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호주 NSW주정부, 2035년 무역 및 투자 전략 발표
  • 투자진출
  • 호주
  • 시드니무역관 김여빈
  • 2025-07-08
  • 출처 : KOTRA

NSW주, 2035년까지 무역·투자 협력시장 다변화 통한 경제탄력성 향상 목표

목표 달성 위한 2가지 원칙과 4가지 전략 제시

향후 10년간 주택건설, 신재생에너지, 제조업 3개 분야 집중 투자유치 계획

20255,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주(New South Wales, 이하 NSW) 정부는 『2035 NSW주 무역 및 투자 전략』을 발표했다. 이 전략서는 호주 내 가장 큰 경제규모를 차지하는 NSW주의 장기 수출 및 투자 전략을 담고 있어 호주 진출에 관심 있는 기업은 주목할 만하다.


해당 전략서는 『NSW주 산업 정책』(’25.3)에 기반하고 있으며, 향후 10년의 목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2가지 원칙, 그리고 4가지 전략(기둥)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2035년까지 수출 및 투자 측면에서 집중해야 할 산업분야 9가지를 보여주고 있다.

 

<2035NSW주 무역·투자 목표, 원칙 및 전략 프레임워크>

목표

NSW주의 경제적 복합성(complexity), 탄력성(resilience), 생산성(productivity) 증대를 위해 강점과 비교우위를 활용하여 투자 유치 및 수출 확대

원칙

[NSW주의 강점과 비교우위 활용]

NSW주의 상대적 강점인 천연자원, 인프라, 인적자원 및

기술력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 다각화할 수출기회 및 투자 분야 식별

 

[부상하는 기회를 활용한 이익 극대화]

동남아시아의 부상, 글로벌 자본의 이동(친환경 기술에 대한 투자 등),

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 세계 거시적 트렌드에 부합하는 신흥 기회 활용

전략

(기둥)

고성장 잠재수출자

시장 접근성 촉진

시장 확대 및 다변화

성장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투자유치

목표 지향적 투자를 통한 산업과제 실현

[자료: 2035 NSW주 무역 및 투자 전략]


NSW, 호주 경제의 중심


NSW주는 인구와 경제력 측면에서 호주에서 가장 규모가 큰 주(state)이다. 호주 통계청에 따르면, 20254월 기준 NSW주에는 851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이는 호주 전체 인구의 31.2%이다. 또한 2024GSP(Gross State Product)8210억 호주달러(5370억 달러)로 호주 전체 GDP32%를 차지한다. 2023/24년 기준 NSW주는 1,425억 호주달러(932억 달러)의 상품 및 서비스를 수출(당해연도 GSP17.4%)하여 NSW 경제에서 수출이 주요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NSW주는 다인종·다문화 지역으로 해외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뛰어나며 NSW 소재 스타트업은 2024년 호주 투자자본금의 65%를 차지할 만큼 호주의 혁신 엔진으로도 기능하고 있다


2035년 NSW 무역 및 투자 전략 목표


NSW주는 2035년까지 강점과 비교우위를 활용한 투자유치 및 수출촉진을 통해 경제 복합성(complexity), 탄력성(resilience), 그리고 생산성(productivity)을 향상시키는 것을 대목표로 두었다그리고 무역과 투자 부문에서 각각 목표의 구체적인 성공 기준을 아래와 같이 제시했다. 


2035년 무역 부문 성공 지표

·    NSW주의 수출을 1,000억 호주달러(654억 달러)에서 2,450 호주달러(1,603억 달러)로 증대

·    수출 상위 3개국 이외 국가의 수출 점유율을 56%에서 62.5% 이상까지 증가

·    수출 상위 3개 이외 품목의 수출 점유율을 58%에서 65% 이상까지 증가

·    10,000개 이상의 사업체가 신시장에서 성장하고 수출하도록 지원

2035년 투자 부문 성공 지표

·    NSW주정부 활동을 통해 30,000개의 고용(full-time) 창출 지원

·    250억 호주달러(164억 달러) 규모의 투자유치를 목표로, 이 중 175억 호주달러(114억 달러)는 『NSW주 산업 정책』 과제* 관련해 투자유치

   * NSW주 산업 정책』 과제 : ①주택공급, ②넷제로 및 에너지전환, ③제조업 강화

 [자료: 2035 NSW주 무역 및 투자 전략, KOTRA 시드니무역관 정리]


이 중 특히, 수출 규모의 양적 확대뿐 아니라 수출 대상국 및 품목의 다변화를 통해 특정국에 대한 경제의존도를 완화하고, 경제탄력성을 제고하려는 NSW주의 전략이 주목된다. NSW주 수출의 42.5%3가지 품목(석탄 23.4%, 교육 목적 여행 13.5%, 금 5.6%)에 집중되어 있으며 상품 수출의 43.8%는 상위 3개 시장(일본 23.3%, 중국 14.2%, 대만 6.3%)에 집중돼 있다. 주요 수출 품목인 석탄은 전 세계적인 청정에너지 전환 추세와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특히 높은 취약성을 지닌 품목으로 평가된다.

 

<NSW 상품·서비스 수출 상위 품목(2023/24)>

(단위: 십억 호주달러, %)

수출 품목

수출액

수출액 비중

연평균

성장률(5)

석탄

33.2

23.4

10.5

교육 목적 여행

19.2

13.5

6.8

8.0

5.6

32.8

개인 여행

7.6

5.3

-0.4

컨설팅서비스

5.4

3.8

5.4

금융서비스

4.3

3.0

3.7

정제 석유

2.8

1.9

13.2

IT 서비스

2.4

1.7

4.7

기술·무역서비스

2.3

1.6

-1.2

소고기

2.2

1.6

4.7

<NSW 상품 수출 상위 시장(2023/24)>

 (단위: 십억 호주달러, %)

수출 시장

수출액

수출액 비중

연평균

성장률(5)

일본

20.1

23.3

11.2

중국

12.2

14.2

4.7

대만

5.5

6.3

13.1

미국

4.9

5.6

7.2

한국

4.6

5.3

3.4

뉴질랜드

3.2

3.7

4.6

홍콩

2.8

3.3

19.9

베트남

2.2

2.5

14.4

스위스

2.0

2.3

2.1

인도네시아

1.9

2.2

27.2

*주 : 6월 27일 기준환율 AUD 1 = USD 0.65 

[자료: 2035 NSW주 무역 및 투자 전략]

 

투자 부문에서 호주는 오랫동안 국제 투자의 주요 수혜국이었다. 최근 5년간 NSW주에 가장 많이 투자한 국가는 영국과 미국으로 캐나다, 싱가포르, 일본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산업별로는 신재생에너지, 소프트웨어/IT 서비스 분야가 가장 많은 투자를 받아왔다. 한편, FDI에 대한 글로벌 경쟁 심화와 COVID-19 이후 투자 성장세 둔화라는 환경은 도전적인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동 전략서는 이에 대응해 2035년까지의 전략이 필요함을 암시했다.

 

<NSW5(회계연도 2020-2024) 상위 외국인직접투자(FDI) 공급 시장>

(단위: 백만 호주달러)

 

[자료: 2035 NSW주 무역 및 투자 전략]

 

<NSW5(회계연도 2020-2024상위 외국인직접투자(FDI) 산업 분야>

(단위: 백만 호주달러)

[자료: 2035 NSW주 무역 및 투자 전략]


목표 달성을 위한 2가지 원칙과 4가지 전략(기둥)


NSW 주정부는 상기의 목표 달성을 위해 2가지 원칙과 4가지 전략(기둥)을 제시했다.

 

원칙 ① NSW주의 강점과 비교우위 활용


NSW의 자체 비교우위를 강화하고 중점 산업의 발전을 촉진한다. NSW주는 높은 혁신성과 경쟁력을 갖춘 제조업체, 풍부한 고급 숙련 인력, 교육 및 연구 인프라를 보유해 첨단 제조업 분야의 강점을 가짐을 강조했다. 또한 디지털 기술, 청정에너지, 국방 및 항공우주, 헬스케어, 농식품, 로봇공학 연구개발 분야에서 강력한 역량과 경쟁우위를 보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원칙 ② 부상하는 기회를 활용한 이익 극대화


동 전략서에서 NSW 정부는 부상하는 기회의 시장으로 특히 ASEAN 지역을 주목했다. ASEAN은 인구 성장, 산업화, 도시화 및 기술발전이 경제성장을 빠르게 견인하고 있는 지역으로 2040년까지 세계 4대 경제권으로 성장이 예상된다. 한편 동북아시아는 고령화와 저출산, 저성장 시장으로 프리미엄 제품과 헬스케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관련 시장에서의 수출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전략(기둥)  고성장 잠재 수출자의 시장 접근성 촉진


NSW주에 따르면 NSW 내 사업체의 97.5%가 중소중견기업인 것에 반해, 3%만이 수출을 하고 있다. 이에 금융, 정보 장벽과 규제 복잡성을 완화할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해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시장 접근성을 높이고 수출 다각화를 지원하는 것을 첫 번째 전략으로 꼽았다.

 

전략(기둥)  시장 확대 및 다변화


두 번째는 시장 확대 및 다변화 전략으로, 비교우위를 보유한 시장에는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출을 집중 지원하고, 정부 과제와 부합하는 신흥 기회 시장에는 무역·투자 진출 확대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NSW 주정부는 베트남 시장에서 중산층 성장에 따라 와인 수요가 증가하는 기회를 포착해 2025년 베트남 와인 무역사절단을 수행하는 등 시장 다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략(기둥)  성장과 생산성을 끌어내기 위한 투자 유치


NSW주의 세 번째 전략은 혁신적인 분야에의 투자유치 확대다. 혁신은 경제성장과 생산성 향상을 견인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혁신적인 기업의 투자유치는 기술과 지식 이전, 기술 발전에 대한 기회를 확장해 경제 탄력성을 향상시킨다. NSW주는 아태지역에서 가장 비즈니스하기 좋은 투자지역임을 홍보해 나갈 계획으로, 2025SXSW Sydney, 2025 International Aeronautical Congress와 같은 글로벌 산업전시 유치 성공을 고무적으로 보았다.

 

전략(기둥)  목표 지향적 투자를 통한 산업 과제 실현


NSW주는 『NSW주 산업 정책』(’25.3)에 기반해 특히 3가지 분야에 있어 투자유치를 집중할 전략이다. 2035년까지 250억 호주달러(164억 달러) 투자유치 목표 중 175억 달러(114억 달러)는 해당 산업 분야에서 유치할 것을 구체적 목표로 제시했다.

 

<NSW주 산업 정책 프레임워크>


 

주택

(Housing)

합리적 가격의, 안전하고 

잘 설계된, 지속가능한 주택에

대한 접근성 향상

 

 

넷제로 & 에너지 전환

(Net Zero & Energy Transition)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청정에너지 기반의 지속가능한

저탄소 경제 실현

 

 

지역 제조업

(Local Manufacturing)

지역 제조업을 기반으로 

역동적이고 탄력적인 경제 실현


 과제 목표

 

  2029년 중반까지 377,000 개의 좋은 입지의 주택 건설

  2031년까지 적정가격의 21,000개 주택을 시장에 공급

  2031년까지 8,400개의 공공 주택을 시장에 공급 (사회적 약자 우선 제공)

 과제 목표

 

  2030년까지 2005년 탄소배출 수준의 50% 감축, 2035년까지 70% 감축, 2050년까지 넷제로 달성

  2030년까지 최소 12GW 규모 신재생에너지 발전과 2GW/16GWh 규모의 장기 저장 설비 구축

  2035년까지 100만 가구와 소상공인이 태양광 패널 및 배터리 시스템에 접근 확보

  2035년까지 NSW 교통부 운영 및 차량배출 넷제로 달성

 과제 목표

 

  2031년까지 제조업 부문 총부가가치(GVA), 연평균 실질 성장률 추세 유지

  2031~2040년 총부가가치(GVA)가 주 총생산(GSP)과 같거나 그 이상의 평균 성장률 달성

  2035년까지 향후 철도 차량에 최소 50%의 현지 조달 비율 달성


핵심 분야


 핵심 분야


 핵심 분야


[자료: 2035 NSW주 무역 및 투자 전략]


핵심 산업 분야


상기 3개 핵심 산업 분야 이외에 해당 전략서는 6개의 전략 산업 분야를 추가했다.


농식품

(Agrifood)

·     NSW는 매년 93억 호주달러(61억 달러) 규모의 농산물과 334억 호주달러(218억 달러) 규모의 식음료 제조 제품을 생산하며 호주 전체 농식품 수출의 1/5을 차지

·     식음료 제조업은 NSW에서 가장 큰 제조업 부문으로 4,500개 기업(호주 전체의 30%)66,000명 이상의 고용(호주 전체의 29%)을 창출

·     견고한 생산 및 가공 체계를 기반으로 생산되는 고품질의 농식품을 급성장하는 아시아 중산층 시장에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국방 및 항공우주

(Defense and Aerospace)

·     2022/23년 기준 NSW의 국방 및 항공 우주산업은 34억 호주달러(22억 달러)의 부가가치(GVA)를 창출, 직접 고용인력은 22,700명이며 호주 국방 및 우주 산업의 40%NSW에 기반을 두고 있음

·     NSW의 우주산업은 호주 우주 경제 성장의 핵심 축으로, 호주 전체 우주 관련 수익의 최대 75%를 창출하고 최첨단 연구 시설 다수 보유

디지털기술

(Digital Technologies)

·     NSW는 호주에서 기술 산업이 가장 발달한 주로 342,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으며, 670억 호주달러(438억 달러)의 가치를 발생시킴. 또한 관련 분야에서 17개 유니콘 기업 배출

·     특히,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 양자 기술, 스마트시티 및 사물인터넷(IoT), 핀테크 기술에 강점이 있어 NSW의 성장 기대 분야

국제 교육

(International Education)

·     2023/24 회계연도 기준, NSW주 국제교육 부문은 190억 호주달러(124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창출

·     호주는 미국, 영국 다음으로 인기 유학지로 꼽히고 있으며, NSW주는 호주 내에서 39%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

생명과학 및 헬스케어

(Life sciences and Healthcare)

·     NSW 헬스케어 산업은 600억 호주달러(392억 달러)의 부가가치를 창출(’24)했으며 호주 의료기기 매출의 37%를 차지해 호주 최대 의료기기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음. ResMed, Stryker과 같은 글로벌기업도 다수 소재

·     NSW는 초기 단계 임상시험 분야에서 전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지역으로 평가받으며 미국보다 평균 28% 저렴하고 연방정부 R&D 세액 공제를 적용하면 최대 60%까지 비용 절감 가능

광산 장비/기술/서비스

(METS)

·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METS 장비 및 기술 상당수는 NSW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NSWMETS 산업은 490억 호주달러(321억 달러)의 매출 발생시켜 호주 전체 매출의 41.2%를 차지

·     해당 산업은 수출 지향적 성격이 강하며 고부가가치 수출산업으로 글로벌 공급망 산업에서 주요 산업으로 분류

 [자료: 2035 NSW주 무역 및 투자 전략, KOTRA 시드니무역관 정리]


시사점


2035 NSW주 무역 및 투자 전략』의 핵심은 비교우위 산업의 수출 및 투자 확대를 통해 경제성장을 도모하고 특정국과 특정품목에 집중되어 있는 경제구조를 탈피, 진출 시장의 다변화를 통해 경제탄력성을 높이는 것이다. 2035년까지 수출 상위 3개국 이외 국가의 점유율을 증가시킨다는 목표(56% 62.5%)가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전략에 비추어보면 한국은 향후 10년간 더 중요한 무역·투자 파트너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 2023/24NSW4위 상품교역규모 파트너)


특히, 호주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은 주택 건설과 탄소중립 산업 분야 협력 가능성에 주목할 수 있다. 2025년 호주 총선에서도 주택가격 안정을 중심으로 한 생계비 이슈가 중요했던 만큼, NSW주는 10년간 주택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며 이 과정에서 주택 건설 관련 프로젝트, 건축 자재 소싱 및 최신건설기술공법(MMC) 등에 대한 협력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NSW주는 최대 수출 품목인 석탄에서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수출로의 전환을 적극 도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3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프로젝트, 관련 기자재 및 기술 협력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NSW Trade and Investment Strategy 2035, NSW Industry Policy, 호주 통계청 및 KOTRA 시드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호주 NSW주정부, 2035년 무역 및 투자 전략 발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