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사우디 수출, 올 상반기에도 호황
  • 경제·무역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김형욱
  • 2012-06-30
  • 출처 : KOTRA

 

사우디 수출, 올 상반기에도 호황

- 5월 말 현재 전년대비 15.2% 상승 -

- 전체 수출 대상국 중 15위, 중동 내 1위 달성 -

 

 

 

□ 교역 총괄

 

 ㅇ 2012년 경제 호황으로 40% 증가했던 한-사우디아라비아 교역은 2012년 유럽 발 금융위기로 인한 세계 경기 침체로 5월 말 현재 19.6% 에 불과한 증가세를 보였음.

 

 ㅇ 하지만 2012년 5월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 0.5% , 수입액은 4.1% 증가에 그친 것을 감안하면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교역은 상당히 활발함.

 

 ㅇ 2012년 5월 말 기준으로 사우디아라비아는 중국, 미국, 일본에 이은 우리나라의 4대 교역대상국이며, 국제 유가를 바탕으로 한 경제 안정, 이란 원유 수입불가에 따른 원유 수입 확대 등을 고려할 때 하반기에도 대사우디아라비아 교역은 지속 확대될 것임.

 

한-사우디아라비아 교역동향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0

2011

2012.5.

금 액

증감률

금 액

증감률

금 액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총교역

31,377

33

43,937

40

21,072

19.6

수 출

4,557

18.2

6,964

52.8

3,486

15.2

수 입

26,820

35.9

36,973

37.9

17,586

20.5

수 지

-22,263

40.2

-30,009

34.8

-14,100

21.9

자료: KITA 한국무역통계

주: 이하 모든 통계는 2012년 6월 말 최신 통계자료임 기준임

 

□ 수출 동향

 

  2003년 이후 폭발적 증가세를 지속하던 대사우디아라비아 수출은, 2008년 52억5000만 달러로 최고치 기록했으나 2008년 말 세계 금융 위기로 인한 여파로 2009년 들어서는 26.6% 감소한 38억5700만 달러를 기록했음.

 

 ㅇ 2010년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회복세를 보이던 사우디아라비아 경기는 2011년 주변국들의 혼란에도 안정된 국제 유가와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로 호황을 구현했으며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사우디아라비아 수출은 사상 최고인 69억6400만 달러를 기록, 전세계 20위, 중동 내에서는 UAE에 이은 2위 수출대상국을 기록했음.

 

 ㅇ 2012년 5월 말 현재 대사우디아라비아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5.2% 증가한 34억8600만 달러를 기록했음. 2011년의 증가세에는 다소 못미치나 우리나라의 2012년 5월 말 현재 수출 증가율이 0.5%에 그친 점을 감안하면 대사우디아라비아 수출은 여전히 호황을 유지함.

 

 ㅇ 이는 사우디아라비아 내 우리기업들의 프로젝트 수주 활발, 사우디아라비아 경기 호황으로 인한 수입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되며, 이러한 수출 호황을 바탕으로 2012년 5월 말 현재 사우디아라비아는 우리나라의 15대 수출대상국으로 성장했으며 중동 내에서는 1위를 차지했음.

 

연도별 수출과 증감률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5.

수출액

4,026

5,253

3,857

4,557

6,964

3,486

증감률

35.2

30.5

-26.6

18.2

52.8

15.2

자료: KITA 한국무역통계

 

 ㅇ 2011년 사우디아라비아 수출의 27.6%를 차지했던 자동차는 2012년 5월 말 현재도 최대 수출품목 자리를 지키며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9.6%로 확대됐음.

 

 ㅇ 사우디아라비아 건설산업 호황과 우리 기업들의 프로젝트 수주 확대로 철강제품과 산업기계의 수출도 큰 폭으로 증가했음.

 

 ㅇ 2011년 대폭 상승했던 기초산업기계와 중전기기의 수입은 관련 프로젝트 기자재 수입이 완료되면서 수출량이 다소간 감소했으나 발전플랜트 등 우리기업의 프로젝트 수주 상황에 따라 반등 가능성이 매우 높음.

 

 ㅇ 한국산에 대한 이미지 제고와 소비자 인식 확산으로 타이어나 가전제품류의 수입도 확대되나 3국 생산 제품의 한국제품 수입량까지 합할 경우 시장 내 한국산 시장점유율은 훨씬 높음.

 

 ㅇ 2011년부터 수출되기 시작한 경유도 수출량이 크게 확대됨.

 

품목별 수출현황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1

2012. 5월

비고

금액

금액

증가율

수출총계

6,964

3,486

15.2

 

수송기계(74)

1,925

1,032

31.6

승용차 947(35.1%), 화물자동차 58(45.6%),

자동차부품 15(45.7%), 특장차 6(14.3%)

철강제품(61)

869

454

28.8

철강 및 비합금강형강 120(61.8%), 중후판 66(30.6%),

철강관 67(67.7%), 주단강 48(12.4%), 철구조물 55(94.1%), 아연도강판 25(9.4)

산업기계(72)

562

449

95.4

건설중장비 182(86.3%), 화학기계 222(215.8%), 기타산업기계 9(-72.8%), 섬유기계 17(157.6%)

기초산업기계(71)

842

308

-32.5

가열난방기 173(-12.0%), 펌프 48(-38.4%), 공기조절기 50(-50.6%), 원동기 14(-60.4%)

중전기기(84)

614

195

-28.6

변압기 91(-21.6%), 차단기 60(70.3%), 배전및제어기 24(-59.6%), 전동기 8(156.0)

석유화학제품(21)

358

175

16.8

기타석유화확제품 64(3.6%), 기초유분 57(76.8%), 합성수지 51(-3.5%)

직물(43)

223

116

28.4

폴리에스터직물 75(18.4%), 편직물 13(52.5%), 폴리에스터단섬유직물 12(113.1%)

고무제품(32)

201

106

23.9

타이어 98(29.9%), 타이어튜브 6(-34.6%)

광물성연료(13)

58

93

1129.1

경유 84(-), 윤활유 8(25.1)

가정용전자제품(82)

156

80

6.2

칼라TV 23(-2.1), 냉장고 15(-21.0), 에어컨23 (40.8)

        * 자료: KITA 한국무역통계, MTI 2단위

 

□ 수입동향

 

 ㅇ 우리나라의 대사우디아라비아 수입은 유가가 급격히 상승했던 시기인 2003~2007년 기간 중 20~30% 대의 높은 증가세 보이다가 글로벌금융위기의 여파로 2009년 잠시 하락했으며 2010년 다시 상승세로 전환된 후 2011 사상 최고치를 기록

 

 ㅇ 우리나라의 대사우디아라비아 수입은 원유수입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며 국제유가에 따라 수입액이 변동하는 구조를 보여줌.

 

 ㅇ 2012년 5월현재 우리나라의 대사우디아라비아 수입은 20.5% 상승한 175억8600달러를 기록하며 원유, 나프타, LPG 등 3개 품목이 수입의 94.9%를 차지함.

 

연도별 수입현황

                                                                                                         (단위: 백만 달러, %)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5.

수입액

21,164

33,781

19,737

26,820

36,973

17,586

증감률

3.0

59.6

-41.6

35.9

37.9

20.5

 자료: KITA 한국무역통계

 

 ㅇ 국제유가의 고공행진과 우리나라의 원유 수요 증가에 따라 원유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사우디아라비아 내 석유화학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생산품목 다양화와 함께 우리나라의 수입도 증가함.

 

 ㅇ 이란에 대한 미국과 유럽 국가들의 제재로 이란 원유수입이 전면 중단될 경우 원유 증산이 가능한 유일한 국가가 사우디아라비아인 점을 감안할 때, 대사우디아라비아 원유 수입을 상황에 따라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

 

 ㅇ 그 외의 품목들의 경우 소량 수입이 대부분이며 일시적 거래 형태에 따라 수입량이 변동함.

 

품목별 수입현황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1

2012. 5월

    

금액

금액

증감률

수입 총계

36,973

17,586

20.5

 

광물성연료

(13)

35,666

16,978

20.7

원유 15,812(20.3%), 나프타 850(18.5%), LPG 315(62.8%), 기타석유제품1(-35.8)

석유화학제품

(21)

758

348

7.1

석유화학합성원료 176(-6.9%), 기타 석유화학제품 124(60.0%), 석유화학중간원료 39(-23.6%), 합성수지 9(98.8%)

비철금속제품(62)

192

118

33.3

동괴및스크랩 95(24.7%), 알루미늄괴및스크랩 18(44.2%), 연괴및스크랩 5(-)

정밀화학제품(22)

311

116

24.4

암모니아수 109(23.8%), 기타정밀화학원료 7(54.8%)

비료(23)

3

13

319.7

질소비료13(319.7)

요업제품(24)

7

3

246.3

판유리 3(238.8%)

수산물(04)

8

2

-70.9

새우 2(-71.1%)

플라스틱제품(31)

3

2

350.9

기타 플라스틱제품 2(333.5%)

직물(43)

2

1

-2.7

기타 합섬직물 1(-2.6%)

수송기계(74)

-

1

1724.8

자동차부품

        * 자료: KITA 한국무역통계, MTI 2단위

 

□ 2012년 수출입 평가와 시사점

 

 ㅇ 당분간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 이상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유가를 바탕으로 충분한 재정을 확보하는 사우디아라비아 내수 경기는 호황세를 이어갈 것이며 우리나라의 대사우디아라비아 수출도 증가세를 유지할 것임.

  -  2012년 5월 현재 우리나라 평균인 0.5%의 30배에 달하는 15.2%의 수출 증가를 기록

  - 2010년 100억 달러, 2012년 166억 달러를 기록한 대사우디아라비아 프로젝트 수주 확대와 사우디아라비아 내수 시장 호황, 한국 인지도 상승으로 인한 소비재 판매 확대가 주 요인으로 평가

  - 실질적으로 유럽 발 금융위기의 여파를 겪지 않는 사우디아라비아 경기를 감안할 때 우리나라의 수출은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이어나갈 것임.

 

 ㅇ 수입의 96.5%가 에너지로 교역구조는 건전한 상황

  - 무역수지는 수입이 수출의 5배에 달할 정도로 불균형적이나 주요 수입 품목이 원유, 나프타, LPG 등 에너지 위주인 점을 감안하면 건전한 교역구조를 보여줌.

  - 국제사회의 이란 제재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 원유 수입 의존도는 더욱 높아질 수 밖에 없으며 이 경우 국제유가 상승과 함께 수입액도 증가될 것임.

 

 ㅇ 제2 중동붐의 중심지로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향후에도 리야드 경전철, 리야드 시내버스, 고속철도 등의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와 신도시 구축 프로젝트, 주택건설 프로젝트, 발전소, 화학설비 플랜트 프로젝트 등이 활발히 추진될 것이며, 세계경제가 침체된 가운데에도 시장이 활발한 일부 국가 중 한곳이 될 것임.

 

 ㅇ 또한 이란 수출이 더욱 어려워지는 가운데 지리, 문화, 경제구조적으로 유사한 사우디아라비아가 훌륭한 대체시장으로 평가받음.

 

 ㅇ 따라서 중동 지역 수출을 고려하는 우리 기업의 사우디아라비아 시장에 대한 관심이 더욱 필요하며 플랜트 기자재와 각종 건설자재 등 기존의 유망품목과 함께 점차 시장이 확대되는 일반 소비재, 의약품, 의료기기 등의 품목들도 장기적 플랜과 함께 적극적인 시장 개척이 요구됨.

 

 

정보원: 2012년 한국무역협회 수출입통계 자료 분석, 무역관 관리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 수출, 올 상반기에도 호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