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티오피아 건설기계부품 시장동향
- 상품DB
- 에티오피아
- 아디스아바바무역관 김한나
- 2025-07-03
- 출처 : KOTRA
-
에티오피아 건설 등 프로젝트 급증에 따라 건설기계 부품 수요 증가
우리나라 굴착기 시장점유율 50% 이상 차지, 건설기계 부품 진출 용이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품목명
8431.49
건설기계 부품
시장동향
에티오피아의 건설 부문은 빠르게 성장해 2024년 국내총생산(GDP)의 19.8%, 2033년에는 21.4%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국가 발전에서 건설 부문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농업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고용 부문인 건설은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건설 붐은 특히 아디스아바바, 메켈레, 하와사, 아다마, 비쇼프투와 같은 도시에서 기계 및 예비 부품에 대한 강력한 수요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도로, 철도, 공항에서부터 부동산 개발, 리조트, 산업 단지에 이르기까지 주요 인프라는 물론 에너지, 광업, 도시 재개발에 대한 정부 주도의 이니셔티브는 안정적이고 구매 접근성이 높은 기계류에 의존하고 있다.
건설 활동이 확대되면서 브레이커, 크러셔, 와셔, 핀 잠금장치, 오일 스프레이 노즐, 모터 스타터, 오버홀 개스킷, 에어 클리너, 피스톤 링, 크랭크샤프트, 솔레노이드 스톱, 클러치 디스크 등과 같은 건설기계 부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에티오피아의 건설기계 부품 부문은 공급 부족, 품질 저하, 가격 인플레이션, 숙련된 정비사 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는 건설업체의 기계 가동 중단 시간 연장과 운영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동향
에티오피아의 건설기계 부품 수입은 2024년에 잠시 주춤했으나, 2025년 5월 말 기준 75%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로부터의 수입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13.1% 급증해, 시장점유율이 2024년 3위에서 2위를 차지하게 됐다. 對한국 수입 증가는 강력한 브랜드 평판과 인지도, 딜러 및 서비스 네트워크 확대, 균형 잡힌 가격 전략, 주요 프로젝트 참여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중국은 가격 경쟁력과 에티오피아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상당한 참여에 힘입어 에티오피아 최고의 건설기계 부품 수입 대상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중국, 한국 외에 주요 수입대상국은 이탈리아, 일본, 미국, 독일 등으로 해당 국가들로부터의 수입 또한 2025년 5월 말 기준 전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멕시코로부터의 건설기계 부품 수입 급증(823.8%)이 눈에 띈다.
<에티오피아의 건설기계 부품 (HS 코드 8431.49) 수입 동향>
순위
국가/지역
금액(US$ 천)
점유율(%)
증감률(%)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1-5월)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1-5월)
2025(1-5월)/
2024(1-5월)
전 세계
9,556
10,511
8,780
4,806
100.00
100.00
100.00
100.00
75.19
1
중국
3,027
4,146
3,503
1,725
31.68
39.45
39.90
35.89
37.66
2
대한민국
1,122
1,758
1,351
1,427
11.74
16.72
15.39
29.69
113.08
3
이탈리아
2,259
1,059
1,604
315
23.64
10.08
18.27
6.55
30.11
4
일본
655
557
259
204
6.86
5.29
2.95
4.25
71.72
5
미국
872
519
539
144
9.13
4.94
6.14
2.99
12.20
6
폴란드
102
72
71
109
1.07
0.68
0.81
2.26
57.98
7
스페인
37
14
39
100
0.39
0.13
0.45
2.09
-
8
멕시코
17
59
65
99
0.18
0.56
0.74
2.06
823.77
9
콜롬비아
-
-
-
99
-
-
-
2.06
-
10
인도
197
418
325
94
2.06
3.98
3.70
1.95
-25.54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6]
경쟁동향
현대, 데벨론, 에버다임, 히타치코리아, 대모에이치 유압 브레이커, 삼영 크러셔, JAB 유압 브레이커 등 한국 건설기계 부품 브랜드가 에티오피아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브랜드 벨류, 첨단 기술, 폭넓은 가용성으로 명성이 높은 이들 제품은 현지 건설업체와 건설기계 임대업체 사이에서 최고의 선택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데벨론' 브랜드로 건설기계를 판매하는 현대 인프라코어가 2024년 에티오피아에서 57%의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에티오피아 건설 산업에서 한국 건설기계 및 부품의 강력한 입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 외에도 미국, 인도, 중국, 싱가포르, 이탈리아 무역회사와 협력하는 여러 에티오피아 수입업체가 에티오피아의 건설기계 부품 공급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2차 공급망은 기계 가동을 유지하고 프로젝트 지연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에티오피아에서 판매되고 있는 주요 건설기계(굴착기 등) 브랜드 현황>
주요 브랜드
브랜드 영문명
데벨론(구 두산)-한국
Develon (formerly Doosan) –Korea
Copaz - 한국
Copaz - Korea
삼영 - 한국
Samyoung - Korea
현대 - 한국
Hyundai - Korea
히타치 및 대모 - 한국
Hitachi and Daemo - Korea
JAB 유압 브레이커 - 한국
JAB Hydraulic Breaker - Korea
캐터필러 - 미국
Caterpillar - USA
XCMG - 중국
XCMG - China
사례 - 이탈리아
CASE - Italy
볼보 - 스웨덴, 미국
Volvo - Sweden, USA
SDLG - 중국
SDLG - China
Liebherr - 독일
Liebherr - Germany
뷔르트겐 - 독일
Wirtgen - Germany
Simem - 이탈리아, 인도
Simem - Italy, India
고마코 - 미국
Gomaco - USA
Paclite - 프랑스
Paclite - France
[자료: 주요 바이어 인터뷰, KOTRA 아디스아바바무역관 정리]
유통구조
에티오피아 건설기자재는 대체로 아래 도표대로 유통되고 있다.
<건설기계 부품 유통구조>
[자료: 주요 바이어 인터뷰, KOTRA 아디스아바바무역관 정리]
관세율 및 인증, 수입 규정
건설기자재 (HS 코드 8431.49)의 수입관세는 5%이며, 그 외에 부가세(VAT) 15% 및 원천징수세(Withholding Tax) 3%가 부과된다.
건설기자재는 에티오피아 수입 시 특별한 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일반 제품으로 취급되며, 별도의 수입 규제가 없다.
시사점
에티오피아는 현재 다양한 인프라 프로젝트로 인해 굴삭기, 로더, 그레이더, 믹서와 같은 기계 가동률이 높아지고 있음에 따라 관련 예비 부품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로, 우리 기업들이 에티오피아 건설기자재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적기다. 주요 건설기계 및 기자재 딜러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정리한 우리 기업들의 에티오피아 시장 진출 방법은 ▲현지 대리점 파트너십 구축, ▲경쟁력 있는 가격 및 물량 거래, ▲현지 파트너 대상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기회 제공, ▲OEM 타켓팅 및 애프터마켓 브랜딩, ▲무역 박람회 참가 및 공공조달 시장 참가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다만, 물류 문제, 품질관리, 환율 변동, 정치적 불안정성 등이 도전 과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에티오피아 시장 진출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BMI, 바이어 인터뷰 및 KOTRA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에티오피아 건설기계부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년 일본 농산물 산업 정보
일본 2025-07-03
-
2
기술이 바꾸는 일본 이러닝 시장의 진화와 과제
일본 2025-07-03
-
3
홍콩 립스틱 시장동향
홍콩 2025-07-03
-
4
제10회 AGRITEC AFRICA 농업기술 박람회∙콘퍼런스 참관기
케냐 2025-07-04
-
5
모로코 터치스크린 시장 동향
모로코 2025-07-03
-
6
2021년 에티오피아 의류 산업
에티오피아 2021-12-21
-
1
2024년 에티오피아 제약산업 정보
에티오피아 2024-10-16
-
2
2021년 에티오피아 의류 산업
에티오피아 2021-12-21
-
3
2021년 에티오피아 _중고차 산업
에티오피아 2021-12-21
-
4
2021년 에티오피아 가전산업 정보
에티오피아 2021-12-15
-
5
2021년 에티오피아 의료기기 산업
에티오피아 2021-12-13
-
6
2021년 에티오피아 화학산업 정보
에티오피아 2021-12-0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