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헝가리 산업용 조명장치 시장동향
  • 상품DB
  • 헝가리
  • 부다페스트무역관 이수현
  • 2025-05-30
  • 출처 : KOTRA

산업 자동화·스마트 팩토리 확산으로 고기능 조명 수요 증가

LED·스마트 제어 기술 중심으로 유럽 인증 시장 재편

FTA 기반 무관세 진입 가능… 한국 기업, 틈새 진출 여지 존재

상품명 HS코드

HS 코드

상품명

8512

전기식 조명용이나 신호용 기구(제8539호의 물품은 제외한다)ㆍ윈드스크린와이퍼(windscreen wiper)ㆍ제상기(defroster)ㆍ제무기(demister)(자전거용이나 자동차용으로 한정한다)

8512.20

그 밖의 조명용이나 시각 신호용 기구

* 주: 주요 적용 분야: 산업용 차량 조명장치, 물류창고 운송장비, 스마트 팩토리  AGV 조명 


헝가리의 산업용 차량 조명장치 시장에서 주로 거래되는 품목은 HS 코드 8512.20 해당한다해당 HS코드는자동차용 조명 또는 신호 장치(자전거용 조명 특정 전조등 제외)” 분류되며,
주로 차량의 방향지시등, 제동등, 실내등, 번호판 조명등 등으로 구성된다 품목은 승용차, 상용차, 특장차 전반적인 산업용 차량 운송 장비에 적용되며, 최근에는 LED 기반 제품, 스마트 센서 연동형 조명장치, 고내구성 신호장비 등으로 기술이 다변화되고 있다. 이 기사는 HS 코드 6자리 기준을 중심으로 해 작성됐다.

 

시장동향


헝가리의 산업용 조명장치가 포함된 전기장비 기계·설비 시장은 산업 자동화, 창고 물류 고도화, 스마트 팩토리 확산 중심으로 점진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Statista 따르면, 헝가리의 전기장비 산업은 2025년  209천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5~2029 연평균 성장률(CAGR) 1.23%으로 전망된다. 산업용 기계 설비 분야는 2025년  7300 달러 기록하고, 2025~2029년 1.23% 연평균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같은 성장세엔 최근 물류창고 자동화와 스마트 제조 도입 확산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022 eMAG 헝가리 Dunaharaszti 11만7000 규모의 자동화 물류센터를 개소했으며, 2024년에는 Schneider Electric 4천만 유로 규모의 스마트 공장을 Dunavecse 설립하며 Industry 4.0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물류·제조 관련 프로젝트는 산업 설비 증설을 수반해 조명·신호장치 관련 수요 창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밝기만을 강조한 전통적인 조명기기보다는 추가로 내구성스마트 기능통신 호환성을 갖춘 제품의 수요를 견인한다. LED 기술 기반의 고효율 조명장치가 점차 주류가 되고 있으며차량이나 AGV(무인운반차등과 연동되는 지능형 신호 장치 관련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즉, 우리 기업이 강점을 보유한 고정밀 LED 광학 기술과 연계해 진입할  있는 시장 기반이 형성되고 있다.

 

주재국 수입동향 대한 수입규모


헝가리는 조명 신호장치(HS 8512.20 포함) 제품의 수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국가 하나로, 스마트 팩토리 자동화 물류 인프라 확대와 같은 산업 구조 변화가 수입 확대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Global Trade Atlas 따르면, 2023 헝가리의 해당 품목 수입액은 3억5400 달러, 세계 220개국 18번째로 높은 수입 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헝가리 전체 수품 61번째로 많이 수입된 품목으로, 산업적으로도 높은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품목임을 보여준다.


<2021~2023년 헝가리 HS 8512.20 품목 수입 추이>

(단위: US$ )

연도

수입액

2021

301,000

2022

327,000

2023

354,000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5.21.]

 

전통적으로 헝가리는 주변 EU 국가로부터의 수입 의존도가 높다.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독일, 프랑스 인접국이 공급망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는 EU 단일시장 체제의 물류 효율성과 부품 호환성에 기인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러한 공급 구조는 헝가리 완성차 조립 부품 가공 산업이 EU OEM 중심으로 설계돼 있다는 점을 반영하며, 조명장치 역시 해당 가치사슬 필수 부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2022~2024년 헝가리 HS 8512.20 품목 수입 추이>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2022

 2023

2024

점유율

증감률

('24/'23)

1

독일

83,047

104,559

119,510

48.3%

14.3

2

체코

24,336

32,115

27,595

11.1%

-14.1

3

스페인

13,942

20,123

22,255

9.0%

10.6

4

루마니아

13,420

14,939

17,155

7.0%

14.8

5

중국

48,311

29,724

-

-

-

6

슬로베니아

36,688

31,864

17,147

7.0%

-46.2

7

폴란드

44,863

25,196

16,082

6.5%

-36.2

8

슬로바키아

10,485

12,831

11,300

4.6%

-11.9

9

영국

10,682

9,879

8,139

3.3%

-17.6

10

벨기에

10,934

11,672

7,751

3.1%

-33.6

21

대한민국

795

832

578

0.23%

-30.5

* 주: 순위는 2024년 기준. 자료원에서 조회 불가한 경우 "-"로 표시.

[자료: UN Comtrade, 2025.5.27.]


한편, 전자상거래의 확장과 이를 뒷받침하는 대형 물류센터 건설이 지속되며 산업용 조명 수요가 새로운 형태로 재편되고 있다. 특히 물류 자동화 시스템에 적합한 고출력 LED, 내구성 강화형 시그널 장치, 센서 연동형 조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조명장치의 수입 항목에도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자동화 설비 시장의 MRO(유지보수) 수요 증가 역시 관련 부품의 지속적 수입으로 이어지고 있다.


경쟁동향


헝가리의 산업용 차량 조명장치 시장은 글로벌 전장 부품사, 현지 전문 유통업체, 완성차 OEM 공급망 중심의 부품 제조사들이 혼재하는 복합적 경쟁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특히 Audi, Mercedes-Benz, Suzuki 글로벌 완성차 기업의 생산거점이 밀집해 있는 헝가리의 산업 환경은 OEM 중심 공급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으며, 조명장치 역시 생태계 내의 핵심 전장 부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시장 주요 기업은 아래와 같다.


<헝가리 산업용 차량 조명장치 주요 기업 현황>

기업명

본사

주요 사업 특징

Lighting Solutions Kft

헝가리

폴란드 SpectrumLED 독점 공급, 400 리셀러 네트워크 보유

BIBUS Hungary Kft

스위스 Bibus 그룹 자회사

LED2WORK 산업용 조명 유통, OEM 대상 맞춤형 기술 지원

Valeo Hungary

프랑스 Valeo 그룹

ADAS·전기차용 조명 포함 전장 부품 제조, 완성차 OEM 중심 생산

Innotec Hungary Ltd.

Innotec 계열, Suzuki 협력사

차량 조명 전자부품 생산, 고정밀 OEM 부품 납품

Led N More Kft

헝가리

맞춤형 산업 LED 설계·설치, 중소형 공장 시설 대상

Eglo Magyarország

오스트리아 Eglo 그룹

건축·조경용 포함 다양한 조명 생산, 헝가리 현지 공장 운영

[자료: 기업 홈페이지]


최근 헝가리 시장은 LED 기반 고효율 조명기기, 센서 연동형 스마트 조명시스템, 고내구성 산업용 조명 솔루션 중심으로 기술 트렌드가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 유지보수 간편성, 자동화 연동 가능성 등이 조달 기준으로 중시되며, 단순한 단가 경쟁보다는 성능·품질 기반의 구매 결정 구조가 정착되고 있다또한, 대부분의 산업용 조명장치 공급 기업들은 ISO 9001, ISO 14001, 또는 자동차 부품 공급망 진입을 위한 IATF 16949 품질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헝가리 OEM 조달 또는 프로젝트형 납품 계약 체결 필수 조건으로 간주된다.


헝가리 정부는 전기차 산업을 전략적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완성차 배터리 관련 제조설비 유치와 물류 인프라의 디지털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산업 전반의 자동화 수요를 견인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 물류창고, 전기차 조립라인, 대형 배터리 생산시설 등에서 고기능 조명장치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이처럼 기술집약적이고 고도화된 환경에서는 에너지 효율, 정밀 제어, 시스템 연동성을 갖춘 프리미엄 조명기기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관련 제품을 보유한 기업에게 새로운 시장 진입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유통구조


헝가리의 산업용 조명장치 유통은 복합 유통망 구조를 기반으로 B2B 중심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도매 유통사설비 통합업체최종 수요처(OEM 공장 ) 협업을 통해 공급이 이루어진다. 조달 구조는 기업규모, 설치 목적, 인증 요구 수준에 따라 크게 아래와 같이 분류된다.


① 전문 유통사 도매 네트워크


헝가리 산업용 조명장치의 주요 유통 구조는 전문 유통사 전기 부자재 도매업체를 중심으로 형성돼 있다. 대표적으로 Lighting Solutions Kft, BIBUS Hungary Kft, Alternconsult 등이 있으며, 이들은 폴란드·독일 유럽 제조사의 제품을 독점 또는 독립 유통사 자격으로 공급하고 있다.


또한, Elteker, Seeonline 전기공사자재 도매 전문업체들이 시공업체 중소 제조기업에 납품하는 구조도 병행된다. 일부 유통사는 전국 단위로 수백 이상의 리셀러 협력업체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어, 중소 바이어 대상 접근성도 높다.


② OEM 대형 엔드유저 대상 직거래


자동차 부품사, 대형 물류센터, 글로벌 제조공장 등에서는 직접 계약을 통해 특정 브랜드의 조명기기를 대량 구매하거나 맞춤형 솔루션으로 조달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Valeo Hungary, Innotec Hungary, Suprajit Hungary 등은 특정 완성차 기업의 요구 사양에 맞춰 장기공급 계약 기술 공동개발을 병행하기도 하며, 해외 본사 지침에 따라 조달사가 지정되는 경우도 있다이러한 구조에서는 IATF 16949, ISO 인증 E-mark 기술 적합성과 품질관리 수준이 납품 결정의 주요 기준으로 작용한다.


③ 온라인 B2B 디지털 조달 플랫폼


산업용 조명장치 분야에서도 디지털 기반 조달 방식의 활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주요 유통사는 자체 B2B 온라인 (: ls.hu) 기술 카탈로그를 통해 제품 정보 사양을 제공하며, 중소 바이어 또는 기술자가 사양 선택견적 요청배송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할 있도록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다만 일반 소비자 대상 B2C 채널보다는 기업 전용 구매 프로세스 중심이며, 설치 지원 현장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한 경우는 여전히 오프라인 영업망이 병행된다.


④ DIY 소매 유통


일부 소형 산업용 조명 제품은 OBI, Praktiker DIY 매장 또는 일반 전기기기 유통채널을 통해서도 판매되나, 이는 주로 유지보수(MRO) 목적 또는 비전문적 현장에 한정된다. 고사양 또는 인증이 요구되는 조명장치는 대부분 위의 1~3 구조를 통해 공급된다.


관세율


헝가리는 EU 회원국으로, 공통 관세 정책(Common External Tariff) 적용받고 있으며, HS 8512.20 해당하는 산업용 차량 조명 신호장치 제품에 대해 기본 관세율(MFN) 0%이다. 또한, 대한민국과 EU 자유무역협정(EU–Korea FTA) 따라 한국산 제품 역시 동일하게 0% 관세율이 적용된다. , 한국산 조명장치는 헝가리에 무관세로 수출이 가능하다.


<관세율 정리표>

(단위: %)

구분

관세율

EU 공통 외부관세 (MFN)

0

EU–한국 FTA 적용 관세율

0

[자료: EU Access2Markets Portal]


관세 항목으로는 헝가리의 부가가치세(VAT) 적용된다. 헝가리의 표준 VAT 세율은 27%이며, 이는 수입신고 CIF 가격(상품가+운송비+보험료) 부과된다. 해당 품목에는 별도의 특별소비세나 환경세는 부과되지 않으며, 부가세 외에는 추가 비용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결론적으로, 한국산 제품은 FTA 기반으로 관세 부담 없이 수출 가능하며, 가격 경쟁력 확보에 유리하다. 다만, 수입자가 부담하는 27% VAT 최종 소비자가격에 반영해야 하므로, 유통채널 마진구조 세후 가격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


인증


헝가리는 EU 회원국으로, HS 8512.20 해당하는 자동차용 조명 신호장치는 EU 단일시장 기준의 기술 규정과 인증 요건을 따라야 한다. 해당 제품은 주로 차량 장착용 부품으로 분류되며, 적용 목적에 따라 차량형식승인(E-mark) 또는 일부 전기전자제품 관련 CE 마킹 적용 여부가 결정된다.


<품목 관련 인증>

분류

인증명

내용

필수

① EU 차량형식승인(E-mark)

자동차 조명장치는 대부분 UNECE 규정에 따른 E-mark 인증을 받아야 하며, 이는 제품을 차량에 장착해 사용하기 위한 법적 필수 요건이다. E-mark UNECE 규정 6, 7, 23, 148, 149  조명장치 관련 기술기준에 따른 제품 시험, 생산공정 심사 등을 포함하며, 헝가리에서는 교통청(KTI) E7 코드로 발급기관 역할을 한다.

- 인증 필요 제품: 방향지시등, 미등, 후진등, 번호판등  차량 외부에 장착되는 조명장치

- 관련 규정: EU 규정 2018/858  UNECE 규정

- 인증요소: 제품 시험 + 생산공정 적합성(CoP) 확인

② 전기전자제품 관련 CE 마킹 (제품별 상이)

해당 품목이 일반 전기제품으로 별도 판매되거나, 산업용 장비에 별도로 적용되는 경우, 아래의 CE 관련 지침 적용 여부를 검토받는다.

- EMC 지침(2014/30/EU): 전자파 간섭 기준

- RoHS 지침(2011/65/EU): 유해물질 사용 제한

- LVD 지침(2014/35/EU): 50V 이상 전압 적용 제품(대부분 자동차 조명은 해당 없음)

* 주: 대다수 차량 장착용 조명은 E-mark 우선 적용되며, 별도의 CE 마킹은 일반 판매용 또는 비차량용 조명에 한함

③ 환경 규정 관련 준수 사항

- ELV 지침(2000/53/EC): 차량용 부품에 , 카드뮴, 수은  중금속 사용 제한

- REACH 규정(EC 1907/2006): 화학물질 성분 등록  고지

- WEEE 지침(2012/19/EU): 산업용 조명기기  재활용 대상 포함  적용 가능성 있음

기타  권장

① 품질 인증

- ISO 9001: 기본 품질경영시스템

- IATF 16949: 자동차 부품 공급망 필수 인증 (Tier-1/2 대상)
→ OEM 진입 또는 대 프로젝트 참여  실질적인 입찰 조건

② 안전  성능 관련 인증

- ENEC 마크: 유럽 고전압 조명제품 인증 마크 (가정용/산업용 조명에 해당)

- CB 인증(Scheme): 국제 전기표준(IEC/EN) 기반의 다국적 시험 인증

- IP 등급 테스트: 방수/방진 등급 인증 (현장 조명장치에 유리)

③ 환경  산업안전 관련

- ISO 14001: 환경경영시스템

- ISO 45001: 산업안전보건관리 시스템
 유럽 바이어  납품 대상기업에서 요구하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음

* 주: 제품에 E-mark 또는 CE 마크, 인증번호 적합성 선언문(DoC) 등이 표시돼야 하며최종 소비자 대상 판매 제품일 경우, 헝가리어 또는 다국어 설명서 부착이 요구될 있다.

[자료: KOTRA 부다페스트 무역관 정리]

 

시사점


헝가리의 산업용 차량 조명장치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소폭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스마트 팩토리 물류 자동화, 전기차 산업 확장과 맞물려 고기능·고효율 조명 제품의 수요가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단순한 교체 수요를 넘어, 신규 설비 구축 통합 제어·에너지 절감·안전성 강화 기능을 갖춘 지능형 조명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한국 기업의 경우, LED 광원 기술, 정밀 광학 설계, 지능형 센서 연동 기술 등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력은 유럽 시장 내에서 프리미엄 포지셔닝이 가능한 핵심 경쟁요소다한국산 조명장치의 수출 비중은 아직 미미하나고성능 LED 조명 기술스마트 제어 시스템친환경 부품 사용 등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어 프리미엄 제품 중심으로 시장에 전략적인 진출을 꾀할 여지가 있다특히 헝가리는 독일, 오스트리아 인접국 중심의 공급망에 의존하는 구조이나, FTA 기반 무관세 혜택을 활용하면 가격 측면에서도 경쟁이 가능하므로 "기술+가격" 이중 차별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 진출 초기에는 현지 유통사 산업 조명 통합 솔루션 기업과의 협업 모델을 통해 납품 기반을 확보하면 좋을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현지 기업의 PB(Private Brand) 또는 OEM 형태로 제품을 맞춤 설계하거나, 특정 프로젝트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방식이 효과적이다. 또한 전기차 부품 공장, 스마트 물류창고, 대형 배터리 생산 설비 주요 수요처와의 간접 납품 기회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다만, 진입을 위해서는 E-mark(차량형식승인), IATF 16949(자동차 품질관리 기준) 고도화된 인증 대응이 필수적이며, 현지 설치지원, 기술 대응, 유지보수(AS) 체계의 구축 여부도 바이어 선택에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작용한다. 인증이나 품질보증 역량이 부족할 경우, 현지 파트너사의 기술/인증 인프라를 활용한 간접 공급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끝으로, 산업용 조명 분야는 일반 소비재와 달리 기술 수요 기반의 네트워킹이 매우 중요하므로, 유럽 조명산업 관련 전시회(: Light + Building), 스마트공장/자동차 부품 박람회, 물류 자동화 전시회 정기 참가 참관을 통한 현장 접점 확대가 장기적으로 유효한 진출 전략이 될 것이다. 또한, 헝가리 전기전자산업 협회, 산업기술 관련 EU 플랫폼 산업 협회·네트워크에의 참여도 바이어 접근과 브랜드 신뢰도 제고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각 회사 홈페이지, Statista, CAGR, UN ComtradeEU Access2Markets Portal, KOTRA 부다페스트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헝가리 산업용 조명장치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