등으로 불리는 절임류 중심의 냉장식품에 특화된 도매업체가 중간 유통으로서 크게 관여하고 있으며 유통과 물류 모두를 담당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산 김치 제조업체나 수입업체는 벤더에게 상품을 일괄 판매해 소매점 공급을 위탁하고 있다.
한편, 업소용 유통의 경우, 대형 외식 체인은 제조업체에서 각 체인의 물류센터로 배송되지만, 소규모 음식점은 개인용 택배를 물류업체로 이용하는 사례도 있다.
관세율
일본에서 HS Code 2005.99에 속하는 품목의 주요 관세율은 아래와 같다. 김치의 종류 등에 따라 관세의 적용이 달라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HS Code
기본
WTO
2005.99.230
사우어크라우트
12.8%
12%
2005.99.999
기타
9.6%
9%
[자료: 실행관세율표 (2025.4.1.)]
인증
김치에 대한 일본 내 필수인증은 별도로 없으며, 선택사항으로 일본 농수산물 인증제도인 JAS를 받을 수 있다. 다만, 김치의 경우 수출 시 한국농림수산식품공사에서 한국산 숙성발효김치임을 인증하는 '김치군' 마크라는 별도의 선택 인증사항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김치군 마크>
[자료: 한국농협홈페이지]
시사점
일본은 한국에서 가장 많이 김치를 수출하는 나라다. 건강식과 K-Food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는 가운데, 저가 중국산 김치 등 경쟁 제품과의 차별화를 꾀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 진출을 희망하거나, 기 진출 기업 중 시장 확대를 노리는 우리 기업이라면, 한국산 김치의 발효 건강식 이미지와 다양한 종류의 김치, 그리고 여러 단계의 매운맛을 강조하는 마케팅 전략 등을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자료: 후지경제, 농식품수출정보, 한국농협, 민나노 랭킹, 아마존, 각 기업 홈페이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KOTRA 후쿠오카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김치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편의점에서 시작된 변화, 몽골의 라면 소비를 읽다
몽골 2025-05-22
-
2
베트남 공기청정기 시장동향
베트남 2025-05-22
-
3
중국 PAM(폴리아크릴아미드) 시장 동향
중국 2025-05-22
-
4
32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는 카타르 리테일 시장, K-소비재 진출 기회 확대
카타르 2025-05-22
-
5
베트남 요소비료 시장 동향
베트남 2025-05-22
-
6
‘저당’은 선택 아닌 필수, 변화하는 중국 식품 트렌드
중국 2025-05-21
-
1
2025년 일본 농산물 산업 정보
일본 2025-07-03
-
2
2024년 일본 에너지산업 정보
일본 2024-11-19
-
3
2024 일본 리튬이온 전지 산업 정보
일본 2024-11-18
-
4
2021년 일본 석유산업 정보
일본 2022-01-20
-
5
2021년 일본 의료기기 산업 정보
일본 2022-01-20
-
6
2021년 일본의 산업 개관
일본 202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