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제르바이잔 타이어 시장동향
- 상품DB
- 아제르바이잔
- 바쿠무역관 고충성
- 2025-05-29
- 출처 : KOTRA
-
성장하는 도로 위 기회, 아제르바이잔 타이어 시장 현황
저가 제품이 중심을 이루는 가운데 고내구성, 전기차용 제품 등 신규시장 개척 여지
조사 대상
HS 코드
구분
VAT(%)
수입관세(%)
401110
자동차 고무 재질의 새 공기압 타이어
18
0
시장 동향
아제르바이잔에서는 개인용, 영업용 차량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타이어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신차뿐 아니라 수입 중고차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자동차 생산이 없기 때문에 주로 교체용 타이어 수요가 시장의 주를 이루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추진되는 국토 전반에 걸친 지방 도로 개발과 교통 인프라 정비는 그간 도시부에 집중되었던 자동차 수요가 전국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타이어의 소비 기반도 확대되고 있다. 타이어를 판매하는 온라인 플랫폼의 확충과 함께, 타이어 설치, 밸런싱, 얼라인먼트 등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이어 전문 서비스 센터가 전국적으로 증가하는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한편 아제르바이잔의 운전자들 사이에서 타이어 상태와 안전 표준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아제르바이잔 도로교통법에 명시된 ‘최소 트레드 깊이 1.6mm 유지’와 같은 요건 준수가 일반 운전자들 사이에서도 규범화되면서 고품질, 내구성이 뛰어난 타이어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자동차 타이어 시장은 일반적으로 승용차, 경상용차, 대형 트럭과 같은 차량 카테고리에 따라 세분화되는데, 이 보고서는 주로 개인용 차량의 증가와 도시 교통 수요로 인해 아제르바이잔에서 타이어 수요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승용차 부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성장하는 도로 위 기회, 아제르바이잔 타이어 시장 현황
아제르바이잔은 국내에서 타이어를 생산하지 않기 때문에 중국, 한국, 터키, 러시아 등의 수입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아제르바이잔 타이어(HS 코드 401110 기준) 수입 규모>
(단위: 달러, 개)
[자료: 아제르바이잔 통계청]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이 아제르바이잔 시장에 유통하고 있어 소비자는 가격, 성능, 수명 등을 기준으로 제품을 선택하고 있다. HS 코드 401110기준 수입 상대국은 중국, 튀르키예, 한국이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아제르바이잔의 총 타이어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60%에 이른다. 한국으로부터의 타이어 수입은 금액 기준으로 약 8%를 차지했다.
<아제르바이잔의 국가별 타이어 수입현황>
(단위: US$ 천, 개)
순위
(‘24)
2023
2024
국가
금액
수량
국가
금액
수량
1
중국
27,161.2
1,006,355
중국
28,763.9
1,066,358
2
한국
5,000.6
124,492
튀르키예
4,764.0
142,849
3
튀르키예
4,720.7
135,297
한국
3,912.3
75,390
4
러시아
2,764.1
113,675
러시아
2,988.2
131,017
5
일본
1,777.1
20,569
태국
2,046.7
58,356
6
벨라루스
893.7
41,913
일본
1,661.6
19,820
7
이탈리아
762.3
1,213
벨라루스
816.6
35,444
8
태국
648.8
17,489
체코
530.5
3,393
9
체코
630.4
4,176
필리핀
280.6
5,048
10
세르비아
591.5
10,537
이란
246.1
14,706
합계
47,325.2
1,518,574
합계
48,284.65
1,583,231
[자료: 아제르바이잔 통계청]
한편 한국 무역협회의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아제르바이잔에 대해 2025년 첫 3개월 동안 약 78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한 것이 특기할 만한 사항이다. 이 수치는 전년 동기대비 67.8% 증가한 수치다. 이것은 아제르바이잔 시장에서 한국산 자동차 타이어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를 반영하는 것으로, 차량 수 증가와 운송 부문의 지속적인 현대화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경쟁 동향 및 규제
아제르바이잔 시장에서 유통되는 주요 타이어 브랜드는 한국타이어, 금호타이어, 넥센을 비롯해 BRIDGESTONE, MICHELIN, GOODYEAR, CONTINENTAL, PIRELLI, DUNLOP, YOKOHAMA, TOYO TYRES, NOKIAN TYRES, GENERAL TYRE 등이 주를 이룬다. 아제르바이잔에서는 가격 면에서 큰 메리트가 있는 중국산 타이어에 대한 소비자의 인기가 높다. 특히 가격에 민감한 중산층용 자동차나 택시 차량에 중국산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여전히 시장에서 많은 양을 차지하는 차령이 높은 자동차의 교체용으로도 중국산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한국에 비해 도로상태가 열악해, 지방 도시 간의 이동이 빈번하거나, 산간 지역의 운전자를 중심으로 더 나은 안전성, 신뢰성을 보유한 한국, 일본, 유럽 브랜드로 타이어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아제르바이잔 중고차 유통 딜러 A사의 관계자에 따르면 한국산 타이어에 대한 아제르바이잔 소비자의 선호도는 매우 높으며, 특히 품질과 신뢰성 측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얻고 있다고 한다. 현대 한국 타이어의 아제르바이잔 내 소매 가격 아래와 같다.
<한국 타이어의 아제르바이잔 내 소매 가격>
브랜드명
사진
가격(달러)
한국 K117 Ventus S1 Evo2
225/55 R17/여름용
약 145
한국 K127
225/55 R 18/여름용
약 170
금호 Crugen HP71
225/55 R19/사계절용
약 135
넥센 N'Fera RU1
235/45 R19/여름용
약 170
[자료: www.radius.az]
한편 부유층을 중심으로 Michelin, Bridgestone, Continental, Pirelli등 프리미엄 브랜드에 대한 수요도 견조하다. 소득이 증가하는 중산층 이상의 소득층을 중심으로 더 높은 내구성, 성능을 추구하는 움직임도 있으며 안전성, 연비, 트레드 수명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국제 인증을 받은 고품질 타이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제르바이잔의 겨울은 영하로 기온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지 않고, 인구가 밀집한 지역에는 눈도 많이 오지 않기 때문에 겨울용 타이어에 대한 수요는 상대적으로 낮다.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계절의 변화 없이도 1년 내내 균형 잡힌 성능을 제공하는 사계절용 타이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신차의 타이어 트레드 깊이는 8~9mm이다. 아제르바이잔 도로 교통법에 따르면 트레드 깊이가 1.6mm에 도달하면 타이어를 새 타이어로 교체해야 한다.
유통 구조
아제르바이잔의 타이어 수입 시장은 공인 브랜드 유통업체, 독립 수입업체, 자동차 무역 회사 등 다양한 유통망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들 기업은 승용차용, 트럭용, 버스용, 농기계용 등 포괄적인 타이어를 일괄 취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공인 유통업체는 일반적으로 브랜드 표준, 보증 및 애프터서비스 유지에 중점을 두는 반면, 독립 수입업체는 가격 경쟁력과 유연한 소싱을 우선시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기업에서는 타이어 판매와 함께 유지보수, 설치 및 광범위한 정비 서비스를 일괄 제공해 고객 편의성을 향상을 도모하는 경우도 있다.
<아제르바이잔 주요 타이어 유통업체>
회사명
연락처
My Tyres
주소: Car Bazaar, Babek Avenue, Baku, Azerbaijan
이메일: info@mytyres.az
홈페이지: www.mytyres.az
전화번호: + 994 70 311 11 55
Kaan Company
주소: 2222 Babek Avenue, Baku, Azerbaijan
이메일: info@kaan.az
홈페이지: www.kaan.az
전화번호: + 994 12 310 54 54
Roadlink
주소: 65 Sh.Efendizade, Khirdalan, Azerbaijan
이메일: info@roadlink.az
홈페이지: www.roadlink.az
전화번호: + 994 50 885 99 11
GlobalShin
주소: 22 km Sumgayit Highway, Azerbaijan
이메일: info@globalshin.az
홈페이지: www.globalshin.az
전화번호: + 994 55 211 92 52
Lokomotiv LLC
주소: H.AliyevAvenue,d6, Khirdalan, Azerbaijan
이메일: info@lokomotiv.az
홈페이지: www.lokomotiv.az
전화번호: + 994 55 203 11 25
Intershin
주소: Ziya Bunyadov Anevue, Baku, Azerbaijan
이메일: info@intershin.az
홈페이지: www.intershin.az
전화번호: + 994 10 310 15 10
TekerStore
주소: 23 Yusif Vezir Chemenzeminli, Baku, Azerbaijan
이메일: info@tekerstore.az
홈페이지: www.tekerstore.az
전화번호: + 994 10 310 31 71
Topservis
주소: 1 Babek Avenue, Baku, Azerbaijan
이메일: info@topservis.az
홈페이지: www.topservis.az
전화번호: + 994 55 440 59 49
Tekeral
주소: 484 Babek Avenue, Baku, Azerbaijan
이메일: info@tekeral.az
홈페이지: www.tekeral.az
전화번호: + 994 50 800 22 77
Lux Tyres LLC
주소: 31 Khatai Avenue, Baku, Azerbaijan
이메일: info@nexentyre.az
홈페이지: www.nexentyre.az
전화번호: +994 77 640 06 69
Vianor
주소: 38 Babek Avenue, Baku, Azerbaijan
이메일: info@vianorbaku.az
홈페이지: www.vianorbaku.az
전화번호: +994 12 424 07 53
[자료: KOTRA 바쿠무역관]
관세율
HS 코드 401110로 분류될 시 한국으로부터 아제르바이잔으로 수입되는 타이어에 대한 관세율은 0%이다. 이는 2020년 이후 적용된 기준이다. 단, 수입가격 기준으로 계산된 18%의 부가가치세(VAT)가 적용된다.현지 타이어 수입기업(G사 CEO) 인터뷰 결과
아제르바이잔 타이어 시장 시황은 안정적이며,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소비자의 가격 민감도가 매우 높아 수입기업 입장에서는 저가의 라인업을 위주로 제품군을 구성하지 않을 수 없다. 최근 몇 년 동안 주목할 만한 변화로는 온라인 판매 채널의 부상, 중고 타이어 거래의 확대, 아제르바이잔 시장에 진입한 브랜드의 증가 등을 꼽을 수 있다. 동시에 중국산을 중심으로 2023년 경부터 전기자동차가 급격하게 늘면서 새로운 유형의 타이어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아제르바이잔 자동차 시장은 중국 제품이 장악하고 있으며, 타이어 역시 중국 제품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 이전에는 프리미엄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이 높았으나, 현재는 두 배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수입되는 중국 브랜드가 시장을 잠식하는 추세이다. Linglong, Triangle, Sailun등 중국 브랜드가 가장 많이 판매된다. 반면 내구성에 대한 소비자의 눈높이가 높아지는 것도 확실히 느껴진다. 일반 대중의 경우 아무래도 가격이 가장 결정적인 요소이지만, 경험이 풍부하고 전문적인 운전자는 품질과 브랜드를 우선시하며, 서비스센터의 추천도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아르메니아와의 전쟁으로 수복한 카라바흐 지역의 개발은 겨울용 타이어 수요를 늘릴 요인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카라바흐 수복 이후 겨울용 타이어 판매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겨울용 타이어는 전체 시장에서 2~3%에 불과하나 카라바흐 지역 등 바쿠 외 지역에 인구가 늘면 겨울용 타이어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시사점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아제르바이잔 타이어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판매 증가로,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유통망을 가진 바이어의 시장 영향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타이어 수입, 판매와 함께 설치, 정비 등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기업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 2023년 이후 아제르바이잔 내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에 맞춘 제품의 성장이 예상된다. 중국산 저가 자동차가 대거 유입되었으며, 이들 차량의 타이어 교체 수요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며, 이를 시장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3) 전쟁 수복 지역 및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교통 인프라망 확대에 따라 도시부 대비 열악한 도로망에서 오래 동안 활용이 가능한 고품질 제품 수요 확대가 기대된다. 또한 수도에서는 거의 수요가 없었던 겨울용 타이어의 수요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자료: 아제르바이잔 통계청, KITA, Radius, 아제르바이잔 수입기업 인터뷰 및 KOTRA 바쿠무역관 자료 종합<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아제르바이잔 타이어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러시아에 부는 '진짜' 한류 열풍
러시아연방 2025-05-29
-
2
인도, 전략산업 중심으로 FDI 정책 전면 개편… 글로벌 투자 유치 가속화
인도 2025-05-29
-
3
러시아는 커피 전성시대, 모스크바 인기 프랜차이즈 현황은?
러시아연방 2025-05-29
-
4
우즈베키스탄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동향
우즈베키스탄 2025-05-29
-
5
인도 반려동물 식품 시장의 핵심 키워드는 차별화와 디지털화
인도 2025-05-29
-
6
규제는 강화, 수요는 진화… 인도 살충제 시장 진입 전략은?
인도 2025-05-29
-
1
2024년 아제르바이잔 와인산업 정보
아제르바이잔 2024-03-13
-
2
2024년 조지아 농업 산업 정보
아제르바이잔 2024-02-27
-
3
2024년 아제르바이잔 차(Tea) 산업
아제르바이잔 2024-01-08
-
4
2023년 아제르바이잔 농업 산업 정보
아제르바이잔 2023-04-24
-
5
2023년 아제르바이잔의 가스 산업 정보
아제르바이잔 2023-03-21
-
6
2022년 조지아의 금융산업 정보
아제르바이잔 2023-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