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싱가포르 공기처리 제품 및 냉방기기 시장동향
  • 상품DB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김대현
  • 2025-07-09
  • 출처 : KOTRA

친환경적 기능과 에너지 효율성을 강조한 제품 관심

소비자들의 웰빙 중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다양한 제품 개발

상품명


공기처리 제품에는 공기정화 제품, 냉방기기, 제습기, 가습기 등이 포함되며, 동 보고서에는 공기정화제품 (HS코드: 842139) 및 에어컨 등 냉방용 기기 (HS코드: 841510)를 위주로 조사함

 

시장동향 및 개요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싱가포르 공기처리 제품 시장의 전년대비 성장률은 3.3%이며, 2025년에는 2.8%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구체적으로 2022년 기준, 공기처리 제품 카테고리 중 공기정화 제품과 냉방용 기기 성장률은 전년대비 각각 4%와 3.3%로 가장 높았다.

 

<싱가포르 공기처리 제품 카테고리별 2024년 판매량 및 성장률>

(단위: 천 대, %)

카테고리

판매량

성장률(전년 대비)

공기정화

61.2

4.0

냉방

926.1

3.3

제습

3.7

-0.1

가습

1.4

1.4

[자료: Euromonitor]

 

먼저, 싱가포르는 열대 기후를 가지고 있어 냉방 제품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으며,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분리형 에어컨과 선풍기를 사용하고 있다. 더불어, 팬데믹 이후 소비자들이 집에서 일하고 교류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효과적인 실내 온도 조절 제품에 대한 필요성도 커졌다. 또한, 싱가포르는 엘니뇨 현상의 영향으로 더운 날씨가 이어져, 2024년 냉방 기기 시장은 전년대비 3.3% 성장을 보였으며 전체 공기처리 제품 시장 카테고리에서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는 소비자들의 웰빙 중심의 라이프스타일에 지속됨에 따라, 단순히 냄새를 제거하는 것을 넘어 정신적, 신체적 웰빙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진화하며, 젤 방향제나 전기식 방향제와 같은 제품의 인기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기 방향제는 2024년 방향제/탈취제 카테고리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고, 젤 방향제는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싱가포르 방향제 제품 카테고리별 2024년 판매량 및 성장률>

(단위: 백만 싱가포르 달러, %)

카테고리

판매량

성장률(전년대비)

차량용 방향제

2.4

-1.9

전기식 방향제

0.9

5.2

젤형 방향제

12.3

3.0

스프레이형/에어로졸형 방향제

8.6

2.0

기타 제품

1.1

2.7

전체

25.4

2.3

[자료: Euromonitor]

 

공기처리 제품 수입 규모 및 동향

 

싱가포르의 ‘24년 공기정화 제품 (HS코드 842139) 총 수입액은 약 4억3000만 미국 달러로 전년 대비 7.98% 증가율을 보였다. Global Trade Atlas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상위 주요 수입국으로는 미국, 브라질, 말레이시아, 영국 순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은 7위를 기록했다.

 

<싱가포르 공기정화제품 수입 동향 (HS코드 842139 기준)>

(단위: US$ , %)

순위

구분

수입규모

점유율

증감률

(’24 /’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1

미국

68,927

65,636

85,210

22.75

16.47

19.80

29.82

2

브라질

13

318

79,081

0.00

0.08

18.38

24738.85

3

말레이시아

50,824

44,173

68,490

16.78

11.08

15.92

55.05

4

영국

53,915

35,120

38,634

17.80

8.81

8.98

10.00

5

중국

28,261

84,592

33,399

9.33

21.23

7.76

-60.52

6

독일

23,333

28,122

21,114

7.70

7.06

4.91

-24.92

7

대한민국

18,309

19,892

18,180

6.04

4.99

4.22

-8.61

8

대만

3,537

10,852

16,365

1.17

2.72

3.80

50.80

9

일본

12,940

11,384

12,832

4.27

2.86

2.98

12.73

10

네덜란드

4,708

7,129

10,483

1.55

1.79

2.44

47.03

전체

302,959

398,514

430,308

100

100

100

7.98

[자료: Global Trade Atlas]

 

참고로, 공기처리 제품은 세부 분류에 따라 HS코드 841510(냉방용 기기)으로 따로 구분해 살펴볼 수 있다. Global Trade Atlas 통계에 따르면, HS코드 841510 품목에 대한 싱가포르의 2024년 총 수입액은 약 2억8300만 미국 달러였다. 그 중 한국산 제품 수입액은 2024년 기준 587만 달러이며, 전년대비 약 32% 가량 수입이 증가하여 전체 수입국 중 4위를 차지했다.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싱가포르 공기처리 제품 시장에서 상위권 점유율을 차지하는 5개 브랜드로는 EuroAce, Mistral, KdK, Sona, Mitsubishi가 있으며 해당 5개사의 전체 시장 내 점유율이 약 51.7%를 차지하고 있다.

 

스마트 홈 기술의 도입은 공기 관리 분야로 확장돼, 공기 청정, 향기 확산, 그리고 편의성과 맞춤 설정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결합한 기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이슨의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상쾌하게 하고 포름알데히드와 기타 오염 물질을 제거하며, 앱을 통해 실시간 공기질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필립스는 또한 스마트 컨트롤을 통합해 공기질을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하는 동시에 냄새를 중화하는 공기 청정 기능을 제공하는 가전제품을 개발했다. 이는 가전제품과 공기 관리의 경계를 허물며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틈새 시장을 형성하여 기존 공기 관리 제품과 경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고있다.

 

<다이슨사 공기청정기>

 

 

[자료: 브랜드 자사 웹사이트]

 

주거 공간이 제한적인 싱가포르에서는 가습기나 선풍기 기능을 겸비한 공기청정기처럼 여러 기능을 결합한 가전제품이 소비자들의 관심을 얻고있다. 또한, 현대적인 가정 인테리어와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세련되고 미니멀한 디자인이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는 미적으로 아름다우면서도 기능성이 뛰어난 가전제품을 선호하는 추세를 반영 중이다. 파나소닉과 LG 등 주요 브랜드의 공기청정기 내장형 에어컨이 이미 출시돼 있으며, 수요 증가에 따라 신규 제품들이 지속 개발되고 있다.

 

<파나소닉사 공기청정기 내장형 에어컨>

 

[자료: 브랜드 자사 웹사이트]

 

유통 채널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온라인 판매 채널 점유율은 전년 대비 1% 상승해 17.5%를 기록한 반면, 오프라인 판매 채널은 점유율이 전년대비 1% 하락한 82.5%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다소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비중을 보이는 오프라인 판매채널에서는 슈퍼마켓 채널이 점유율이 가장 높았다. 공기처리 제품은 매장 내 체험 존, 시연 이벤트 등의 효과를 고려 했을 때 소비자들이 오프라인 마켓에서 직접 보고 사는 경향성이 높으나, 최근에는 구매 편의성을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 틈새 시장으로 채널이 다변화되고 있다.

 

<싱가포르 공기처리제품 유통채널>

[자료: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관세율·수입규제·인증

 

싱가포르는 자유무역을 지향하고 있어 주류, 담배, 자동차, 석유 제품 등 4개 품목군 외 전면 무관세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2024년 기준 싱가포르에서 판매되는 모든 품목에 적용되는 부가가치세 성격의 GST (Goods and Services)가 9% 부과된다.

 

소비자 보호 규정(CPSR)에 따라 전기전자 33개 제품군에 한해 의무적 안전검사를 요구하고 있으며, 안전 인증마크인 Safety Mark를 취득해야만 현지 시장에서 제품의 광고, 전시 판매와 같은 상업활동이 허가 된다. 해당 규정은 싱가포르 기업청(Enterprise Singapore)을 통해 관리된다.

 

시사점

 

유로모니터는, 공기 관리 솔루션 및 제품은 지속적인 제품 개발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싱가포르에서는 인도네시아 등지의 산불로 발생하는 헤이즈(Haze, 연무 현상)가 발생하며, 이로 인한 대기오염 우려가 커짐에 따라 공기청정기, 제습기, 공기살균기 등의 공기 처리 제품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가정용 뿐 아니라 사무실, 병원, 교육기관 등 B2B 수요도 확대되는 추세이며, 정부의 공기질 모니터링 강화와 소비자들의 건강 인식 개선도 수요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현지 대형 전자제품 판매처인 A사 담당자는 싱가포르 소비자들의 바쁜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전기 방향제 등 작동 방식이 간편하고 편의성이 높은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이미 다수의 브랜드가 싱가포르 시장에 진출해 있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다른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위한 제품 경쟁력 확보나 마케팅 전략 수립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현지 시장의 흐름에 발맞춰, 한국 제품의 높은 품질과 우수성을 부각시키는 마케팅 전략을 마련한다면, 현지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안착도 충분히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The Straits Times,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포르 공기처리 제품 및 냉방기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