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천연흑연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5-07-07
- 출처 : KOTRA
-
Keyword #흑연 천연흑연 중국 시장
2024년 중국 천연흑연 시장규모 약 35억 위안
중국 전략적 신산업 발전에 따라 천연흑연 수요 증가
상품명 및 HS CODE
흑연은 탄소(C) 원소의 동소체 중 하나로, 6개 탄소가 고리를 이룬 판상의 육방정계 결정구조를 가진 광물을 가리킨다. 생성원인 및 제조 방법에 따라 천연흑연과 인조흑연으로 구분하며, 본 보고서에서는 천연흑연을 다루고자 한다.
탄소 물질의 변성 작용)
고온 열처리해 생성
광산에서 흑연 광물 채굴 → 분쇄 및 정제 → 분급
천연흑연의 HS코드는 250410이며, 결정 구조와 순도에 따라 인상(鱗狀)흑연과 토상(土狀)흑연으로 구분된다. 중국에서 생산 및 통계에 반영되는 '천연흑연'은 주로 인상흑연을 의미한다. 특히 중국 내에서는 토상흑연에 대한 수요가 적어, 일반적으로 통계 수치에 포함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흑연 광석을 고품질 음극재 제조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기 위해, 불순물을 제거한 구형(球形)흑연이 천연흑연으로 분류돼 통계에 포함되고 있다.
천연흑연은 우수한 내산성, 내화성, 낮은 마찰계수, 강한 전기·열 전도성을 지녀 야금·제철, 전기전자, 화학, 자동차, 원자력, 군사공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상품명
HS 코드
가루 모양이나 플레이크(flake) 모양(천연흑연)
시장동향
천연흑연은 기계, 야금, 화학, 전자, 군사, 항공우주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몇 년간은 신에너지차 산업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음극재의 핵심 원재료인 천연흑연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그러나 2024년에 처음으로 수요가 감소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천연흑연 생산국으로, 전 세계 공급 시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중국 시장조사기관 Baiinfo에 따르면, 2024년 중국 내 천연흑연 소비량은 총 49만2159톤에 달했다. 연간 평균 판매가격은 내수 및 수입을 포함해 톤당 7066위안이었으며, 전체 시장 규모는 약 34억8000만 위안에 이르렀다.
<2020~2024년 중국 천연흑연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
[자료: Baiinfo, 관즈네하이컨설팅]
중국에서 천연흑연은 주로 내화재, 음극재, 밀봉재, 야금 등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그중 세라믹, 도자기 제조 등 내화재 제조가 중국 전체 천연흑연 소비의 23.1%로 최대 소비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배터리 음극재 21.5%, 밀봉재 13.5%로 그 뒤를 이었다.
<2023년 중국 천연흑연 소비구조>
(단위: %)
[자료: Baiinfo]
수출입 동향
중국은 흑연을 이중용도 수출통제 품목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수출통제법>에 따라 수출 시 상무부의 심사를 거쳐 ‘이중용도 수출허가증’을 취득해야만 수출통관이 가능하다. 중국 정부의 전략광물에 대한 수출통제 관리가 점차 강화 및 집중화되면서, 관련 광물의 수출량도 점차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중국 천연흑연의 수출액은 1억7936만 달러로, 이는 전년 대비 31.8% 감소, 2022년 대비 50.6% 감소한 수치다. 한국은 중국의 최대 수출국으로 2024년 한국향 수출액은 4878만 달러로 이는 전년 대비 53.9%, 2022년 대비 67.1% 감소한 수치다.
<중국 천연흑연(HS 250410) 수출 규모>
(단위: US$ 만, %)
순위
국가
수출액
수출 비중
증감률
('24/'23)
2022년
2023년
2024년
2022년
2023년
2024년
전 세계
36,304
26,292
17,936
100.0
100.0
100.0
-31.8
1
한국
14,833
10,590
4,878
40.9
40.3
27.2
-53.9
2
미국
8,585
5,379
4,507
23.6
20.5
25.1
-16.2
3
일본
5,907
5,272
4,168
16.3
20.1
23.2
-20.9
4
인도네시아
123
134
932
0.3
0.5
5.2
593.5
5
독일
1,245
709
869
3.4
2.7
4.8
22.7
6
인도
1,151
1,134
240
3.2
4.3
1.3
-78.8
7
프랑스
10
33
232
0.0
0.1
1.3
604.6
8
러시아
220
316
173
0.6
1.2
1.0
-45.1
9
네덜란드
798
339
173
2.2
1.3
1.0
-49.0
10
슬로베니아
183
149
145
0.5
0.6
0.8
-2.3
[자료: GTA, 2025.05.15]
중국 천연흑연의 수입량도 점차 감소했으며, 2024년 중국 천연흑연의 수입액은 2037만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62.1% 감소, 2022년 대비 82.6% 대폭 감소했다. 주요 수입국을 살펴보면, 마다가스카르, 모잠비크, 탄자니아 등 3개국으로부터의 천연흑연 수입액이 중국 전체 천연흑연 수입액의 75%를 차지했다.
<중국 천연흑연(HS 250410) 수입 규모>
(단위: US$ 만, %)
순위
국가
수입액
수입 비중
증감률(%)
('24/'23)
2022년
2023년
2024년
2022년
2023년
2024년
전 세계
11,706
5,375
2,037
100.0
100.0
100.0
-62.1
1
마다가스카르
3,705
1,656
831
31.6
30.8
40.8
-49.8
2
모잠비크
7,127
3,180
502
60.9
59.2
24.6
-84.2
3
탄자니아
-
-
198
-
-
9.7
417952.0
4
독일
161
95
130
1.4
1.8
6.4
37.8
5
일본
293
111
111
2.5
2.1
5.5
0.5
6
영국
79
71
97
0.7
1.3
4.8
37.5
7
중국*
32
68
48
0.3
1.3
2.3
-30.3
8
미국
72
69
34
0.6
1.3
1.7
-49.9
9
노르웨이
76
39
31
0.6
0.7
1.5
-21.5
10
스리랑카
4
13
15
0.0
0.2
0.7
17.6
*주: 중국에서 생산한 후 해외로 출하한 상품이 원산지 규정에 따라 변형 가공해 중국에 수입되면 ‘對중국 수입’으로 집계됨
[자료: GTA, 2025.05.15]
특히, 한국은 2022년 중국 구형흑연(HS 25041091)의 최대 수출국이었으나, 2023년부터 중국의 對한국 구형흑연 수입량이 급감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액 기준, 2024년 중국의 對한국 구형흑연 수입액은 3980달러로 전년 대비 99% 감소했다.
(단위: US$, %)
순위
국가
수입액
수입 비중
증감률
('23/'24
2022년
2023년
2024년
2022년
2023년
2024년
전 세계
898,305
864,442
58,050
100.0
100.0
100.0
-93.3
1
일본
75,175
262,803
32,241
8.4
30.4
55.5
-87.7
2
스위스
9,994
6,835
10,132
1.1
0.8
17.5
48.2
3
중국
4,283
266,180
9,185
0.5
30.8
15.8
-96.6
4
한국
802,132
273,629
3,980
89.3
31.7
6.9
-98.6
5
스웨덴
-
624
1,259
-
0.1
2.2
101.8
*주: 중국에서 생산한 후 해외로 출하한 상품이 원산지 규정에 따라 변형 가공해 중국에 수입되면 ‘對중국 수입’으로 집계됨
[자료: GTA, 2025.05.15]
경쟁동향
중국은 흑연을 전략적 광물자원으로 지정해 국가차원에서 흑연의 자원 채굴부터 제품품질관리, 환경보호감독까지 포함한 산업망의 전반적인 단계에 대해 직접 관리*하고 있다.
* ➀ 2012년 11월 중국 공업정보화부, '흑연산업진입조건'(《石墨行业准入条件》) 발표 ➁ 2016년 11월 중국 국토자원부 등 6개 부처, '국가광물자원계획(2016~2020)'(《全国矿产资源规划(2016~2020年)》)발표, 흑연을 전략적 광물자원목록에 포함시켜 자원 관리 강화 ➂ 2020년 6월 공업정보화부, '흑연산업규범조건'(《石墨行业规范条件》)을 발표해 산업 진입조건 세분화 관리
점차 강화되는 국가정책의 관리 하에, 중국 천연흑연의 채굴·생산·유통 등은 업계 몇 개의 대표적인 선두기업에 고도로 집중돼 있다. CR4(업계 상위 4개 기업집중도)는 84%에 달한다. 또한, 중국의 천연흑연 생산기업은 대부분 흑연광산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인 헤이룽장성에 분포돼 있다.
중국 내 주요 천연흑연 생산기업은 아래 표와 같다.
<중국 내 주요 천연흑연 생산기업 리스트>
회사명
지역
특징
Btr New Material Group Co.,ltd.
(https://www.btrchina.com/)
선전
- 흑연 광산 채굴부터 완제품 생산까지의 완전한 산업체인 보유
- 헤이룽쟝성에 흑연 광산 보유
- 중국 음극재 판매량 1위 기업
China Minmetals Co.,Ltd.
(https://www.minmetals.com.cn/)
베이징
- 1950년에 설립된 중국 중앙정부에서 직접 관리하는 국유기업으로 글로벌 500대 기업
- 헤이룽쟝성에 위치한 인상흑연 광산 보유
CHINA GRAPHITE GROUP
(http://www.yxxny.cn/)
헤이룽장
- 1999년에 설립된 중국 천연흑연 생산 대표기업이며, 채광·가공·유통 등 완전한 산업 사슬 보유
- 연간 생산능력은 인상흑연 5만 톤, 토상흑연 1만 톤
AOYU GRAPHITE GROUP
(https://www.aoyugroup.cn/)
헤이룽장
- 1988년에 설립했으며, 흑연 채광, 선광, 수출에 주력하고 있는 업계 선두 기업
- 흑연 자원 총 매장량은 142만8000톤에 달함.
- 연간 생산능력은 15만 톤
[자료: 각 기업 웹사이트]
유통구조
중국에서 천연흑연의 거래는 주로 흑연 채광 및 생산업체가 이차전지 음극재 제조업체, 철강 제조업체 등 국내외 다운스트림 기업과 장기 판매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일부 다운스트림 대기업들은 자사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직접 원재료인 흑연 생산라인을 구축해 자사의 수요를 충족하면서 타 기업에 납품까지 하는 방식도 존재한다.
관세율 및 수입통제
2025년 기준, 한국산 천연흑연(HS 250410)의 對중국 수출 시 최혜국관세율(MFN)은 3%, 한중 FTA 및 RCEP 관세율은 모두 0%다. 또한, 별도의 인증 또는 검역조건 없이 한국에서 중국으로 수출이 가능하다.
<2025년 기준 중국 천연흑연(HS 250410) 수입 관세율>
HS Code 구분
MFN 관세
한중 FTA
RCEP
증치세
250410 (천연흑연)
3%
0%
0%
13%
[자료: 2025년 중국 수출입세칙]
시사점 및 전망
천연흑연은 현대산업 발전에 있어 중요한 비금속 광물 자원으로 독특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내화재, 철강과 같은 전통적인 산업뿐만 아니라 앞으로 신에너지, 신소재 등 전략적 신산업의 발전에 따라 천연흑연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흑연산업은 다운스트림 기업들의 기술력 업그레이드에 따라 원재료에 대한 수요도 일반 천연흑연에서 구형흑연, 인조흑연, 실리콘-탄소음극재(硅碳负极) 등 신소재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인 점도 주목할 만하다.
다만 중국 천연흑연 산업의 심층가공 기술은 아직 상대적으로 뒤떨어져 있어 일부 고순도 천연흑연 제품은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물론 중국 기업들도 제품품질 개선, 응용분야 확장, 환경보호 대응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면서 경쟁 우위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들은 고품질 천연흑연 제품을 중국에 직접 수출하거나, 관련 현지 로컬기업과 신제품 개발, 폐수 처리기술, 에너지 재생 등 다방면에서 협력을 도모해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천연흑연은 중국의 전략자원인 만큼 시장이 정책 변화에 크게 반응하고 있어 우리 기업들은 중국 중앙정부가 발표하는 각종 정책·법규·조치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상응한 진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자료: 관즈네하이컨설팅(观知海内信咨询), Baiinfo,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및 KOTRA 베이징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천연흑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콘서트 한번에 도시가 들썩! 중국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콘서트 소비
중국 2025-07-04
-
2
헤어케어제품
인도네시아 2025-07-07
-
3
2025 한·말 반도체 협력사업 참관기
말레이시아 2025-07-07
-
4
태국 전자 집적회로 및 부품 시장동향
태국 2025-07-07
-
5
합성수지
벨기에 2025-07-07
-
6
[기고] 중국 진출 한국기업의 안전생산 리스크 및 대응 전략
중국 2025-07-07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