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식물성 음료(우유 대체제)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김서원
- 2025-07-09
- 출처 : KOTRA
-
미국 식물성 음료 시장, 2029년까지 약 38억 달러 규모로 성장 예상
비건·친환경·유제품 대체 키워드로 젠지 및 플렉시테리언 소비자에게 인기
상품명 및 HS Code
식물성 음료(plant-based milk*, 우유 대체제)는 귀리, 아몬드, 콩, 캐슈넛 등 식물성 원료에서 추출한 액체를 가공해 만든 음료로, 유제품에 대한 알레르기나 윤리적·환경적 이유로 유제품을 피하는 소비자들에게 대체재로 각광받고 있다. 외형상 일반 우유와 유사하나 동물성 원료가 전혀 포함되지 않으며, 영양성분과 식감은 원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진다. 본 글에서는 식물성 음료의 HS Code를 ‘설탕, 감미료 또는 향료가 첨가된 비알코올성 음료’를 포함하는 제2202호 하위의 ‘기타 비알코올성 음료’(2202.99)를 기준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미국에서는 'plant-based milk'로 불리나, 한국 식품의약안전처의 <대체식품의 표시 가이드라인>에 따라 해당 해외시장뉴스에서는 '식물성 우유' 대신 '식물성 음료'로 표기한다.
시장동향
글로벌 시장조사 전문기관 프리도니아(Freedonia)의 미국 유제품 및 계란 대체품 보고서(Dairy & Egg Alternatives: United States, 2024년 10월 발간)에 따르면, 미국 식물성 음료 시장은 2029년까지 연평균 2.2%로 성장하여 약 38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미국 내에서 성숙기에 접어든 식물성 음료 시장은 그 성장속도는 다른 유제품 대체 시장보다 느리겠으나 시장 규모가 커 절대적인 매출 증가폭은 클 것으로 예측된다. 미국 내에서 수년간 건강과 환경에 대한 소비자들의 경각심이 커지면서 많은 소비자들이 동물성 식품 섭취를 줄이기 위해 식물 위주 식단과 식물성 유제품으로 눈을 돌리는 것이 이러한 성장의 배경으로 분석된다. 동물성 식품 섭취를 완전히 끊지 않으면서 식물성 식품 대체를 통해 점진적으로 줄여나가는 일명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이 바로 그 핵심 소비자층이다.
<2024년 식물성/견과류 음료 유형별 소비 비율>
식물성/견과류 음료 유형
전체 소비자 기준
최근 6개월 내
식물성/견과류 우유 소비 가구 기준
아몬드 음료
24.4%
73.6%
오트(귀리) 우유
8.2%
24.6%
코코넛 우유
4.5%
13.4%
두유
3.1%
9.3%
쌀 우유
0.6%
1.7%
기타
1.1%
3.2%
[자료: 2024 MRI, Freedonia 재인용]
프리도니아의 동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식물성 음료 중에서는 아몬드 음료가 가장 인기가 높게 나타났다. 아몬드를 원료로 한 식물성 음료는 미국 내 다양한 마트 자체 브랜드(프라이빗 라벨) 제품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만큼 널리 유통되고 있다. 귀리 원료의 오트 음료 역시 최근 몇 년 간 인기가 크게 상승하고 있지만 가정 내 보급률은 아몬드 음료의 약 1/3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코코넛 음료와 두유가 많이 소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식료품 체인 트레이더조(Trader Joe’s)의 자체 아몬드 음료 상품>
[자료: Trader Joe’s]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미국의 2024년 식물성 음료를 포함한 HS Code 2202.99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14.5% 증가한 약 11억9940만 달러로 기록됐다. 수입액 1위 국가는 멕시코로 2024년 해당 품목의 멕시코산 수입액은 3억2370만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27%를 차지했다. 멕시코 최대 유제품 기업인 LALA는 글로벌 비건 트렌드에 맞춰 아몬드, 귀리, 두유 등 식물성 음료 품목의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다양한 식물성 음료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멕시코 다음으로 캐나다 역시 지리적 근접성에서 오는 공급망 최적화로 미국의 해당 품목 수입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산 수입액은 2024년 기준 약 94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5% 가량 대폭 증가하며 전체 비중 3위를 차지했다. 한국산 제품은 고칼슘, 단백질 강화, 유기농 인증 등의 프리미엄 요소를 강화하며 미국 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물론 HS Code 2202.99에는 식물성 음료 외에 홍삼 음료, 알로에 주스, 유자차 등 감미료가 들어간 비알코올성 음료를 광범위하게 포함하기 때문에 수입액 증가엔 여러 복합 요인이 있을 수 있다. 수입액 비중 4위와 5위는 각각 필리핀과 태국이 차지했으며 특히 태국산 제품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24.4% 증가하며 빠른 성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미국의 식물성 음료를 포함한 HS Code 2202.99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구분
연도별 수입액
비중
증감률
2022년
2023년
2024년
2022년
2023년
2024년
`24/`23
-
전체
1,077.5
1,047.8
1,199.4
100.0
100.0
100.0
14.5
1
멕시코
282.3
263.2
323.7
26.2
25.1
27.0
23.0
2
캐나다
263.3
298.5
296.8
24.4
28.5
24.7
-0.6
3
대한민국
85.3
78.1
94.1
7.9
7.5
7.8
20.5
4
필리핀
119.2
92.5
92.5
11.1
8.8
7.7
0.0
5
태국
76.5
55.2
68.7
7.1
5.3
5.7
24.4
6
과테말라
19.2
25.7
35.6
1.8
2.5
3.0
38.5
7
대만
30.8
33.4
33.5
2.9
3.2
2.8
0.5
8
베트남
23.7
21.4
30.2
2.2
2.0
2.5
40.8
9
엘살바도르
13.0
19.3
26.8
1.2
1.8
2.2
39.0
10
슬로베니아
2.0
14.9
17.1
0.2
1.4
1.4
14.5
[자료: IHS Markit Connect Global Trade Atlas(2025.07.02.)]
경쟁동향
미국 내 식물성 음료 시장은 다양한 제조업체들이 맛, 질감, 영양 성분을 개선하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 개발에 투자하며 경쟁하고 있다. Blue Diamond Growers, Danone, Califia Farms, SunOpta, Oatly 등 다양한 제조업체가 대형 식료품 유통망에 상품을 입점시키며 보다 쉽게 소비자들을 만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커피 체인점들이 서로 다른 식물성 음료 브랜드를 전략적으로 채택하고, 이를 차별화 요소로서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타벅스의 경우 2021년부터 스웨덴 브랜드 Oatly의 오트 음료(우유 대체제)를 도입하면서, 이를 적극 홍보하고 브랜드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활용했다.
<스타벅스와 오틀리의 파트너십>
[자료: 스타벅스]
통계 전문 리서치기관 스테티스타(Statista)가 2024년 1,20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소비자가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식물성 음료 브랜드는 프랑스에 본사를 둔 Danone에서 제조되는 Silk가 1위였으며, Blue Diamond의 Almond Breeze가 2위, Chobani가 3위로 나타났다.
<다국적 기업 다논(Danone)의 식물성 음료(우유 대체제) 브랜드 실크(Silk)>
[자료: Silk]
한편, 스타트업 출신의 Califia Farms 역시 크리미한 식물성 음료로 포지셔닝을 강화하고 있으며, Dream, West Life 등의 브랜드를 지니고 있는 SunOpta 또한 B2B 및 PB 위탁 생산 중심으로 유통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구조
미국 소비자들은 식물성 음료를 주로 Albertsons, Giant Eagle, Kroger, Safeway, Ralph’s와 같은 미국 내 오프라인 대형 식료품 체인점에서 직접 구매하고 있다. 이러한 식료품 체인점들은 Silk, Blue Diamond Almond Breeze와 같은 주요 식물성 음료 브랜드 제품을 취급하고 있다.
한편 온라인 식료품 배달 서비스 역시 점점 그 이용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프리도니아의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식료품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다른 소비자들에 비해 비건 식단을 따를 가능성이 더 높은 경향이 있다. 이들 소비자들은 대체로 연령대가 더 젊고, 소득 수준이 높으며, 도시화된 생활을 하는 경향이 있어 인구 특성 상 식물성 위주의 식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으로 온라인에서 식물성 식품의 선택지가 더 다양하기 때문에 많은 비건 소비자들이 온라인에서의 구매를 고집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관세율 및 인증·수입규제
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에 따르면, HS Code 2202.99의 하위 분류에 따라 관세가 상이하며, 특히 식물성 음료가 포함되는 2202.99.90의 경우 리터 당 0.2센트의 관세가 적용된다. 그러나 한국산 제품의 경우 한미 FTA로 인한 관세 혜택에 따라 2202.90 하위 분류 품목에 있어 모두 무관세가 적용돼 왔다. 그러나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10%의 기본 관세가 도입돼 현재 해당 품목에 역시 10%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한미 FTA 상의 원산지 결정 기준에 따라 한국산으로 인정받는 제품은 미국 세관 통관 시 원산지증명서 등의 필요 서류를 갖춰야 함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원산지증명서 및 납품업체로부터 받은 원자재 확인서 등의 관련 서류는 통관 후에도 통관일로부터 5년간 보관해야 한다.
식물성 음료의 경우 미국 FDA의 식품 라벨링 규정(21 CFR 101)에 따라 영문 라벨에 1)제품명 2)용량 3)영양성분표 4)원재료 목록 및 알레르기 유발 물질 5)수입업체 또는 제조사명 및 주소를 반드시 표기해야 한다. 또한 우유(milk)라는 단어의 사용은 허용되지만 기존 유제품과의 영양 차이(칼슘, 단백질 등)을 자발적으로 병기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또한 오트+아몬드 음료와 같이 혼합 원료인 경우, 가장 많이 포함된 원료 순으로 나열되도록 권장하고 있다.
또한, 식물성 음료는 FDA의 바이오테러 대응법(Bioterrorism Act of 2002)의 적용 품목으로, FDA에 시설 등록과 사전 수입 통보(Prior Notice)를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등록 누락이나 사전 통보 생략 시 실제 통관 불허나 압류 사례가 발생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시사점
미국에서 식물성 음료 시장은 이미 성숙기에 접어들었다고 진단될 만큼 커다란 시장이다. 그러나 원료별(귀리, 콩, 아몬드 등) 점유율은 한국 시장과 다른 면이 있어 미국 진출을 위해서 시장 분석이 선행돼야 한다. 예를 들어, 한국은 전통적으로 두유(soy milk)가 식물성 음료의 대표격으로 자리잡았지만 미국 시장은 아몬드 음료 및 오트 음료의 인기가 압도적이며 대두가 주요 알레르기 유발 식품으로 분류되고 있고 콩에 대한 GMO 우려의 정도가 훨씬 높아 두유의 점유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식물성 음료는 그 마케팅에 있어서도 ‘친환경’, ‘유제품 대체’와 같은 젠지 및 비건 지향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문구를 강조하고 있는 것 역시 전 연령층이 두유를 보편적으로 섭취하는 한국과 차이점이다. 최근 미국 식물성 음료 시장의 주요 흐름 중 하나는 카페 및 커피 문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성장 중이라는 것으로,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이러한 소비 트렌드와 연계된 전략 역시 하나의 방법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Freedonia, IHS Markit Connect Global Trade Atlas, Trader Joe’s, Statista, FDA, 그 외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식물성 음료(우유 대체제)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한 스푼의 건강? 미국, 채소를 분말로 섭취하는 '그린 파우더' 시대
미국 2025-07-08
-
2
태국 음료 시장 동향
태국 2025-07-08
-
3
Agri Vietnam 2025로 보는 베트남 스마트팜 트렌드
베트남 2025-07-09
-
4
UAE 커피 시장동향
아랍에미리트 2025-07-08
-
5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6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1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2
2025년 미국 조선업 정보
미국 2025-05-08
-
3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4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5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6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