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콩 립스틱 시장동향
- 상품DB
- 홍콩
- 홍콩무역관 김유림
- 2025-07-03
- 출처 : KOTRA
-
홍콩 립스틱 시장, 팬데믹 충격에서 회복세를 보이며 2029년 770만 달러에 달할 전망
프랑스·이탈리아 제품이 수입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2024년 한국은 수입시장 점유율 5.3%로 수입 대상국 6위 차지
프리미엄 이미지 중시, 기능성 제품 인기, 천연 성분 선호 확대 등의 시장 특성을 공략해 소비자 마음 사로잡아야...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품목
330410
입술화장용 제품류(립스틱)
시장 규모 및 동향
Euromonitor에 따르면, 홍콩 립스틱 시장 규모는 2019년 2390만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코로나 이후 립스틱 수요가 급감하면서 2020년에는 770만 달러로 급격히 감소했다. 이후 시장은 2021년 720만 달러로 소폭 감소한 후 2022년 590만 달러까지 감소했으나, 2023년 66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반등했다. 2024년에는 7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7.6% 성장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향후 홍콩 립스틱 시장은 2025년부터 연평균 약 1.0%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점진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며, 2029년에는 시장 규모가 770만 달러일 것으로 예상된다.
<2019~2029년 홍콩 립스틱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Euromonitor]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4년 홍콩의 립스틱(HS 330410) 품목 전체 수입 규모는 약 1억537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11.8% 감소했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프랑스(40.7%)와 이탈리아(18.1%)가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하며 전체 수입의 50% 이상을 점유했다.
한국의 립스틱 수입 규모는 2024년 기준 563만 달러로, 전체 수입국 중 6위를 기록했다. 이는 2023년 대비 45.8% 감소한 수치로, 같은 기간 수입 시장 점유율 역시 8.7%에서 5.3%로 3.4%p 하락하며 시장 내 한국 제품의 입지가 크게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특히 경쟁국들의 수입 규모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탈리아는 2023년 수입 시장 점유율 15.0%에서 2024년 18.1%로 3.1%p 상승했으며, 중국 본토는 7.2%에서 8.9%로 1.7%p 증가했다. 벨기에 또한 2.0%에서 4.2%로 2.2%p 급증하며 시장 내 존재감을 크게 확대했다. 이처럼 주요 경쟁국들의 수입 시장 점유율 증가로 한국 제품의 시장 내 입지가 상대적으로 좁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2022~2024년 홍콩 립스틱 수입 추이 (HS Code 330410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수입액 점유율
('24년 기준)수입액 증감률
('23/'24)
2022
2023
2024
전체
105,266
119,514
105,368
100
-11.8
1
프랑스
57,947
43,847
42,931
40.7
-2.1
2
이탈리아
12,865
17,910
19,117
18.1
+6.7
3
중국 본토
3,321
8,613
9,351
8.9
+8.6
4
캐나다
1,306
15,808
8,714
8.3
-44.9
5
일본
5,486
9,264
7,267
6.9
-21.6
6
한국
6,084
10,387
5,627
5.3
-45.8
7
벨기에
4,732
2,374
4,464
4.2
+88.0
8
미국
5,415
6,462
4,243
4.0
-34.3
9
스페인
728
647
598
0.6
-7.6
10
독일
414
948
571
0.5
-39.7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6.10.]
경쟁 동향
Euromonitor에 따르면, 홍콩 립스틱 시장에서 프랑스와 이탈리아가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이유는 홍콩 소비자들이 고급스러운 패키지와 우수한 품질을 갖춘 프리미엄 색조 화장품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특히, 프랑스는 전통적으로 고급 화장품의 중심지로 명성을 유지해 왔으며, 이러한 이미지는 홍콩 시장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프랑스산 립스틱은 소비자들의 프리미엄 선호도를 충족하며 높은 수입 비중을 기록하고 있다.
홍콩 온라인 뷰티 플랫폼 UBeauty에 따르면, 2025년 추천 립스틱으로 소개된 프랑스 브랜드 GIVENCHY의 Haute Couture Taboo Silky Matte Lipstick N°331은 새로운 한정판 스네이크 패턴 패키지로 출시됐다. 케이스에 더해진 금빛 장식과 엠보싱(embossing) 디테일이 제품의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부각시켜 홍콩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이탈리아 브랜드 Giorgio Armani의 Lip Power Long-Lasting Matte Lipstick 제품도 우아한 디자인과 뛰어난 발색력 덕분에 높은 소장 가치를 인정받으며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한편, 벨기에 립스틱 브랜드는 독창적이고 예술적인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증가가 수입 확대를 이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2024년 벨기에 립스틱의 수입액은 전년 대비 88%라는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했다. 패션 매거진 ELLE에 따르면, 벨기에의 Dries Van Noten은 첫 번째 코스메틱 컬렉션 Dries Van Noten Lipstick을 새틴 텍스처 15가지, 매트 텍스처 10가지, 촉촉한 텍스처 5가지로 구성해 총 30가지 색상 옵션을 제공했다. 소비자들은 다양한 색깔 선택뿐만 아니라, 독창적인 패턴과 색상의 립스틱 케이스를 선택하고 원하는 색상을 조합해 자신만의 립스틱을 완성할 수 있다. 이번 컬렉션은 단순한 뷰티 제품을 넘어 아름다움에 대한 예술적이고 감각적인 접근 방식을 보여주며 홍콩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한편, 중국 브랜드들 또한 세련된 디자인의 립스틱을 선보이는 데 더욱 집중하고 있다. Hong Kong 01에 따르면, 중국 립스틱 브랜드 Flower Knows는 2024년 발레 슈즈와 백조를 테마로 한 새로운 화장품 시리즈를 선보였다. Swan Ballet Shine Lipstick은 화려한 포장과 고급스러운 컨셉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어 2024년 중국 립스틱의 수입 규모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홍콩 소비자들은 디자인뿐만 아니라 립스틱의 성분에도 큰 관심을 가지며, 고품질 성분을 포함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에 부합하는 한국의 뷰티 브랜드 Dear Dahlia의 Lip Paradise Sensual Lip Glow는 꽃 추출물과 시어버터 등 우수한 식물성 보습 성분을 함유해 자연스러운 발색과 촉촉함을 제공한다. 일본 브랜드 Shiseido의 Maquillage Dramatic Rouge N은 샤이니 오일, 리치 오일, 내추럴 로즈 오일, 에센셜 로즈 향료, 보습 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어 별도의 립밤이나 립글로스가 필요 없을 정도로 뛰어난 보습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고품질 보습 성분은 입술의 수분 유지에 도움을 주며, 홍콩 소비자들로부터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홍콩 내 유통되고 있는 주요 립스틱 제품>
브랜드
국가
제품명
제품 이미지
가격
(HKD)
GIVENCHY
프랑스
Haute Couture Taboo Silky Matte Lipstick N°331
$395.00
(US$50.64)Giorgio Armani
이탈리아
Lip Power Long-Lasting Matte Lipstick
$405.00
(US$51.92)Dries Van Noten
벨기에
Dries Van Noten Lipstick
$952.98
(US$122.22)Flower Knows
중국
Swan Ballet Shine lipstick
$191.29
(US$24.53)
Dear Dahlia
한국
Lip Paradise Sensual Lip Glow
$288.00
(US$36.92)Shiseido
일본
Maquillage Dramatic Rouge N
$241.59
(US$30.97)*주: 적용 환율은 1US$ = 7.8HK$ = €0.90
[자료: UBeauty, Sephora Hong Kong 공식 페이지, Dries Van Noten 공식 페이지, Flower Knows 공식 페이지, YESSTYLE, KOTRA 홍콩무역관 정리]
유통구조
홍콩 소비자들은 다양한 오프라인과 온라인 유통 채널을 통해 손쉽게 립스틱을 구매하고 있다. 오프라인 채널의 경우, 주요 유통 채널로는 SOGO, Lane Crawford, IFC Mall과 같은 백화점, SaSa, Colourmix, Sephora와 같은 화장품 전문 매장, 그리고 Watsons, Mannings 등의 드럭스토어 체인(drug store chain) 등이 있다.
백화점은 인기 있는 수입 브랜드와 함께 고소득 소비자들을 위한 프리미엄 브랜드를 취급하며, 소비자들에게 고급스러운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 한편, 화장품 전문 매장들은 립스틱을 비롯한 다양한 제품군을 고급 브랜드와 중간 가격대 브랜드, 그리고 신흥 브랜드를 혼합 구성해 최신 트렌드와 브랜드를 홍콩 소비자들에게 소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Sephora는 프리미엄 립스틱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오프라인 매장과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 접근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이들 채널에서 선보이는 최신 립스틱 트렌드와 제품들은 대중 시장으로 확산되며, 립스틱 개발과 소비자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드럭스토어 체인은 홍콩 전역에 걸쳐 많은 매장을 운영하며 소비자들이 부담 없이 방문해 립스틱을 구매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자체 브랜드 립스틱 제품을 통해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을 공략하며, 클린 뷰티나 고기능성 립스틱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키고 있다.
이 외에도 HKTVmall과 같은 온라인 쇼핑몰, 화장품 전문 매장과 드럭스토어 체인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립스틱 구매를 위한 중요한 온라인 채널로 자리 잡고 있다. Stylevana와 YESSTYLE 같은 온라인 뷰티 쇼핑몰에서도 다양한 립스틱이 판매되고 있다.
이처럼 홍콩의 립스틱 유통 구조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소비자 접근성을 높이고 있으며, 각 채널의 특성을 기반으로 소비자 충성도를 강화하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홍콩의 립스틱 수입 관세율은 0%다.
* 홍콩 해관 홈페이지 참조: https://www.customs.gov.hk/en/service-enforcement-information/trade-facilitation/prohibited-articles/controlled-imports/index.html
립스틱은 일반적으로 의약품이 아닌 일반 소비재로 분류되며, 「소비재 안전조례(Consumer Goods Safety Ordinance, Cap. 456)」에 따라 수입 시 별도의 사전 허가나 등록은 필요하지 않으나, 제품이 합리적으로 안전해야 하며, 정확한 성분 표기 및 라벨링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https://www.elegislation.gov.hk/hk/cap456)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립스틱에 「약제업 및 독약 규례(Pharmacy and Poisons Regulations, Cap. 138A)」의 위해 성분 리스트(Poisons List)에 명시된 성분이 포함돼 있다면, 해당 제품은 홍콩에서 유통되기 전에 반드시 홍콩 위생처(Department of Health)의 약제 제품/물질 등록 신청 시스템(Pharmaceuticals Registration System)을 통해 등록해야 한다. 위해 성분 리스트는 https://www.elegislation.gov.hk/hk/cap138A!en?INDEX_CS=N 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약제 제품/물질 등록 신청 시스템은 https://www.drugoffice.gov.hk/prs2-ext/client_authentication.jsp 에서 이용할 수 있다.
시사점
홍콩 립스틱 시장은 2019년 2390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이후,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부터 급격히 위축됐으나, 2023년부터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며 2029년에는 약 770만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홍콩 소비자들은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프리미엄 브랜드의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품질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립스틱 구매 시 높은 브랜드 충성도를 보이고 있다. 동시에 한국, 일본 등 자연 유래 성분, 보습 효과, 비건 인증 등 기능성과 지속가능성을 갖춘 제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추세다. 홍콩 립스틱의 주요 유통 채널은 Sephora, SOGO 등 백화점 및 전문매장을 중심으로, Watsons, Mannings 등 드럭스토어, 그리고 HKTVmall, YESSTYLE 등과 같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함께 성장하며 온·오프라인 유통 다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 기업은 이러한 홍콩 립스틱 시장 회복세와 유통 구조의 변화를 주의 깊게 살피고,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현지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특히 현지 소비자의 고급스러운 포장 선호 경향과 함께 기능성 성분에 대한 수요와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선호를 고려해, 제품 개발 및 현지 유통 채널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있다.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ELLE, UBeauty, Sephora Hong Kong공식 페이지, Dries Van Noten 공식 페이지, Hong Kong 01, Flower Knows 공식 페이지, Dear Dahlia 공식 페이지, YESSTYLE,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홍콩 해관, 홍콩 전자 법률 시스템, 홍콩 약제 및 독물 위원회, KOTRA 홍콩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홍콩 립스틱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홍콩 화장품 산업 정보
홍콩 2024-10-30
-
2
2024년 홍콩 MICE 산업 정보
홍콩 2024-02-21
-
3
2023년 홍콩 주얼리 산업 정보
홍콩 2023-05-24
-
4
2025년 몽골 전력 산업 정보
몽골 2025-07-04
-
5
2025년 홍콩 물류산업 정보
홍콩 2025-06-16
-
6
2025년 홍콩 선박 MRO 산업 정보
홍콩 2025-03-20
-
1
2025년 홍콩 물류산업 정보
홍콩 2025-06-16
-
2
2025년 홍콩 바이오테크 및 보건용 의료기기 산업 정보
홍콩 2025-05-20
-
3
2025년 홍콩 선박 MRO 산업 정보
홍콩 2025-03-20
-
4
2024년 홍콩 화장품 산업 정보
홍콩 2024-10-30
-
5
2024년 홍콩 MICE 산업 정보
홍콩 2024-02-21
-
6
2023년 홍콩 산업 개관
홍콩 2023-06-0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