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캐나다 ESG 환경 이니셔티브 분석 및 전망
  • 경제·무역
  • 캐나다
  • 토론토무역관 김지호
  • 2023-07-24
  • 출처 : KOTRA

캐나다의 2021년 탄소 배출량, 전 세계 배출량의 1.8% 수준

녹색정부기금(GGF) 등 캐나다 정부 차원에서의 친환경화 노력 증대

환경, 사회, 지배구조(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를 뜻하는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 중 세 가지 핵심 요소를 강조하는 경영 방식이다. ESG는 이미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개념으로, 많은 국가에서 ESG를 도입하고 있다. 국가 친환경화를 위해 힘쓰는 캐나다에서 세 가지 요소 중 단연 돋보이는 분야는 ‘환경’이다. 현재 캐나다 연방정부 또한 산업 차원에서 탄소 절감을 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 정책을 운용하고 있다.


캐나다의 탄소배출 현황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캐나다는 ESG ‘환경’ 분야 중 온실가스, 에너지, 물 사용량 감축을 중점적으로 목표하고 있다. 특히 온실가스양 감축 목표의 경우, 넷제로 2050(Net-Zero, 탄소중립)에 참여하면서 목표 달성을 위한 정부의 다양한 정책과 사회적 변화를 엿볼 수 있다.


넷제로란, 캐나다가 세계적인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청정 경제를 만들고자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하고 그에 필요한 정책 및 다양한 캠페인, 이니셔티브 등을 시행하는 운동이다. 전 세계적으로 120여 개 국가가 함께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넷제로 목표를 선언하거나 참여하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넷제로 달성을 위한 캐나다의 견고한 자세를 나타내기 위해 2021년 6월 29일부로 이를 법으로 제정다. 2050년까지 탄소를 아예 배출하지 않거나 탄소가 공기 중 배출되기 전 포획하는 친환경 기술을 활용 탄소배출을 상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캐나다 정부 누리집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와 퀘벡주를 비롯해 토론토, 밴쿠버, 해밀턴과 같은 대도시는 이미 탄소 포획 등의 방법으로 이미 넷제로를 달성하고 있다. 


캐나다 환경기후변화부(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Canada, ECCC)는 매년 국가 온실가스 보고서(National Inventory Report, NIR)를 작성해 온실가스 배출 수치, 현황, 전망 등을 조사해 공식 발표하고 있으며, 동 보고서를 매년 4월 15일 유엔기후변화협약(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Climate Change, UNFCCC)에 보고하고 있다. 또한, ECCC 스티븐 길보(Steven Guilbeault) 장관은 2021년 넷제로 달성 및 현황 검토를 위해 넷제로 공인 자문기관(Net Zero Advisory Board, NZAB)을 설립하기도 했다.


NIR 2023과 NZAB의 ‘연간 보고서 2022(Annual Report 2022)’에 따르면, 2021년 캐나다의 총 탄소 배출량은 총 670Mt(Metric ton, 메트릭톤)으로 나타났는데, 메트릭톤은 1Mt당 1000㎏을 나타내는 질량 단위 중 하나이다.


<캐나다 주요 주의 산업별 탄소 배출량(2021년)>

(단위: Mt)

산업

산업 총계

브리티시 컬럼비아

앨버타

서스캐처원

온타리오

퀘벡

석유 및 가스

59.4

144.7

16.6

7.7

2.3

189

전기

0.4

22.5

15.2

3.4

0.3

52

교통

21.6

23.4

9.1

47.2

29.3

150

중공업

5.3

18.1

4.1

27.6

17.7

77

건물

9.1

20.4

3.9

37.6

9.4

87

농업

2.9

19.8

16.3

12.1

8.8

69

폐기물

2.0

4.2

1.3

6.1

4.5

27

경공업, 건축, 삼림 자원

3.3

2.9

0.7

8.8

5.1

20

주 총계

59

256

67

151

77

670

: 반올림으로 인해 총계가 상이할 수 있음.

[자료: NIR 2023, NZAB]

 

<캐나다 주요 주별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2015년, 2019~2021년)>

(단위: Mt, %)

연도

증감률

(‘21/’05)

2005

2019

2020

2021

브리티시컬럼비아

62

63

59

59

-4.8

앨버타

236

275

254

256

8.5

서스캐처원

68

75

65

67

-1.5

온타리오

204

163

147

151

-26.0

퀘벡

86

82

74

77

-10.5

총계

732

724

659

670

-8.5

[자료: NIR 2023]


캐나다의 2021년 총 탄소 배출량은 2005년 대비 8.4% 감소했고, 이는 연평균 약 0.6%씩 감소한 수치이다. 반면, 앨버타주는 2021년 배출량이 2005년 수치 대비 오히려 8.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난 16여 년간 앨버타주의 대표 산업인 석유 및 가스 산업이 확장되며 탄소 배출이 불가피했던 것으로 미루어 볼 수 있다.


전문 통계자료 수집 기관인 Statista에 따르면, 670Mt인 캐나다의 2021년 총배출량은 동년 전 세계 배출량의 1.8%에 해당하는 수치이며, 중국(30.9%), 미국(13.5%), 그리고 인도(7.3%)가 상위 3개국을 차지했다. 제조업 및 건설업이 발달한 세 국가의 탄소 배출량 합은 세계 배출량의 50% 이상에 달했다. 비록 총배출량의 2%가 채 되지 않지만, 캐나다는 다양한 방안을 통해 넷제로라는 목표를 달성하려 하고 있다.


기업을 위한 캐나다 환경 이니셔티브, ‘넷제로 액셀러레이터’


‘넷제로 액셀러레이터(Net Zero Accelerator, NZA)’는 캐나다의 대표적인 환경 이니셔티브(탄소배출 절감 등 환경보호를 위한 정부 정책 등을 통칭)다. 캐나다 혁신과학경제개발부(Innovation, Science and Economic Development Canada, ISED)에 따르면, NZA는 전략혁신기금(Strategic Innovation Fund, SIF)이라는 연방 지원 프로그램 아래 운영되는 이니셔티브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45% 감축, 2050년까지 넷제로라는 야심 찬 목표를 가지고 캐나다의 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다양한 영리단체의 참여를 도모하고 있다. NZA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SIF를 신청하게 된다. 기업이 SIF를 신청하게 되면 우선 SIF와의 컨설팅으로 시작하며, 이해관계명세서(SOI) 작성과 신청에 대한 정식 수락 후 시행 및 관리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캐나다 넷제로 액셀러레이터 진행 방식(단계별)>

단계

진행 방식

내용

1

SIF와의 컨설팅

- 프로젝트 필수 요건 확인

- 참가 자격 확인

- 프로젝트 피칭

2

이해관계명세서 작성

- 이해관계서(Statement of Interest, SOI) 필수 기입 항목:

 · 프로젝트 내용과 주요 파트너

 · 프로젝트 시행 시 캐나다가 얻는 혜택

 · SIF의 목표에 부합하는 근거

 ·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업의 재정 및 관리 능력 (과거 유사 프로젝트 진행 및 정부 투자 경험 이력 등)

 

3

정식 신청

- SOI가 수락될 경우, 실사 평가 -> (통과 후) 프로젝트 수락 신청 -> (통과 후) 계약서 작성

4

시행 및 관리

- 프로젝트 만료일까지 분기별로 프로젝트 이행 비용 처리 및 진행 상황 보고, 기업 재무제표에도 필수 명시

- 정기 감사

[자료: ISED]


캐나다 연방정부는 넷제로 실천을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넷제로 액셀러레이터를 통해 지원하고 있다. 캐나다 연방정부 최신 누리집에 따르면 현재 총 110개의 캐나다 넷제로 액셀러레이터 주요 프로젝트가 승인 및 시행 중이다.

 

<캐나다 넷제로 액셀러레이터 주요 프로젝트>

구분

비고

넷제로 액셀러레이터

(총 110개 프로젝트)

- 기업명: LG에너지솔루션, 스텔란티스(합작법인)

- 산업 구분: 자동차 및 배터리

- 프로젝트 내용: 캐나다 첫 대형 전기차 배터리 공장 설립 지원

- 위치: 온타리오주

- 지원금: 4조8119억 원

- 기업명: AbCellera Biologics Inc.

- 산업 구분: 생명공학

- 프로젝트 내용: 최첨단 항체의약품 개발 및 임상 연구를 위한 바이오 캠퍼스 설립 지원

- 위치: 브리티시컬럼비아주

- 지원금: 2165억3550만 원

- 기업명: General Dynamics Mission Systems Canada

- 산업 구분: 첨단 제조

- 프로젝트 내용: 원격 항공 조종 시스템 설립 지원

- 위치: 퀘벡주

- 지원금: 96억2380만 원

- 기업명: Ross Video Limited

- 산업 구분: 정보통신기술(ICT)

- 프로젝트 내용: 고품질 생방송 서비스 제공 기술 제작 지원

- 위치: 온타리오주

- 지원금: 471억5662만 원

- 기업명: Braya Renewable Fuels

- 산업 구분: 천연자원

- 프로젝트 내용: 재생가능 연료 개발공장 설립

- 위치: 뉴펀들랜드래브라도주

- 지원금: 476억3781만 원

[자료: 캐나다 연방정부 누리집]


친환경 경영을 희망하는 캐나다 내 기업들은 반드시 SIF 기금 신청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캐나다 정부와 함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자체적인 목표설정 및 노력을 대외적으로 홍보하고 나아가 업계의 참여를 함께 독려하는 이른바 '넷제로 챌린지(Net Zero Challenge)'에도 참여할 수 있다. 넷제로 챌린지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장기적인 넷제로 달성 계획을 작성해야 하고, 참여 자격 유지를 위해 매년 달성 현황을 보고해야 하며 이와 같은 내용이 담긴 ‘확약서(Commitment Letter)’를 ECCC에 제출해야 한다. 넷제로 챌린지에 동참함으로써 자사 친환경 경영의 진척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캐나다가 넷제로를 달성하는 데에 기여할 수도 있다. 캐나다 정부는 넷제로 챌린지를 함께하는 기업을 집계하고 있는데, 2023년 7월 13일 기준, 캐나다 연방정부가 공개한 넷제로 챌린지 참여 기업은 글로벌 기업인 3M, GM, Microsoft, 그리고 캐나다 대형 식품 체인점인 Loblaw Companies를 포함해 총 107개사이다.


지자체를 위한 캐나다 환경 이니셔티브, ‘저탄소경제기금’


또 다른 주요 환경 이니셔티브로는 저탄소경제기금(Low Carbon Economy Fund, LCEF)이 있다. LCEF는 온실가스 감축을 목적으로 제안된 지자체의 다양한 프로젝트를 검토하고, 연방 정부와 주 정부가 승인된 프로젝트에 한해 기금을 함께 지원한다. LCEF를 지원받기 위해서는 각 주 및 준주마다 제안하는 프로젝트가 1) 온실가스 감축 2) 청정 성장 도모 3) 탄력있는 공동체 구축 4) 일자리 창출이라는 네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2023년 7월 13일 기준, LCEF는 2017년부터 총 89개의 프로젝트를 지원했으며, 그중 11개를 2023년부터 지원하기 시작했다.


<캐나다 2023 저탄소경제기금 지원 현황>

연번

수신처

비고

1

EfficiencyOne

- 위치: 노바스코샤주

- 지원금: 987억7405만 원

- 내용

 · 지원금의 약 60%를 저소득층 주택의 탄소 저배출 난방기술 전환 비용에 사용

 · 나머지 40%를 노바스코샤주 청정 이니셔티브 지원금으로 사용

2

Northwest Territories' Greenhouse Gas Grant Program

- 위치: 노스웨스트 준주

- 지원금: 13억1846만 원

- 내용: 민간 기업 6개사가 시행하는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 비용 지원

3

District Energy system Electrification Project

- 위치: 온타리오주

- 지원금: 27억9090만 원

- 내용: 브록(Brock)대학교가 추진하는 청정 에너지 기술 개발 비용 지원

[자료: ECCC]

 

정부 기관을 위한 캐나다 환경 이니셔티브, ‘녹색정부기금’

 

캐나다는 민간 영리기업뿐만 아니라 정부 기관 차원에서도 탈탄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녹색정부기금(Greening Government Fund, GGF)은 정부 기관과 부서의 다양한 친환경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기금이다.

 

<캐나다 2026년 종료 예정 녹색정부기금 현황>

연번

프로젝트 내용

관련 기관

지원금

1

캐나다 공항 운영 시에 사용되는 기존 디젤 중장비를 겨울철 기후 조건을 대응 가능한 저탄소 장비로 대체

교통부

7억3663만 원

2

연방정부의 친환경 제품 검색 및 조달할 수 있는 검색 엔진 개발

공공조달청

20억3007만 원

3

셔브룩(Sherbrooke) 연구개발센터 축사의 기존 환기 및 통제 시스템을 먼지가 많은 환경에도 사용 가능한 시스템으로 대체

농업농산식품부

9억6670만 원

4

캐나다 왕실해군(Royal Canadian Navy, RCN) 선박에 하이브리드 및 전기 시스템 시범 설치

국방부

12억5188만 원

5

4개의 연방건물에 에너지 최적화 기술과 스마트 빌딩 기술을 접목시켜 각 부서 프로젝트 진행 시 발생하는 탄소 감축

천연자원부

8억5070만 원

6

과학 장비 구매, 장비 사용 및 폐기 시 발생하는 탄소 감축을 위한 도구 개발

공공조달청

환경기후변화부

13억505만 원

7

캐나다 해안경비대(Canadian Coast Guard)가 운영하는 교통 현장에 신재생 전력과 에너지 제어 시스템 시범 설치

해양수산부

27억7443만 원

8

노르망딘(Normandin) 연구 농장의 석유 난방 시스템을 목재 시스템으로 대체

농업농산식품부

8억720만 원

[자료: 캐나다 정부 누리집]


연간 1kt(Kilotonne, 킬로톤) 이상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기관 또는 자원을 희망하는 1kt 이하 배출 기관은 온실가스 감축 프로젝트를 발굴해 GGF를 신청할 수 있다. 승인된 프로젝트는 주로 노후건물 재건축이나 연방 건물 또는 운영 기기를 재생가능 전력 시스템으로 교체 목적으로 개발됐으며, 적게는 약 2500만 원에서 많게는 약 39억 원까지도 지원받은 사례가 있다. 또한, 2023년 7월 13일 기준, 16개의 프로젝트가 GGF를 지원받아 성공적으로 종료했으며, 남은 47개의 프로젝트는 2023년부터 2026년까지 각각 다른 종료 연도를 앞두고 있다.


캐나다 ESG의 전망 및 시사점


국가 친환경화와 다문화공동체를 위해 힘쓰는 캐나다에 ESG는 장기적으로 짊어지고 가야 할 숙제이다. 연 0.6%씩 탄소 배출량이 감소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2050년 넷제로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개인과 기업, 그리고 정부 차원에서 더욱 적극적인 동참을 기대할 수밖에 없다.


캐나다 천연자원부 조나단 윌킨슨(Jonathan Wilkinson) 장관은 2050년이라는 목표가 있기는 하나, 이에 연연하지 않고 조기 달성을 할 수 있도록 연방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언급했다. 실제로, 캐나다 정부 누리집에서는 ESG의 핵심과도 같은 E(환경) 부문에서 민간 기업 대상 프로젝트 지원금이 점차 증가하고 승인 분야도 다양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23년 7월 13일 기준, 캐나다는 2017년 SIF신청 모집을 시작한 이래로 약 60조 규모에 달하는 110개의 친환경 프로젝트에 총 6조6404억 원을 지원했고, 그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최첨단 과학기술을 선도하는 우리 기업은 다양한 친환경 프로젝트 발굴을 통해 현지 기업과의 협업을 바탕으로 지원금 마련 및 캐나다 시장 진입 기회를 모색해 볼 수 있다.



자료: 캐나다 환경기후변화부(ECCC), 2023 국가온실가스보고서(NIR 2023), 국제 에너지 기구(IEA), Statista, 캐나다 혁신과학경제개발부(ISED), 넷제로 자문기관(NZAB), KOTRA 토론토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캐나다 ESG 환경 이니셔티브 분석 및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