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AE 인스턴트 라면 시장 동향
- 상품DB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강동훈
- 2025-07-07
- 출처 : KOTRA
-
편의식 수요 확대에 힘입어 UAE 인스턴트 라면 시장 연평균 6% 성장 전망
한국은 UAE의 최대 라면 공급국으로 UAE 라면 수입의 42.2% 차지
라면 관련 HS코드 및 UAE 라면 시장
HS 코드 190230은 통상 인스턴트 면류(라면 등)를 가리키며, 스파게티·마카로니 등과 더불어 기타 파스타 제품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끓이거나 컵으로 바로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라면(봉지라면, 용기라면 등)이 모두 해당된다.
UAE 라면 시장에서 유통되는 주요 브랜드로는 인도네시아 Indomie(인도미), 글로벌 식품사 Nestlé(네슬레)의 Maggi(매기), 싱가포르 Koka(코카) 등이 전통적인 강세를 보인다. 이 외에도 한국 농심의 신라면,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 등 K-라면 제품들도 인기를 얻고 있다.
<UAE 주요 인스턴트 라면 제품 및 가격>
브랜드/제품명
규격
판매 가격(AED)
비고
Indomie Mi Goreng(인도미 미고랭)
80g x 5개입
9.5
인도네시아산 볶음면
Nestlé Maggi Chicken noodle
(네슬레 매기 치킨누들)
77g x 5개입
4.2
UAE 인기제품
Koka Chicken noodle cup(코카 치킨 누들 컵)
70g
4.29
싱가포르산, 컵 타입
농심 신라면
120g x 5개입
19.99
매운 국물 라면
삼양 불닭볶음면
140 x 5개입
29.75
매운 볶음면
[자료: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체조사]
UAE 라면 시장 동향
UAE 인스턴트 라면 시장은 편의식 수요 확대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24년 UAE 라면 시장 규모는 약 1억3780만 달러로 전년 대비 6.0% 성장했으며, 2025년에는 약 1억4600만 달러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추산된다. 연평균 6%대의 성장률을 바탕으로 2027년에는 시장규모가 1억6000만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UAE 소비자는 봉지라면을 선호해, 봉지라면 매출이 전체 라면 시장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UAE 라면 시장 규모 분석>
(단위: US$ 백만, %)
연도
시장규모
전년 대비
성장률
2023
130.0
8.6
2024
137.8
6.0
2025
146.1
6.0
2026
154.9
6.0
2027
164.2
6.0
* 주: 2025년 이후는 Euromonitor 예측 추정치
[자료: Euromonitor, KOTRA 두바이 무역관 가공]
이 같은 성장 배경에는 UAE의 생활양식 변화가 있다. UAE는 인구 대부분이 외국인으로 구성된 다문화 사회로(전체 인구 중 약 90%가 해외 이주민) 음식 소비 성향이 다양하고 편의성을 중시한다. 빠르고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라면은 이러한 소비 트렌드에 부합해 편의식품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또한 한류 영향으로 한국 라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점도 주목된다. 예를 들어, 영화 기생충이나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 등장한 라면이나 유명인이 소개한 라면 레시피가 현지에서 화제가 되면서, 한국 라면이 다소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매운맛에 도전하는 불닭볶음면 챌린지 등의 SNS 콘텐츠도 인기를 끌어 한국 매운맛 라면의 인지도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간편식 선호, 한류를 통한 수요 증대 등으로 UAE 인스턴트 면류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 국면에 있다.
UAE 라면 수입 동향
UAE의 라면 수요 증가는 해외 수입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2024년 UAE의 라면(HS 190230) 수입 규모는 약 5119만 달러로 전년 대비 22.3% 성장했다. UAE는 중동의 물류 허브로서 수입된 상품을 인근국으로 재수출하는 경우가 많은데, 라면 또한 일부 물량은 UAE를 경유해 주변국으로 유통된다. 국가별 수입 동향을 보면 한국산 라면이 두드러지는데, 2024년 기준 대한민국이 UAE 라면 수입의 42.2%를 차지해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인도네시아(10.1%), 중국(8.2%), 인도(7.8%), 태국(6.3%) 등이 이었으며, 나머지 물량은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등에서 수입되고 있다. 한국은 2017년 수출량이 2배 증가한 이후 UAE의 최대 라면 공급국 지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으며, 2020년대 들어 UAE 라면 수입에서 한국산 비중이 지속 확대되는 추세다.
<최근 3개년 UAE 라면(HS 코드 190230) 수입 상위 10개국 동향>
(단위: US$, %)
순위
국가명
수입액(US$)
비중(%)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47,595,890
41,843,521
51,189,624
-
-
-
1
대한민국
17,401,996
15,244,068
21,597,131
36.6
36.4
42.2
2
인도네시아
3,921,171
5,871,683
5,174,406
8.2
14
10.1
3
중국
2,838,267
3,831,808
4,214,308
6
9.2
8.2
4
인도
1,953,311
2,759,301
3,998,083
4.1
6.6
7.8
5
태국
1,509,259
2,456,632
3,235,037
3.2
5.9
6.3
6
말레이시아
3,870,118
2,377,584
2,459,255
8.1
5.7
4.8
7
사우디아라비아
1,909,411
1,572,302
2,344,833
4
3.8
4.6
8
싱가포르
2,006,889
2,179,508
1,731,306
4.2
5.2
3.4
9
베트남
277,895
294,455
1,203,320
0.6
0.7
2.4
10
튀르키예
1,140,179
639,123
883,268
2.4
1.5
1.7
[자료: Global Trade Atlas(25.6월), KOTRA 두바이 무역관 가공]
UAE 라면 시장 경쟁 동향
UAE 라면 시장은 현지 생산보다는 해외 브랜드가 차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Indomie(인도미, 제조사: Indofood)는 UAE 라면 시장 점유율 1위 브랜드로 2023년 기준 약 66.7%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그 뒤로는 스위스의 글로벌 기업 Nestlé의 Maggi가 2위를 차지했다. 이들 제품은 1인분 용량이 작고 가격이 저렴해 소비자들에게 가성비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 강점이다. 최근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이 3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다양한 맛(짜장, 까르보나라, 치즈 등)으로 꾸준히 수입되며 인지도를 높이고, 할랄 전용 라면을 생산해 유통 채널을 다양화하고 소비 저변을 넓힌 결과로 분석된다. 농심 또한 UAE 라면 시장 점유율 5%를 기록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UAE 라면 시장은 현재 Indomie와 Maggi의 과점 속에 한국 라면 등 프리미엄 제품이 틈새를 파고드는 구조다. Indomie와 Maggi 제품이 저렴한 가격(5개 번들 당 2~3달러 수준)으로 대량 유통되는 반면, 신라면이나 불닭볶음면 등 한국 라면은 현지 가격이 2~3배 높음에도 불구하고 매운맛·색다른 맛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 라면의 높은 가격대는 프리미엄 전략으로 볼 수 있는데, 한류 콘텐츠를 통해 형성된 트렌디하고 품질 좋은 제품이라는 이미지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현지 할랄 인증 획득으로 대형마트에 입점하기 시작한 한국 제품들이 늘어나며 시장 점유율이 조금씩 상승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저가 다국적 브랜드의 강세 속에, 한국 등 프리미엄 라면이 독자적 팬층을 확보하며 성장하는 양상이다.
UAE 라면 시장 유통 구조
UAE에서 라면 등 식품을 수입·유통하기 위해서는 현지 파트너사가 필수적이다. UAE 법규상 해외 기업 단독으로는 식품 통관 및 등록이 불가하며, 수입 통관 시 현지 사업자 등록증을 제출해야 한다. 따라서 한국 기업은 신뢰할 만한 현지 수입업자를 선정한 후 수출을 진행해야 하며, 파트너사의 보유 유통망, 주요 거래처, 담당자 의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현지 수입업체를 통해 상품이 들어오면, 이후에는 해당 업체의 거래처를 통해 유통 채널로 공급된다. UAE의 대표적인 오프라인 유통망으로는 대형 마트·하이퍼마켓(까르푸 Carrefour, 룰루 Lulu Hypermarket, 스피니즈 Spinneys, 줌 Zoom, 알마야 Al Maya 등)이 있으며, 라면 판매의 약 95%가 이러한 오프라인 식료품 매장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전자상거래를 통한 판매는 아직 약 5% 수준으로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온라인 주문·배달 플랫폼의 성장으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최근 대부분의 대형마트가 자체 온라인몰이나 앱을 통해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라면 제품도 온라인으로 손쉽게 구매할 수 있다.
한편, 할랄 여부에 따른 유통 경로의 차별화도 존재한다. UAE는 이슬람 국가로 돼지고기 성분이 함유된 식품의 일반 판매가 금지돼 있는데, 일부 한국 라면의 스프에 돼지고기 추출물이 포함된 경우가 있다. 이런 비(非)할랄 라면 제품들은 주로 현지 한인마트의 ‘논-무슬림 코너’ 등을 통해 한정적으로 수입·판매되고 있으며, 한국 교민이나 비무슬림 외국인을 중심으로 소비된다. 예를 들어 두바이의 한인마트 1004 Gourmet 등에서는 할랄 인증이 없는 한국 라면을 따로 진열해 판매하고 있다. 반면 할랄 인증을 획득한 라면은 까르푸, 룰루 등 일반 대형마트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고, 이러한 채널에서 판매되는 한국 라면 종류도 갈수록 다양해지는 추세다. 실제로 최근 농심, 삼양 등은 주요 제품에 UAE 공식 할랄 인증을 받아 현지 대형 유통망에 입점함으로써 판매를 크게 늘렸다.
<UAE 대형마켓 LuLu에서 판매 중인 삼양 라면>
[자료: LuLu Hypermarket 웹사이트]
관세율 및 인증 관련
UAE로 라면을 수출할 때 적용되는 관세율은 GCC(걸프협력회의) 공통 외부관세에 따라 5%이며, 여기에 부가가치세(VAT) 5%가 별도로 부과된다. 2023년 10월 한국과 UAE 간 CEPA(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가 체결됨에 따라, 향후 협정이 발효되면 한국산 라면에 대한 관세가 인하 또는 철폐돼 가격 경쟁력이 더욱 향상될 전망이다.
통관 요건으로, UAE에서 판매될 식품은 사전에 연방 식품관리 포털(ZAD)에 제품 등록을 해야 한다. ZAD에 제품 정보를 등록하고 제품 라벨에 대한 승인을 받아야 통관이 가능하며, 사전 등록되지 않은 식품은 UAE 세관을 통과할 수 없다. 이 과정은 수입업체(현지 파트너)가 대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해외 제조업체 단독으로는 등록 신청을 할 수 없다. 통관 시 모든 수입 식품에 대해 관능검사(샘플 검사)가 시행되고, 제품 위험도에 따라 정밀검사 절차가 추가로 진행된다. 한국 기업은 현지 유통 파트너와 협력해 이러한 절차(서류 준비, 아랍어 라벨 부착 등 포함)를 사전에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할랄(Halal) 인증과 관련해서는, 라면 제품이 육류 또는 육류 가공품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 의무사항은 아니다. 즉 순수 채소맛, 해산물맛 등의 라면은 법적으로 할랄 인증 없이도 수입 가능하지만, 닭고기맛, 소고기맛 라면의 경우 스프 등에 동물성 원료가 포함되므로 사실상 할랄 인증 획득이 요구된다. 의무가 아니더라도 마케팅 및 유통망 확대를 목적으로 자발적으로 할랄 인증을 취득하는 추세다. 할랄 인증을 받으면 무슬림 소비자들에게 안전한 식품이라는 신뢰를 줘 제품 선호도가 높아지고, 비(非)할랄 코너를 거치지 않고도 모든 유통채널에 진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UAE는 자체적인 UAE 국가 할랄 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인증 절차와 요구사항이 제품 성격에 따라 상이하므로 반드시 현지 인증기관과의 상담을 통해 진행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승인된 해외 할랄 인증(예: 말레이시아 JAKIM 등)을 획득한 뒤 UAE 현지 할랄 인증기관의 서류 인증을 받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사점
UAE 인스턴트 라면 시장은 성장세와 한류 호재로 한국 기업에 유망한 수출시장으로 평가된다. UAE 내 식지 않는 한류 열풍으로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라면도 예외가 아니다. 한국 드라마·영화 등 콘텐츠에 자주 등장하는 라면은 현지 소비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실제 구매로 연결되는 사례가 많다. 이러한 흐름 속에 2023년 다소 주춤했던 대UAE 한국 라면 수출도 2024년 들어 크게 반등해, 2024년 1~4월 누적 수출액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58% 증가한 73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UAE 시장에서 한국 라면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으로, 우리 기업들의 적극적인 진출 노력이 뒷받침된다면 향후 수출 확대 여지가 크다.
한국 기업의 시장 진입 전략으로는 첫째, 제품 차별화와 마케팅 측면에서 한국 브랜드임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지 소비자에게 한국 라면의 강점은 독특한 매운맛, 새로운 레시피 경험 등인데, 이를 부각하기 위해 한글 디자인 포장이나 한국적인 브랜드 스토리를 활용하면 주목도를 높일 수 있다. 실제로 한글로 된 포장 디자인의 불닭볶음면 등이 현지에서 한국제품으로 화제가 되고 있다. 또한 UAE에서 인지도 있는 한류 인플루언서를 통한 SNS 마케팅도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둘째, 현지 기호에 맞는 제품 개발이 중요하다. 중동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치킨’ 맛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므로 새로운 제품 기획 시 기본적인 치킨맛을 포함하는 것이 무난한 전략으로 평가된다. 이미 출시된 매운 치킨맛 라면류(불닭볶음면 등)의 성공이 이를 방증한다. 반면 너무 이국적인 맛보다는 현지인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맛을 우선 출시하고, 점진적으로 다양한 맛을 선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할랄 인증 획득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 앞서 언급했듯 할랄 인증이 없으면 초기 진입 시 판매 채널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면 할랄 인증을 받아 두는 것이 좋다. 반드시 육류 성분이 없더라도, 할랄 마크가 부착되면 무슬림 소비자층의 심리적 장벽이 낮아지고 일반 마트 입점이 수월해져 시장 진입장벽을 완화할 수 있다.
넷째, 현지 파트너 선정에 주의가 필요하다. UAE는 유통 단계에서 현지 업체 영향력이 크므로, 신뢰성과 네트워크를 갖춘 파트너를 찾아 유통채널 개척을 함께 진행해야 한다. 계약 시 독점권, 마케팅 협력 등의 조건을 면밀히 협의해 분쟁 소지를 줄이고 안정적인 거래를 구축해야 한다.
다섯째, 현지 정보 채널 및 박람회 활용이다. 매년 두바이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식품전시회 걸푸드(Gulfood)에 정기적으로 참가해 글로벌 식품 트렌드 파악 및 바이어 네트워킹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걸푸드(Gulfood)에는 매년 5000여 개사가 참가하고 수만 명이 방문하므로, 한국 라면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바이어를 발굴하기에 좋은 기회다. 이 밖에도 KOTRA, aT 센터 등의 해외시장 정보와 지원사업을 적극 활용해 현지 시장조사, 바이어 매칭, 판촉 행사 등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가격 경쟁력과 품질 관리도 중요하다. Indomie 등 경쟁제품이 매우 저렴한 만큼, 한국 라면만의 프리미엄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현지 적정 가격대를 맞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중장기적으로 물류비 절감, 현지 OEM 생산(할랄 공장 활용)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동시에 UAE 식품 규격과 유통기한 관리, 한글 표기 라벨의 아랍어 병기 등 품질·규정 준수를 철저히 해 신뢰를 쌓는 것도 중요하다.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Lulu Hypermarket, DKjournal, 및 KOTRA 두바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UAE 인스턴트 라면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건강 챙김 소비'하는 미국 MZ, 코티지 치즈와 케피어 인기
미국 2025-07-07
-
2
중국 천연흑연 시장동향
중국 2025-07-07
-
3
농업강국 카자흐스탄의 곡물 생산 동향과 전망
카자흐스탄 2025-07-04
-
4
2024년 UAE 건설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5-13
-
5
2024년 UAE 청정에너지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4-29
-
6
2024년 UAE 방산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9-25
-
1
2024 UAE 우주 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10-28
-
2
2024년 UAE 방산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9-25
-
3
2024년 UAE 건설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5-13
-
4
2024년 UAE 전력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5-13
-
5
2024년 UAE 청정에너지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4-04-29
-
6
2021년 UAE 건설 산업 정보
아랍에미리트 2022-01-0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