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미 테크 허브로 부상하는 캐나다 밴쿠버, ‘웹서밋 밴쿠버 2025’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캐나다
- 밴쿠버무역관 최희원
- 2025-06-11
- 출처 : KOTRA
-
캐나다 밴쿠버 웹서밋 최초 개최, 북미 서부 테크 산업 중심지로서의 가능성 확인
산업 전반에 걸친 AI 기술 논의와 글로벌 선도 기업의 AI 활용 전략
현지 투자자와의 직접 교류로 이어진 한국 스타트업의 기술 검증 기회
2025년 5월 30일, 새롭게 탈바꿈한 웹서밋(Web Summit) 행사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British Columbia, 이하 B.C.주) 밴쿠버에서 나흘간의 일정을 마치고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전시회장 전경>
[자료: KOTRA 밴쿠버 무역관 촬영]
웹서밋은 2009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약 150명의 참가자로 시작해 현재는 세계 최대 규모의 테크 컨퍼런스로 성장했다. 주최사인 웹서밋은 중동(카타르), 남미(브라질), 유럽(포르투갈), 아시아(홍콩)에서 정기적으로 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북미에서는 2019년부터 캐나다 토론토에서 '콜리전(Collision)'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돼오다 올해부터 웹서밋으로 바뀌어 밴쿠버에서 개최되기 시작했다.
올해 웹서밋 밴쿠버(Web Summit Vancouver) 2025 행사에는 1만5000명 이상의 참가자와 1100개 이상의 스타트업, 650명 이상의 투자자가 참여했으며, 스타트업 참가 수는 역대 첫해 웹서밋 중 가장 많았다. 이는 북미 서부 테크 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Web Summit Vancouver 2025 전시회 개요>
행사명
Web Summit Vancouver 2025
개최 기간
2025년 5월 27일~30일(4일간)
개최 장소
Vancouver Convention Centre
개최 연혁
2009년 최초 개최(매년 개최)
분야
글로벌 테크 컨퍼런스 / 스타트업 및 투자자 네트워킹 플랫폼
규모
15,000+ 참가자, 1,100+ 스타트업, 650+ 투자자 등
주최
Web Summit
웹사이트
https://vancouver.websummit.com/
[자료: 전시회 웹사이트]
밴쿠버는 북미에서 가장 빠른 테크 일자리 증가율을 기록 중이며, 2025년 현재 약 1만1000개 이상의 테크 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아마존(Amazon),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등 글로벌 IT 기업들도 이곳에 개발 센터를 운영 중이다. 브렌다 베일리 前 B.C.주 일자리경제개발혁신부 장관은 “B.C.주는 지난 30년간 세계적 수준의 기술을 창출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이를 지역 경제의 지속 가능한 경쟁력으로 연결하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밴쿠버가 북미 웹서밋 개최지로 선정된 배경에는 이러한 산업 기반, 자연환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Web Summit Vancouver 2025 행사 주요 내용 및 특징
① 산업별·기술별로 세분화된 다양한 프로그램
Web Summit Vancouver 2025는 산업 및 기술 분야별로 세분화된 11개 트랙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인공지능 서밋(AI Summit), ▲크리에이티브 서밋(Creative Summit), ▲마케팅 서밋(Marketing Summit), ▲신재생에너지 서밋(New Energy Summit), ▲커머스 서밋(Commerce Summit), ▲기업 혁신 서밋(Corporate Innovation Summit), ▲성장 서밋(Growth Summit), ▲뉴미디어 서밋(New Media Summit), ▲신생기업 서밋(New Venture Summit), ▲인재 서밋(People Summit), ▲스타트업 대학(Startup University) 등으로, 참가자들은 각자의 관심 분야와 산업 특성에 따라 맞춤형으로 프로그램을 선택해 참여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서밋은 단순 강연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사례 발표, Q&A 세션, 기업 주관 워크숍 등으로 구성돼 다양한 산업 내 실무 이해도를 높이는 데 집중했다.
② 스타트업 지원
Web Summit Vancouver 2025에서는 초기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ALPHA’ 프로그램이다. 테크 기반 제품 및 서비스를 보유한 초기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 이 프로그램은 전시 부스 운영, 투자자 대상 IR 세션, 현장 미팅 등을 통해 실질적인 협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행사장 내 스타트업 부스에서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관계자와 참관객들이 제품을 직접 시연해보고, 실무진과 질의응답을 주고받는 등 적극적인 교류가 이뤄졌다. 이러한 전시와 대화는 단순한 기술 소개를 넘어, 기술 수요자와 공급자 간 협업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검토하는 자리가 됐다.
또한 ALPHA 참여 기업들은 스타트업 경진대회인 ‘PITCH’를 통해 영향력 있는 글로벌 투자자 및 파트너 앞에서 자사의 기술력과 비즈니스 모델을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본 대회는 최근 3년간 주요 비즈니스 모델에 큰 변화가 없고,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이 500만 캐나다 달러 이하인 기업만 신청할 수 있으며, 주최 측 심사를 거쳐 상위 35개 기업만이 무대에서 경쟁하게 된다.
<ALPHA 부스(좌)와 PITCH 스테이지(우)>
[자료: KOTRA 밴쿠버 무역관 촬영]
올해 첫 개최된 Web Summit Vancouver 2025의 PITCH 최종 우승은 캐나다 스타트업 Lite-1이 차지했다. Lite-1은 미생물을 활용해 바이오 기반 색소를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합성 염료를 대체하는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제시했으며, 채굴 및 유해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색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적 혁신성과 환경 기여 가능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Web Summit Vancouver 2025 PITCH 우승팀 Lite-1>
[자료: Web Summit Vancouver 2025 웹사이트]
③ 테크 산업 내 여성 영향력
이번 Web Summit Vancouver 2025에서는 테크 산업 내 여성 창업자와 여성 전문가의 활약이 특히 두드러졌다. 올해 PITCH 결승전은 Web Summit 역사상 최초로 모든 결승 진출팀이 여성 창업자에 의해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구성됐으며, 이는 기술 산업 내 여성의 실질적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였다. 또한 주최측 집계에 의하면, Web Summit Vancouver 2025에 참가한 전체 스타트업 중 44%가 여성 공동 창업자에 의해 설립된 기업이었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테크 산업에서 여성 주도의 창업 활동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웹서밋은 2015년부터 ‘Women in Tech’라는 프로그램을 별도 운영하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여성 창업자, 개발자, 디자이너, 투자자 등 다양한 직군의 여성 전문가들이 행사 기간 중 네트워킹, 멘토링, 리더십 교육 세션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참가자들은 이를 통해 같은 산업 내 여성 리더들과 교류하고, 실질적인 비즈니스 협력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웹서밋 측은 해당 프로그램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여성 참가자에게 전용 등록 패스를 별도로 제공하고 있으며, 관련 커뮤니티 활성화에도 집중하고 있다.
웹서밋은 단순히 여성의 참여 비율을 높이는 것을 넘어, 테크 산업 전반에서의 포용성과 다양성 구현을 주요 가치로 삼고 있으며, 이번 Web Summit Vancouver 2025를 통해 그러한 방향성이 구체적 성과로 가시화됐다.
산업 전반을 관통한 핵심 주제, 인공지능
Web Summit Vancouver 2025의 핵심 화두는 단연 인공지능(AI)이었다. 다양한 산업군에서 AI의 파급력이 커지는 가운데, 이번 행사는 기술의 윤리, 도입 전략, 인간 중심 설계 등 여러 관점에서 AI를 해석하고 논의하는 장이 됐다. 기조연설과 패널토론, 기업 세션 등에서 기술자와 경영자, 회의론자와 옹호자 모두가 AI를 매개로 치열하게 의견을 주고받았다.
Code and Theory의 CEO 마이클 트레프(Michael Treff)는 그의 ‘지능형 기계 시대에 인간 노동의 운명(The fate of human work in the age of intelligent machines)’ 발표 세션 중 "Sometimes breakthroughs happen because of humans—because of dissonance, because of friction, because of things that don’t make sense"라고 언급했다. 즉, 그는 기술이 아무리 정교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직관, 맥락, 감정이 결여되면 진정한 혁신으로 이어질 수 없다는 것을 지적한 것이다. 예로 듀오링고(Duolingo) 사례를 언급하며, AI 번역 기술이 문화적 감수성과 브랜드 정체성 유지에 한계를 보였던 경험을 통해 기술보다 인간의 판단과 설계가 핵심임을 강조했다.
AI가 어떻게 구체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를 보여준 사례도 주목을 받았다.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Pfizer)의 최고디지털책임자 리디아 폰세카(Lidia Fonseca)는 AI 기반 구조적 약물 설계를 통해 기존에 평균 10년 이상 소요되던 신약 개발 프로세스를 4년 이내로 단축한 사례를 소개했다. 또한 AI가 생산 공정에서 '황금 배치(golden batch)'를 정의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공정 이상을 감지한 뒤 작업자에게 조정 지침을 제공하는 시스템도 함께 발표했다. 이 기술은 단순한 생산 효율 개선을 넘어, 환자에게 보다 빠르게 안전한 의약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소셜 미디어 플랫폼 Hootsuite의 CEO 이리나 노보셀스키(Irina Novoselsky)는 자사에서 활용 중인 소셜미디어 기반 생성형 AI 기술을 소개했다. 그녀는 “기존 대형 언어모델(LLM)이 오래된 데이터에 의존한다면, 우리는 최신 소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자체 모델을 통해 실시간 트렌드 분석과 타겟 마케팅을 구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모델은 특히 사용자에게 당장의 맥락에 부합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플랫폼과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AI의 실질적 경쟁력을 입증하는 사례로 평가됐다.
<리디아 폰세카와 이리나 노보셀스키의 토론 세션>
[자료: KOTRA 밴쿠버 무역관 촬영]
이번 Web Summit Vancouver 2025 참석자들은 AI를 둘러싼 찬반 양론과 실제 응용 사례를 넘나들며, 기술이 인간의 역할을 어떻게 바꾸고 보완할 수 있는지를 깊이 있게 탐색했다. 단순한 도구가 아닌 미래 조직과 산업 구조 전반을 재구성할 자산으로서의 AI가 어떤 가능성과 한계를 지니는지, 그 윤곽을 가늠할 수 있는 무대였다.
글로벌 무대에 오른 한국 기술, 한국관과 ‘Breaking Borders’ 세션
Web Summit Vancouver 2025에서는 KOTRA 밴쿠버 무역관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공동 주관한 ‘한국관(Korea Pavilion)’이 운영되었다. 테크 기술 중심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을 목표로 한 한국관에는 국내 유망 스타트업 6개사가 참가해 부스를 운영하고, 현지 기업 및 투자자들과 활발한 교류를 이어갔다. 단순한 제품 전시에 그치지 않고, 참가 기업들은 IR 피칭, 기술 설명회, 현장 네트워킹 등을 통해 실질적인 사업 기회 발굴에 주력했으며, 자사의 기술력과 시장성을 기반으로 북미 시장 진출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타진했다.
< Web Summit Vancouver 2025 내 한국관 전경>
[자료: KOTRA 밴쿠버 무역관 촬영]
특히 둘째 날에는 한국관이 주최한 ‘Breaking Borders: Korean Innovation on the Global Stage’ 세션이 진행됐다. 본 세션은 각 스타트업이 현지 투자자 및 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자사의 제품과 서비스, 기술 차별성, 비즈니스 모델, 시장 확장 가능성 등의 핵심 내용을 영어로 핵심 내용을 영어로 간결히 전달하는 피칭 형식으로 진행됐다. 참여 기업들은 친환경 에너지, 디지털 헬스케어, AI 기반 B2B 솔루션 등 다양한 분야를 대표했으며, 기술 자체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방안과 같이 구체적인 사업 전략 또한 설명했다.
<‘Breaking Borders: Korean Innovation on the Global Stage’ 세션>
[자료: KOTRA 밴쿠버 무역관 촬영]
세션 현장은 준비된 좌석이 부족할 정도로 많은 참관객이 몰리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일부 관람객은 서서 발표를 지켜봤고, 발표 종료 이후에도 대부분이 자리를 떠나지 않고 기업들과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이어졌다. 스타트업과 투자자, 바이어, 기술 전문가 간의 명함 교환, 협력 제안, 기술 시연 요청이 이어지며, 해당 세션이 단순한 발표를 넘어 실질적인 비즈니스 매칭의 장으로 기능했음을 보여줬다.
한국관 참여 기업 인터뷰
이번 행사에 참여한 주식회사 어썸랩(Awesome Lab)의 김동묵(Martin Kim) 대표는 “당사는 수전해 이온화 발열 기술을 활용해 물을 빠르고 에너지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해당 기술은 주거시설 난방, 수영장, 스마트팜, 산업 설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탄소 배출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번 웹서밋 참가를 통해 현지 기업과의 POC(개념검증)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후속 투자 유치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했다”며, “웹서밋은 IT 및 기술 산업 관계자들이 중심이 되는 행사로, 일반 소비자 대상 제품 홍보보다는 기술 중심의 네트워킹과 사업성 검증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 특징이며, 참가한 스타트업의 성장 단계가 유사해 단기적인 협업보다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기회를 찾는 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참가 기업인 Abocado AI의 현가윤(Gayun Hyun) 대표는 “60개 이상의 AI 모델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All-AI-ONE’ 컨셉의 이미지·영상 생성 SaaS 기반 플랫폼 ‘Abocado AI’을 운영하고 있다”며, "한국에는 글로벌 IT기업 사례가 없기 때문에, 당사는 대한민국 벤처기업으로써 처음으로 글로벌 진출을 이뤄내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서비스를 기획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행사에서 다양한 투자자와 업계 관계자들이 Abocado AI에 큰 관심을 보여주면서, 우리의 비전에 대한 확신을 얻었으며 앞으로 나아갈 일만 남은 것 같아 감사하다.”라고 덧붙였다.
시사점
Web Summit Vancouver 2025는 밴쿠버가 북미 테크 산업의 신흥 중심지로 자리잡을 수 있음을 입증한 행사였다. 1만 명이 넘는 참석자와 1000개 이상의 스타트업, 수백 명의 투자자들이 모인 본 행사는 단순한 테크 컨퍼런스를 넘어, 도시 자체의 산업적 존재감을 북미 대륙 전반에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미 기술 기업과 연구기관이 밀집한 밴쿠버는 본 행사를 통해 테크 산업 내 글로벌 연계를 강화하며, 향후 스타트업 투자, 인재 유입, R&D 허브화 등 지역 단위의 발전 가능성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행사는 참여 국내 스타트업들에게 실질적인 글로벌 진출의 기회이자 테스트베드로 작용했다. 기업들은 행사 기간 동안 IR 피칭, 기술 시연, 현지 기업과 실시간으로 네트워킹하며 기술력을 검증하고 협업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었다. 이는 단순 전시형 행사와 차별화된 웹서밋만의 강점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점에서 향후 웹서밋은 더 많은 한국 스타트업의 참여로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본 행사는 이들이 세계 시장에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전략적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국내 스타트업의 지속적인 참여와 준비된 진출 전략이 결합된다면, 웹서밋은 국내 테크 스타트업 기업들에게 글로벌 시장 개척을 위한 핵심 플랫폼이 될 수 있다.
자료: Web Summit Vancouver 2025, Code and Theory, KOTRA 밴쿠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북미 테크 허브로 부상하는 캐나다 밴쿠버, ‘웹서밋 밴쿠버 2025’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한-대만 경제협력 세미나 참관기: K-뷰티 시장 진출 기회 모색
대만 2025-06-11
-
2
네덜란드 'World Hydrogen Summit 2025' 참관기
네덜란드 2025-06-11
-
3
일본 자동차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다…자동차기술전시회 2025 요코하마
일본 2025-06-10
-
4
중미의 굳건한 금융·물류 투자 중심지 파나마
파나마 2025-06-10
-
5
2025 한-베 E-모빌리티 공급망 협력 세미나 및 상담회 개최기
베트남 2025-06-10
-
6
2025년 싱가포르 반도체 산업 전시회 (SEMICON Southeast Asia 2025) 현장 방문기
싱가포르 2025-06-10
-
1
2024년 캐나다 육류 가공 산업 정보
캐나다 2024-12-17
-
2
2024년 캐나다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4-12-10
-
3
2024년 캐나다 대두 산업
캐나다 2024-11-21
-
4
2021년 캐나다 건설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3
-
5
2021년 캐나다 신재생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3
-
6
2021년 캐나다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