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 전자 집적회로 및 부품 시장동향
- 상품DB
- 태국
- 방콕무역관 김지현
- 2025-07-07
- 출처 : KOTRA
-
태국 전자산업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반도체, 전자 집적회로(IC) 등을 중심으로 성장해온 아세안 주요 제조 허브 중 하나
2024년 기준 태국의 전자 집적회로(IC) 생산용량은 291억 유닛, 생산량은 204억 유닛으로, 전년(260억 유닛) 대비 21.5% 감소
2024년 기준 수출량은 377억 유닛으로, 전년 대비 4.2% 감소한 반면, 내수용 공급량은 1억 4100만 유닛으로 전년 대비 33.2% 증가
최근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트렌드는 인공지능(AI)의 빠른 성장에 힘입어 변화하고 있다. 컨설팅 회사 PWC에 따르면 컴퓨팅 반도체의 비중이 2030년 41%로(2020년 36%→2030년 41%) 확대되는 반면, 통신 반도체의 비중은 2030년 31%로(2020년 35%→2030년 3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자동차, 산업용 반도체는 각각 6~13% 수준의 점유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2020~2030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용도별 점유율 추이>
[자료: PWC(2024), Krungsri Research]
태국 전자산업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반도체, 전자 집적회로(IC) 등을 중심으로 성장해 온 아세안 주요 제조 허브로, 2025~2027년에도 안정적인 성장세가 예측된다. 특히, 최근 미·중 갈등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 속에서 ‘프렌드 쇼어링(friend-shoring)’* 전략이 확산되면서, 태국은 다국적 전자 기업들의 생산 거점 대상국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IC 설계, 패키징, 테스트 등 고부가가치 공정에 대한 외국인 투자 유치로 이어지고 있으며, 태국 정부 또한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과 태국투자청(BOI)의 세제 인센티브를 통해 이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현재 태국은 전 세계 주요 전자제품 수출국으로, 전자부품 및 장비의 수입 후 가공·조립해 재수출하는 수출지향적 산업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 정치·외교적으로 우호적인 국가들끼리 공급망을 구축하고 생산 거점을 이전하거나 집중하는 전략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품목명
8542
전자집적회로 (Electronic integrated circuits)
8542.90
부분품 (Parts)
[자료: 태국 관세청(Thai Customs)]
시장 규모
태국 전기전자연구소(EEI)에 따르면 태국의 전자 집적회로(IC) 시장은 2020년 123억 달러에서 2021년 151억 달러(22.91% 증가), 2022년 191억 달러(26.52% 증가)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다. 이는 코로나19 기간 원격근무, 온라인 수업 확산에 따른 정보통신기기 수요 증가와 더불어, 차량용 반도체 수요가 급증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다만, 2023년에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재고 누적, 칩 과잉 공급 등의 영향으로 성장률이 1.99%에 그치며 시장 규모는 195억 달러에 머물렀다. 그러나 2024년 들어 반도체 수급 안정과 전방산업 회복에 힘입어 시장이 반등하며, IC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9.81% 급증한 253억 달러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 전자 집적회로(IC)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시장 규모
12,274
15,086
19,087
19,467
25,271
증감률
(전년 동기 대비)
7.57%
22.91%
26.52%
1.99%
29.81%
[자료: 태국 전기전자연구소(EEI)]
수급현황
태국 산업경제국(OIE)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태국의 전자 집적회로(IC) 생산용량은 291억 유닛, 생산량은 204억 유닛으로, 전년(260억 유닛) 대비 21.5% 감소하며 생산량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역시 377억 유닛으로, 전년 대비 4.2% 감소해 다소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반면, 내수용 공급량은 1억 4100만 유닛으로 전년 대비 33.2% 증가하며 내수 수요가 다소 회복된 모습을 보였다.
<태국의 전자 집적회로(IC) 수급 현황(수량 기준)>
(단위: 백만 유닛, %)
구분
2021
2022
2023
2024
‘24년 증감률
(전년 동기 대비)생산
28,055
27,797
26,050
20,443
-21.5
수출
44,250
45,939
39,409
37,748
-4.2
내수
113
139
106
141
33.2
[자료: 태국 산업경제국(OIE)]
한편, 태국 전기전자연구소(EEI)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태국의 전자 집적회로(IC) 생산금액은 86억 63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9.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수출액은 86억 4900만 달러로 전체 생산액의 99.8%를 차지하며, 여전히 IC 산업이 수출 중심 구조임을 보여준다. 반면, 내수용 공급 금액은 14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2.0% 증가했으나, 전체 생산 대비 비중은 0.2%로 미미한 수준에 머물렀다. 주요 수출국은 홍콩(21억 1800만 달러), 싱가포르(8억 6500만 달러), 말레이시아(7억 5400만 달러), 대만(6억 9800만 달러) 등으로 주요 5개 수출국에 대한 수출 비중이 절반 이상인 59.5%인 것으로 집계됐다.
<2020~2024년 태국의 전자 집적회로(IC) 수급 현황(금액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4년 증감률
(전년 동기 대비)생산
7,110
(100.0)8,255
(100.0)9,245
(100.0)9,596
(100.0)8,663
(100.0)-9.7
수출
7,100
(99.9)8,242
(99.8)9,230
(99.8)9,584
(99.9)8,649
(99.8)-9.8
내수
9
(0.1)13
(0.2)16
(0.2)12
(0.1)14
(0.2)22.0
주1: 괄호 안 비중
[자료: 태국 전기전자연구소(EEI)]
수출 동향
시장조사기관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태국의 집적회로 부품(HS Code 8542.90) 수출 금액은 약 8억 7276만 달러로 전년 대비 5.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출국은 말레이시아(3억2262만 달러), 대만(1억2398만 달러), 중국(1억1288만 달러), 홍콩(1억944만 달러), 싱가포르(4022만 달러) 순으로, 상위 5개국이 전체 수출의 약 77.1%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말레이시아는 전년 대비 81.25% 증가하며 태국의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반면, 한국으로의 수출은 984만 달러로 전년 대비 64.17% 급감하며 전체 순위에서 11위를 기록했다.
<태국의 집적회로 부품(HS Code 8542.90) 수출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4년 증감률
(전년 동기 대비)전체
615,964
644,387
790,724
827,679
872,763
5.45
1
말레이시아
147,921
194,697
228,349
177,903
322,619
81.35
2
대만
132,163
72,030
120,980
146,551
123,984
-15.40
3
중국
75,809
85,212
89,389
120,847
112,883
-6.59
4
홍콩
86,191
100,367
109,393
96,468
109,438
13.44
5
상가포르
42,695
30,660
44,192
60,158
40,219
-33.15
6
일본
34,899
36,812
36,155
47,660
36,192
-24.06
7
필리핀
29,277
48,888
49,409
34,463
35,395
2.70
8
멕시코
5,525
15,142
39,187
15,840
17,646
11.41
9
미국
20,928
22,390
23,264
26,575
15,560
-41.45
10
독일
6,601
6,050
12,497
24,551
13,497
-45.03
11
한국
9,488
6,536
8,450
27,473
9,844
-64.17
[자료: Global Trade Atlas('25.06.18.)]
수입 동향
시장 조사기관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태국의 전자 집적회로 부품(HS Code 8542.90) 수입 금액은 약 42억 782만 달러로, 전년 대비 15.7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요 수입국은 대만(10억7417만 달러), 일본(9억2918만 달러), 미국(6억869만 달러), 싱가포르(3억4738만 달러), 중국(2억5702만 달러) 순으로, 상위 5개국 수입액이 전체의 약 76.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1억9233만 달러로 전년 대비 35.21% 감소하여 전체 8위를 기록했다.
<태국의 전자 집적회로 부품(HS Code 8542.90)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4년 증감률
(전년 동기 대비)전체
3,418,742
4,210,244
5,170,602
4,994,506
4,207,824
-15.75
1
대만
598,312
792,267
1,172,047
1,134,545
1,074,166
-5.32
2
일본
767,389
908,608
970,917
880,366
929,175
5.54
3
미국
902,842
979,944
1,113,598
840,886
608,688
-27.61
4
싱가포르
255,007
332,388
432,231
483,889
347,377
-28.21
5
중국
185,048
232,548
316,522
389,521
257,015
-34.02
6
독일
108,000
156,592
176,135
359,435
216,257
-39.83
7
네덜란드
111,562
164,892
202,421
209,897
209,582
-0.15
8
한국
180,076
286,892
346,706
296,833
192,327
-35.21
9
말레이시아
78,711
84,701
134,628
128,973
89,020
-30.98
10
이탈리아
59,737
74,433
73,013
82,652
80,223
-2.94
[자료: Global Trade Atlas('25.06.18.)]
경쟁 동향
태국 산업개발국(DBD)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태국 내 반도체 및 전자 집적회로(IC) 제조업체(산업분류 코드 26104 기준)는 총 116개 사로 집계됐다. 이 중 주요 업체들은 대부분 외국계 자본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태국 내 제조시설을 통해 글로벌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매출 규모를 기준으로 보면, 2024년 기준 네덜란드계 기업 NXP MANUFACTURING (THAILAND) 사가 약 330억 바트(약 1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이어 중국계 FIRST MATERIAL SCIENCE (THAILAND) 사가 약 46억 바트(약 1억 4000만 달러), 일본계 TOSHIBA SEMICONDUCTOR (THAILAND) 사가 약 32억 바트(약 9740만 달러)로 뒤를 잇는다. 이 외에도 한국계 KEC (THAILAND) 사는 약 30억 바트(약 9129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태국 내 반도체 및 전자 집적회로 제조 분야에서 주요 경쟁업체 중 하나로 평가된다.
한편, 중국 사모펀드가 지분 100%를 보유한 GINTECH (THAILAND) 사는 비교적 최근(2015년)에 설립되었으며, 2023년 기준 약 11억 바트(약 3347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 전자 집적회로(IC) 제조 산업 경쟁업체 현황>
(단위: 억 바트)
기업명/기업로고
설립연도
기업정보
NXP MANUFACTURING (THAILAND) LTD.
1974
- 본사: 네덜란드
- 지분: 네덜란드 100%
- 자본금: 약 49억 바트(약 1억 4915만 달러)
- 산업군: 반도체 및 집적회로의 제조
- 매출액(2024): 약 330억(약 10억 달러)
FIRST MATERIAL SCIENCE (THAILAND) CO.,LTD.
2016
- 본사: 중국
- 지분: 중국 100%
- 자본금: 약 22억 바트(약 6696만 달러)
- 산업군: 반도체 및 집적회로의 제조
- 매출액(2024): 약 46억 바트(약 1억 4000만 달러)
TOSHIBA SEMICONDUCTOR (THAILAND) CO.,LTD.
1990
- 본사: 일본
- 지분: 일본 98%, 태국 2%
- 자본금: 약 12억 바트(약 3650만 달러)
- 산업군: 반도체 및 집적회로의 제조
- 매출액(2024): 약 32억 바트(약 9740만 달러)
KEC (THAILAND) CO.,LTD.
1990
- 본사: 한국
- 지분: 한국 100%
- 자본금: 약 13억 바트(약 3954만 달러)
- 산업군: 반도체 및 집적회로의 제조
- 매출액(2024): 약 30억 바트(약 9129만 달러)
GINTECH (THAILAND) LIMITED
2015
- 본사: 중국
- 지분: 사모아 100%
- 자본금: 약 21억 바트(약 6390만 달러)
- 산업군: 반도체 및 집적회로의 제조
- 매출액(2023): 약 11억 바트(약 3347만 달러)
[자료: 태국 사업개발국(DBD),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동향
태국의 전자 집적회로(IC) 산업은 패키징 및 조립 중심의 노동집약적 중간재 생산 구조를 기반으로 대부분의 생산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기술집약적인 웨이퍼 등은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컴퓨터(AI-PC), 전기차,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따라 고부가가치 IC와 플렉서블 PCB 등 첨단 부품 수출이 확대되고 있으며, 일부 물량은 태국 내 스마트 전자기기 및 전기차(EV) 조립 산업으로도 유통되는 등 내수 공급 비중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태국 전기전자연구소(EEI)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태국 내 제조된 전자 집적회로(IC)와 인쇄회로(Printed Circuit) 기판 공정품의 수출 비중은 전체의 9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그중 5%만이 전자제품 제조 등 후방 산업으로 들어가 태국 내 컴퓨터, 자동차 완제품 생산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태국의 전자 집적회로(IC) 공급망>
[자료: 태국 투자청(BOI)]
관세율 및 인증
태국에서는 집적회로(IC) 및 부분품을 포함한 대부분의 제조용 원자재와 완제품에 대해 기본적으로 0% 관세율이 적용되며, 신제품 수입 시 별도의 수입허가 절차 없이 수입이 가능하다. 반면, 중고 IC 및 부품의 경우에는 사용 목적 및 상태에 따라 DIW(산업작업국) 등 관련 기관의 심사가 필요한 경우가 있어, 수입 전 해당 기관에 사전 운영 목적과 조건을 확인하는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태국 전자 집적회로 부품(HS Code 8542.90) 수입관세>
8542.90
품목명(한글/영문)
전자집적회로 부분품 (Electronic integrated circuits Parts)
수입관세
일반세율: 0%
부가가치세
7%
[자료: 태국 관세청 통합관세조회 시스템]
시사점 및 전망
태국 전자 집적회로(IC) 및 부품 산업은 글로벌 반도체 수요 변화와 공급망 재편 흐름에 따라 구조적 전환기에 진입하고 있다. 컴퓨팅과 차량용 반도체 수요가 확대되는 가운데, 태국은 안정적인 정치·경제 환경과 투자 인센티브를 바탕으로 다국적 전자 기업의 생산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2024년에는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약 30% 성장하며 반등에 성공했으며, 내수 수요도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전체 생산의 99% 이상이 수출에 집중돼 있는 산업 구조는 내수 기반이 여전히 취약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향후 태국 IC 산업은 고부가가치 공정 확대, 내수 수요 창출, 전략적 수출 다변화 등을 통해 공급망 충격 대응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태국의 전자 집적회로(IC) 수출 및 제조 산업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은 오는 8월 20~22일까지 방콕 국제무역전시센터(BITEC)에서 개최되는 ‘태국 전자 회로 아시아 2025(Thailand Electronics Circuit Asia 2025, THECA 2025)’에 참가하여 PCB·PCBA 중심의 전자 부품 기술 트렌드 및 현지 수요 구조를 파악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다. 본 박람회에는 450개사 이상의 기업과 7,000명 이상의 바이어 및 관계자들이 참석할 예정으로, 태국 및 아세안 전자부품 시장 진출을 위한 유력한 네트워킹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태국 전자 회로 아시아 (THECA) 2025 개요>
행사명
태국 전자 회로 아시아 2025
(Thailand Electronics Circuit Asia (THECA) 2025)
개최기간
2025년 8월 20일 ~ 8월 22일
개최장소
BITEC(Bangkok International Trade & Exhibition Centre)
전시품목
PCB·PCBA 중심 기술전시 및 국제 포럼
개최규모
예상 참가 인원: 7,000명 이상
예상 참가 기업: 450개 사 이상
[자료: Thailand Electronics Circuit Asia 2025]
자료: 태국 전기전자연구소(EEI), 태국 투자청(BOI), 태국 산업경제국(OIE), 태국 상무부(MOC), 태국 사업개발국(DBD), Corpus X, 태국 관세청 통합관세조회 시스템, Krungsri Research, EETAsia, Thailand Electronics Circuit Asia,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방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전자 집적회로 및 부품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러시아 자동차 부품 시장 동향
러시아연방 2025-07-07
-
2
UAE 인스턴트 라면 시장 동향
아랍에미리트 2025-07-07
-
3
2025 한·말 반도체 협력사업 참관기
말레이시아 2025-07-07
-
4
파키스탄 전기자동차 시장동향
파키스탄 2025-07-07
-
5
중국 천연흑연 시장동향
중국 2025-07-07
-
6
인도 전기차 시장동향
인도 2025-07-07
-
1
2025년 태국 데이터 센터 산업 정보
태국 2025-05-30
-
2
2025년 태국 보석산업 정보
태국 2025-03-06
-
3
2024년 태국 금융산업 정보
태국 2024-05-10
-
4
2024 태국 물류산업 정보
태국 2024-04-11
-
5
2024 태국 건설산업 정보
태국 2024-04-09
-
6
2024년 태국 관광산업 정보
태국 2024-01-24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