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EU 기업, 핵심기능 소싱비중 높아
  • 경제·무역
  • 벨기에
  • 브뤼셀무역관 김선화
  • 2009-02-28
  • 출처 : KOTRA

 

EU기업, 핵심기능 소싱비중 높아

   

 

 

□ 유럽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유럽기업의 국제소싱현황” 제하의 자료에 따르면 유럽기업 중 지원기능보다는 핵심기능을 아웃소싱하는 기업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핵심기능이란 제조업의 경우 부품이나 부분품 제조와 같이 해당 비즈니스와 직결된 기능을 의미하며 지원기능으로는 물류·유통·마케팅·판매·A/S·ICT 서비스·연구개발 등을 의미함.

 

 ○ 이 자료는 올 초 발표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비록 조사대상기간이 2007년 당시의 소싱 현황이 대상이며, EU 27개 회원국 중 12개 국가(체코·덴마크·독일·아일랜드·이탈리아·네델란드·포르투갈·슬로베니아·핀란드·스웨덴·영국·노르웨이)의 고용원 100명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 한 것임.

 

 ○ 국제적인 소싱(international sourcing)은 유럽기업이 독립적인 외부 공급자, 즉 아무관계가 없는 역외기업에 소싱을 하는 아웃소싱과 해외에 있는 제휴기업에 소싱을 하는 인소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임.

 

□ 유럽 통계청에 따르면 국제적인 소싱을 하는 기업 비율이 2001~06년에는 16%였으며, 특히 아일랜드와 영국 기업들이 35% 이상으로 거의 두배 이상이었음.

 

 ○ 제조업의 경우 영국과 아일랜드 기업의 57%가 이미 국제소싱을 하고 있었으며, 덴마크 역시 1/3의 제조업에 국제소싱을 하고 있음.

 

□ 핵심기능을 소싱하는 비중도 상당

 

 ○ 제조업의 경우 핵심기능을 소싱하는 기업이 17.4% 정도이며, 지원기능을 소싱하는 비율은 12.8%임. 영국과 아일랜드 기업 중 핵심기능을 소싱하는 기업이 50% 정도이며 체크와 아일랜드는 10% 이내였음.

 

국제소싱 비율

            (단위 : %)

 

제조업

비제조업

핵심기능

지원기능

핵심기능

지원기능

전체

17.4

12.8

5.2

7.6

 

 ○ 지원기능중에서도 ‘유통 및 물류’, ‘마케팅, 판매 및 A/S 서비스’가 가장 국제소싱에서 선호되는 기능임. 덴마크·네델란드·핀란드 기업들은 다른 기능보다 ICT 기능을 많이 소싱하고 있으며 아일랜드와 영국 기업들은 엔지니어링과 기술서비스 소싱 비율이 높았음.

 

□ 국제소싱의 대상지

 

 ○ 국제소싱의 40% 정도가 EU 역내국으로, 스웨덴 기업의 경우 역내국으로의 소싱비율이 69%로 가장 높았고, 네덜란드 64%, 체코 63%. 슬로베니아의 경우 30% 정도임. 슬로베니아는 인접국인 크로아티아로부터 많이 소싱하고 있었으며, 영국과 아일랜드는 언어장벽이 없는 미국과 캐나다로부터의 소싱이 많았음.

 

 ○ 인도로의 소싱은 주로 ICT 서비스와 연계돼 있으며, 중국으로의 소싱이 점점더 확산 중임.

 

 ○ 국제소싱을 하는 기업의 70%가 인소싱을 하고 있으며 36% 정도만이 아웃소싱을 하고 있음.

 

□ 국제소싱의 동기

 

 ○ 노동비용 절감이 주요 동기임. 45%가 노동비용 절감을 지적했으며(복수응답 가능), 이어 신시장 접근과 그룹 미래에 대한 전략적 결정이 다음 순위였음. 노동비는 아니더라도 다른 비용 절감도 세번째 그룹이 되고 있음.

 

국제소싱을 하게된 동기

            (단위 : %)

노동비
절감

신시장
접근

기타비용 절감

핵심기능 중점

신제품 도입 및 품질 개선

경쟁자·고객 따라가기

전문지식과 기술 접근

조세 및 금융인센티브

기타

45.0

36.5

30.7

24.1

19.8

14.2

17.7

9.2

24.6

주 : 복수 응답 가능

 

□ 최근의 국제소싱 비율은 유럽통계청의 이번 발표보다는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이는 원가 절감 등을 이유로 국제소싱 경향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임.

 

 ○ 특히 이처럼 최근 가속화된 국제소싱은 지원기능보다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핵심기능이 더 빈번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 유럽통계청 Statistics in Focus 4/2009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EU 기업, 핵심기능 소싱비중 높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