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에서 열린 ‘2025 프놈펜 미니 한류박람회’ 둘러보기
- 현장·인터뷰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정원혁
- 2025-07-08
- 출처 : KOTRA
-
캄보디아 프놈펜서 ‘미니’ 한류박람회 첫 개최… 성공적 출발
B2B 수출상담 400건 이상, MOU 4건 체결 / B2C·한류 콘텐츠 연계로 현지 호응 높아
KOTRA는 지난 6월 20~21일 양일간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2025 미니 한류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5000명 이상의 관람객이 참가한 이번 행사는 한류박람회 캄보디아에서는 최초로 개최되는 행사로, 향후 카자흐스탄 알마티 및 미국 뉴욕에서 예정된 후속 한류박람회의 출발점이자 신호탄 역할을 하는 의미 있는 행사였다.
<2025 프놈펜 미니 한류박람회 개최장소 (DIECE)>
[자료: KOTRA 프놈펜 무역관]
<2025 프놈펜 미니 한류박람회 개요>
행사명
2025 프놈펜 미니 한류박람회
(Mini-KBEE 2025 Phnom Penh)
* KBEE : Korea Brand & Entertainment Expo
개최 기간
2025.6.20.(금) ~ 21(토)
장소
프놈펜 다이아몬드 아일랜드 컨벤션 전시장
(Diamond Island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er, DICEC)
행사 내용
B2B 전시/수출 상담회, B2C 전시판촉, 한류콘텐츠 연계 이벤트 등
참가규모
(B2B) 국내기업 40개사, 해외바이어 130개사
(B2C) 대표브랜드관 8개사, 쇼케이스 26개사
(참관객) 약 5,000명 이상
전시품목
소비재 (화장품, 식품, 생활용품 등)
주 최
산업통상자원부
주 관
KOTRA
[자료: KOTRA 프놈펜 무역관]
이번 행사는 주캄보디아대한민국대사관과 캄보디아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 MOC)의 긴밀한 협력 아래 추진됐으며, 캄보디아 상공회의소(CCC), 캄보디아 개발위원회(CDC) 등 유관 기관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 속에 성황리에 개최됐다. 특히 Cham Nimul 캄보디아 상무부 장관이 직접 행사장을 방문해 참가 기업들의 제품을 일일이 둘러보고 관심을 표명함으로써, 한국 기업에 대한 현지 정부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었다. 개막식에서도 양국 간 경제 및 산업 협력에 대한 기대감이 강하게 드러나며, 이번 행사는 단순한 비즈니스 행사를 넘어 정책적·외교적 상징성을 가진 행사로 평가됐다.
<VIP 라인 투어 및 개막식>
[자료: KOTRA 프놈펜 무역관]
이번 박람회는 ①B2B 1:1 수출상담회 ②B2C 판촉전시 ③한류 콘텐츠 연계 이벤트로 구성돼, 소비재 분야 중심의 한국 기업 제품 홍보와 시장 진출 확대를 지원했다.
① B2B 1:1 전시/수출상담회 - 400여 건의 상담, 4건의 MOU 체결
이번 미니 한류박람회의 핵심인 B2B 상담회에는 국내 소비재 기업 40개사가 참가했으며, 이틀 간 총 130개 바이어와 400건 이상의 수출 상담을 진행했다. 그 결과 총 750만 달러 규모의 MOU 4건이 체결되는 실질적 성과를 달성했다.
이번 상담회는 K-Food, K-Beauty, K-Lifestyle 등 총 3개의 분야로 나눠서 구성했으며, 상담 테이블과 함께 제품 전시 부스를 병행 운영함으로써 사전 매칭 바이어 외에도 일반 관람객을 대상으로 제품홍보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의 자리였다.
<B2B 전시/수출 상담회, MOU 체결>
[자료: KOTRA 프놈펜 무역관]
② B2C 판촉행사 - 대표브랜드관 ‧ 쇼케이스관 운영
현지 소비자 대상으로 먹거리와 볼거리를 제공한 B2C 판촉 행사는 대표 브랜드관과 쇼케이스관으로 이원화해 구성됐다. 대표 브랜드관에는 현지 진출 주요 한국 브랜드 8개사((삼성전자, 알파문구, 현대자동차, 대한항공, 베리워즈, 팔도비나, 이마트24, 설빙)가 참가해 기업 홍보와 소비자 체험 기회를 제공했다. 쇼케이스관은 경상북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굿네이버스, K-Beauty 유통망, K-Live Booth 등 유관기관과 협력사가 운영을 맡아 다양한 홍보 프로그램과 체험 이벤트를 진행했다. 특히, 현장에서는 K-Food·K-Beauty 체험존을 운영해 일반 소비자들의 참여도를 높였으며, 미니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SNS 라이브 홍보를 통해 현지 홍보 효과를 제고했다.
<대표브랜드관 및 쇼케이스(B2C) 판촉행사>
[자료: KOTRA 프놈펜 무역관]
③ 한류 이벤트 문화행사 - 아시아모델페스티벌, K-Pop 월드 페스티벌 연계, 한류 홍보 진행
한류 콘텐츠를 접목한 문화행사도 현지에서 큰 호응을 얻었다.
1일차에는 아시아모델페스티벌조직위원회가 주관하는 ‘Face of Cambodia(아시아 모델 선발 예선)’가 진행됐으며, 2일차에는 ▲K-Food Cooking Show ▲K-Beauty Make Up Show ▲K-Pop 월드페스티벌 캄보디아 예선(창원시·KBS 월드 공동주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이어졌다. 이를 통해 한국 문화 콘텐츠에 대한 현지 대중의 관심을 재확인했으며, 향후 K-콘텐츠 기반 제품의 수출 가능성 확대에도 긍정적인 신호를 제공했다.
<한류 이벤트 문화 행사>
[자료: KOTRA 프놈펜 무역관]
한류박람회를 통한 캄보디아의 잠재가능성 확인
캄보디아는 1인당 GDP가 약 2000달러(2024 기준) 수준으로 아직은 저소득국에 해당하지만, 연 5% 내외의 고성장률, 젊은 인구구조(평균 연령 약 26세), 도시화 진전 등으로 향후 소비시장으로서의 잠재력이 높다. 특히 프놈펜은 외국 기업과 브랜드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시장으로, 20~30대 MZ세대를 중심으로 한류에 대한 호감도가 점차 확산되는 추세다. 특히 이번 행사는 한류 콘텐츠(K-Beauty, K-Pop, K-Food 등)를 결합한 복합형 모델로서 문화 기반 소비재 수출 시너지 창출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
자료: KOTRA 프놈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캄보디아에서 열린 ‘2025 프놈펜 미니 한류박람회’ 둘러보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호주 NSW주정부, 2035년 무역 및 투자 전략 발표
호주 2025-07-08
-
2
[기고] 귀임하지 않는 말레이시아 주재원 : 전환하는 인재를 조직은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말레이시아 2025-07-08
-
3
중국 영유아 보조식품 국가표준(GB 10769-2025) 개정
중국 2025-07-08
-
4
2025 동북아국제소비재박람회 현장 스케치
중국 2025-07-08
-
5
우리 기업이 자주 묻는 캐나다 진출 VOC 정리
캐나다 2025-07-08
-
6
2025년 콜롬비아 최저임금 인상 및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콜롬비아 2025-07-08
-
1
2025년 캄보디아 이커머스산업 정보
캄보디아 2025-03-21
-
2
2024 캄보디아 제조업 정보
캄보디아 2024-09-11
-
3
2021년 캄보디아 농업 정보
캄보디아 2021-12-27
-
4
2021년 캄보디아 건설 산업 정보
캄보디아 2021-12-27
-
5
2021년 캄보디아 산업 개관
캄보디아 2021-12-15
-
6
2021년 캄보디아 금융산업 정보
캄보디아 2021-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