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자동차 부품 시장 동향
- 상품DB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25-07-07
- 출처 : KOTRA
-
러시아 차체 부품 시장, 제재 이후 빠른 회복… 중국산 의존 속 국산화 확대
중국산 신차 판매 증가로 부품 수요도 동반 확대... 차체 부품 수입 80%가 중국산
한편, 자동차 부품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8708.99는 대러시아 수출 상황허가 대상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상품명
8708.29
차체, 그 부분품 (차량용)
시장동향
<2022~2024년 러시아 자동차 부품(HS Code 8708 전체) 시장 규모 동향>
(단위: US$ 백만)
구분
2022
2023
2024
증가율(%)
생산량
7,081.9
7,048.9
8,807.6
24.9
수입량
3,572.3
3,391.2
3,613.6
6.6
수출량
330.8
247.2
249.0
0.7
시장 규모
10,323.4
10,192.9
12,172.2
19.4
[자료: 러시아 통계청, Global Trade Atlas(2025.4.28.) KOTRA 모스크바무역관 추산]
러시아 통계청 및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4년 러시아의 자동차 부품 시장 규모는 약 121억 722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2022년 103억 2340만 달러였던 시장 규모는 2023년 소폭 감소했으나, 2024년 전년 대비 19.4% 증가하며 121억 달러를 넘어섰다. 같은 기간 러시아 루블화의 연평균 환율은 2022년 달러당 67.5루블에서 2024년 92.7루블로 급격히 하락해, 수입 제품의 현지 가격 상승과 국내 생산단가 인상으로 이어졌다.
동 뉴스에서는 비제재 품목인 차체 부품(HS Code 8708.29)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으나, 차체 부품 시장만의 규모를 정확히 산정하기는 어렵다. 이는 해당 품목이 용도와 사용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차량(승용차, 트럭, 버스, 트랙터 및 특수장비 등)에 사용되며, 소재나 적용 방식 등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출입 규모, 러시아 국내 생산량, 연평균 환율, 기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2024년 기준 러시아의 차체 부품 시장 규모는 3억 3000만 달러를 웃돌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2024년 성장률은 전년 대비 약 50%에 달한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2023~2024년 러시아 자동차 부품 시장의 회복세에 주목하고 있다. 신차 생산과 애프터마켓(수리·교체용) 수요가 모두 증가하면서 시장이 반등했으나, 2024년 하반기 이후 성장세는 다소 둔화되고 있다. 2024년 승용차 생산은 전년 대비 39.2% 증가했으며, 중고차 거래도 활발해 차량 유지·보수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다. 또한 해외 브랜드 철수, 수입차 가격 상승 등으로 차량 교체가 지연되면서 러시아의 차량 평균 사용 연한은 2019년 13년에서 2023년 기준 15년으로 늘어났다. 이러한 노후화 추세는 부품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2024년 러시아 자국산 자동차 부품의 시장 점유율이 전년 대비 10%p 상승한 45%를 기록했다. 대형 유통사의 자체 브랜드 확대, 현지 생산업체의 품질 개선, 정부의 수입대체 정책 등이 국산 부품 확대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2~2024년 러시아의 차체 부품(HS Code 8708.29)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2024)
국가
2022
2023
2024
점유율
증감률 ('24/'23)
총합
345,519
236,268
360,868
100.0
52.7
1
중국
80,256
157,886
289,796
80.3
83.5
2
튀르키예
27,075
22,534
15,773
4.4
-30.0
3
한국
21,962
12,815
14,223
3.9
11.0
4
대만
4,980
6,586
11,989
3.3
82.0
5
일본
59,956
8,255
10,039
2.8
21.6
6
독일
38,529
4,701
4,328
1.2
-7.9
7
태국
3,434
3,020
3,718
1.0
23.1
8
홍콩
-
108
3 444
1.0
3,088.9
9
폴란드
6,321
2,514
2,937
0.8
16.8
10
카자흐스탄
697
1,807
1,323
0.4
-26.8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4.09]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러시아의 차체 부품(HS Code 8708.29) 수입 규모는 최근 몇 년간 국제 제재 및 환율 변동의 영향을 받아 등락을 반복했다. 2022년 수입액은 약 3억 4552만 달러였으나, 2023년에는 전년 대비 31.6% 급감했다. 이후 2024년에는 다시 52.7% 급등하며 3억 6087만 달러를 기록,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근접한 수치를 보였다.
국가별 수입 비중을 살펴보면, 중국이 2024년 전체 수입액의 80.3%를 차지하며 독보적인 1위를 기록했다. 중국산 수입액은 2023년 1억 5789만 달러에서 2024년 2억 8980만 달러로 83.5% 증가했다.
반면, 튀르키예는 2024년 수출액이 전년 대비 30% 감소한 1577만 달러에 그치며 전체 점유율 4.4%로 2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같은 해 수출액 1422만 달러로 점유율 3.9%를 기록하며 대만, 일본, 독일 등을 제치고 3위 수출국으로 올라섰다. 한국의 대러 수출은 2023년 대비 11% 증가한 것으로, 2022년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나 일부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2021~2023년 러시아의 자동차 부품별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2023)
HS Code
품목
(부분품 포함)
2021
2022
2023
점유율
증감률
('23/’22)
8708
차량용 부분품
10,670,590
3,664,734*
3,537,754*
100
-3.5
1
8708.99
기타 부품
1,299,081
899,236
872,670
24.7
-3.0
2
8708.30
제동장치
909,764
566,817
643,569
18.2
13.5
3
8708.80
서스펜션 시스템
1,032,844
347,318
374,049
10.6
7.7
4
8708.50
구동·비구동 차축
784,472
312,695
300,579
8.5
-3.9
5
8708.70
로드 휠
925,705
285,993
274,108
7.7
-4.2
6
8708.29
차체
2,290,583
342,208
241,278
6.8
-29.5
7
8708.40
기어박스
1,681,148
300,653
236,331
6.7
-21.4
8
8708.94
운전대, 스티어링칼럼
586,125
174,074
179,489
5.1%
3.1
9
8708.93
클러치
221,641
153,853
164,906
4.7
7.2
10
8708.91
방열기
237,610
127,662
142,034
4.0
11.3
11
8708.10
완충기와
250,679
52,615
49,579
1.4
-5.8
12
8708.92
소음기, 배기관
269,279
45,878
29,425
0.8
-35.9
13
8708.21
안전벨트
54,522
13,303
11,134
0.31
-16.3
14
8708.95
에어백
127,139
19,422
9,676
0.27
-50.2
15
8708.22
전방 윈드스크린
(윈드쉴드), 후방 창문
-
4,971
8,920
0.25
79.4
*주: 일부 통계는 출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임
[자료: Trademap.org (2025.4.28.)]
2023년 기준 HS Code 8708 전체 수입 중 8708.29 차체 부품은 약 6.8%의 비중을 차지했다. 자동차 부품 중 수입 규모가 가장 큰 품목은 8708.99(기타)으로 전체의 24.7%를 차지했으며, 이어 제동장치(8708.30), 서스펜션 시스템(8708.80), 구동·비구동 차축(8708.50), 로드휠(8708.70)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8708.99(기타)의 경우 한국 정부의 대러시아 수출통제품목 대상에 지정되어, 러시아로의 수출 시 상황허가 취득이 필요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경쟁동향
러시아 자동차 부품 시장은 다양한 외국 기업이 진출해 있어 경쟁이 치열한 구조다. 특히 신차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가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면서, 자연스럽게 부품 수입에서도 중국산의 비중이 높아졌다. 러시아 세관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11월 기준 러시아로 수입된 HS Code 8708.29 자동차 부품 중 중국산이 전체 수입액의 82.9%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부품 전체의 수입 동향도 유사한 추세를 보인다.
<2024년 1~11월 러시아 자동차 차체 부품(HS Code 8708.29) 시장 점유율 상위 10개 제조사>
(단위: %)
제조사
국가
점유율
Great Wall Motor Company Limited
중국
34.1
JAC Motors
중국
13.6
Jingcheng Engineering Auto Systems Co. Ltd./
Auto Parts (Taizhou) Co. Ltd.
중국
5.7
Lingyun Industrial Co. Ltd. Auto Parts Manufacturing
중국
4.2
Hefei Hengyi International Trade Co. Ltd.
중국
1.3
Toyota Motor Corporation
일본
1.3
Nobo Auto Parts (Taizhou) Co. Ltd.
중국
1.1
Sampa Otomotiv Sanayi Ve Ticaret A.S.
튀르키예
1.0
Volkswagen AG
독일
0.9
Geely Automobile International Corp./
Zhejiang Geely Holding Group
중국
0.8
[자료: GLBS (2025.4.16.)]
2024년 1~11월 러시아 자동차 차체 부품 시장의 점유율 상위 3개 공급사는 모두 중국 기업이었으며, 이는 해당 기업들이 러시아 툴라주에 위치한 Haval 자동차 조립공장에 부품을 대규모로 납품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동기간 러시아에 자동차 차체 부품을 수출한 주요 한국 기업으로는 테너지(0.42%), 부영테크(0.36%), 현대자동차(0.22%), 오토테크(0.12%), 기아자동차(0.11%) 등이 있었다.
<러시아에서 판매 중인 자동차 차체 부품(HS Code 8708.29) 품목 및 가격>
브랜드(원산지)
사진
제품 설명
가격
Riginal
(러시아)
Lada Vesta
머플러 교체 세트
세트당 $6.8
(552 루블)
Fiberplast
(러시아)
대우 넥시아
전면 우측 펜더
개당 $95.3
(7,772루블)
N/A
(러시아)
대우 에스페로
후면 우측 휠 아치
개당 $35.4
(2,890루블)
PasForm
(중국)
BMW X6 머드가드
전·후면 4개
세트당 $53.6
(4,375루블)
N/A
(러시아)
현대 ix35 (2010-2015)
라디에이터 가드
개당 $40.0
(3,263루블)
O.E.M.
(중국)
Skoda Octavia 3 A7
라디에이터 그릴
개당 $70.6
(5,758루블)
*주: 환율 81.56루블/1달러(2025.4.30.)
[자료: Ozon.ru]
유통구조
러시아 제조사의 경우, 완성차 업체는 물론 애프터마켓에도 폭넓게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애프터마켓 유통망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채널이 혼합된 구조를 띠고 있으며, 유통 채널 다변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제조사는 전통적인 도매업체와 협력하여 오프라인 매장과 자체 운영 온라인몰을 병행 활용하고 있으며, 이들은 전국 각지의 자동차 부품 전문점 및 차량 정비소, 서비스 센터 등을 통해 유통을 확대하고 있다. 반면, 온라인 채널에 집중하는 기업들은 Ozon, Wildberries, Yandex Market, Onlinetrade, Avito, Vseinstrumenti 등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Autodoc, Tachka와 같은 자동차 전문 쇼핑몰을 통해서도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종합하면, 러시아산 자동차 부품의 유통 구조는 아래와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과정 전반에서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이다.
ㅇ 러시아 제조사 → 완성차 제조사, 딜러, 정비소, 유통 체인, 온라인 플랫폼 → 중소 유통업체 → 소매점 → 최종 소비자
한편, 해외 공급자의 경우 러시아 시장 내 유통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는 다음 세 가지 방식이 주로 활용된다.
ㅇ 해외 공급자 → 러시아 내 완성차 제조사 및 애프터마켓 리셀러
ㅇ 해외 공급자 → 러시아 내 자회사(수입법인) → 완성차 제조사 및 리셀러
ㅇ 해외 공급자 → 현지 수입업체(공식 유통사 또는 도매상) → 소형 리셀러 및 소매업체 → 최종 소비자
대부분의 러시아 수입업체는 복수의 해외 브랜드와 동시 거래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와 연결된 리셀러 및 소매업체 또한 다양한 브랜드 제품을 동시에 취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러시아 시장 내 자동차 부품 유통구조>
관세율
<관세율>
(단위: %)
EAEU HS Code
품목명
관세율
8708 전 품목
(8708 80 350 2 제외)차량용 부분품, 부속품
(8701~8705)
5*
8708 80 350 2
소형차용 댐퍼(최대 압축 스트로크 235~280kgf, 리바운드 스트로크 1050~1060kgf 이하)
10
*주: 일부 하위 품목의 경우, 타 EAEU 회원국에서는 러시아와 달리 0% 세율 적용
[자료: Consultant Plus]
부가가치세(VAT): 기본 부가가치세율 20%
소비세(Excise Duty): 비대상
인증
러시아에서 자동차 부품을 수입·유통하기 위해서는 부품의 종류, 소재, 차량 안전성과의 관련성, 적용 기술 등에 따라 상이한 인증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본문에서 다룬 HS Code 8708.29 품목(차체 부품)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라시아경제연합(EAEU)의 기술 규정 TR TS 018/2011「차륜형 차량의 안전성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며, 대부분의 품목이 의무 인증 대상에 해당된다.
인증 형식은 적합성 인증서(Certificate of Conformity) 또는 적합성 선언서(Declaration of Conformity) 두 가지 중 하나로 구분되며, 제품 특성과 리스크 수준에 따라 인증 방식이 결정된다. 한편, 특정 부품에 대해서는 인증이 면제되는 경우도 존재하며, 이 경우에는 제품이 인증 대상이 아님을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불요 확인서(Letter of Unnecessity)’를 발급받아야 한다.
모든 인증 절차는 EAEU 인증 시스템에 등록된 공인 인증기관을 통해 진행해야 한다. 특히 HS Code 8708.29는 다양한 유형의 자동차 부품을 포함하는 포괄적 코드이기 때문에, 실제 인증 여부 및 필요 절차는 제품별로 세부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수입업체 또는 제조사는 사전에 제품 단위로 인증 필요성 및 절차를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증서 예시>
적합성 인증서
적합성 선언서
불요 확인서
[자료: forward-motors.com]
시사점
현지 전문가들은 러시아산 차량 생산의 확대, 중고차·노후차량 증가, 그리고 이에 따른 수리·보수용 부품 수요 확대에 따라 향후 수년간 러시아 자동차 부품 시장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러시아 내에는 다양한 외국 브랜드 차량이 여전히 운행 중이며, 이에 따라 부품 시장도 높은 수입 의존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신차 생산용과 애프터마켓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특히 HS Code 8708.29(차체 및 기타 부속품) 품목의 경우, 중국, 튀르키예, 한국, 대만, 일본, 독일, 태국, 홍콩 등이 주요 공급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편,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러시아의 자동차 부품 수입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8708.99(기타)는 현재 한국에서 러시아로 수출 시 상황허가 취득이 필요하므로 유의해야 한다. 수입 부품의 유통은 현지 대형 도매상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이미 구축된 유통망을 통해 시장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부품 유통 비중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러시아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도 유통 구조의 디지털화가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자료: 러시아 통계청, Global Trade Atlas, Trade Map, Spark Interfax, Consutant Plus, Yandex, 대한민국 관세청, Autostat, Ozon, Rival, Forward-motors, RBC, Autosnab, KOTRA 모스크바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자동차 부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건강 챙김 소비'하는 미국 MZ, 코티지 치즈와 케피어 인기
미국 2025-07-07
-
2
러시아 에폭시 수지 시장 동향
러시아연방 2025-07-07
-
3
인도 전기차 시장동향
인도 2025-07-07
-
4
미국 단백질 보충제 시장동향
미국 2025-07-07
-
5
2025 인도 반도체 산업 정보
인도 2025-07-07
-
6
사이버 보안, 베트남 디지털 전환의 핵심 수요로 부상
베트남 2025-07-07
-
1
2024년 러시아 섬유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2-10
-
2
2024년 러시아 농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2-02
-
3
2024년 러시아 폴리머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1-27
-
4
2024 러시아 극동 지역 농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1-06
-
5
2024년 러시아 자동차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0-02
-
6
2021 러시아 자동차 산업
러시아연방 202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