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에 부는 '진짜' 한류 열풍
- 트렌드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25-05-29
- 출처 : KOTRA
-
K-POP을 중심으로 성장한 한류가 지속가능한 소비 문화로
콘서트, 굿즈샵, 커버댄스 스튜디오, 콘텐츠 등 다양한 한류 기반 산업 성장
대 러시아 소비재 수출 확대 지속... 한국 프랜차이즈 진출도 고려 가능
최근 러시아에서는 한류가 음악, 영화를 비롯하여 음식, 패션, 라이프스타일 등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그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한국 대중문화의 확산으로만 그치지 않고 소비자 선호, 무역 구조, 기업 활동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요인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추세는 2022년 이후 한류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더욱 뚜렷해졌다.
K-POP이 한류의 중심
러시아 내 한류 인기의 중심에는 음악이 있다. 러시아 최대 SNS 서비스 VK의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초 기준 K-POP 관련 콘텐츠 이용자 수는 약 1000만 명에 달한다. K-POP에 열광하는 일부 팬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와 더 가까워지기 위해 적극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기도 한다. 이처럼 러시아의 K-POP 팬들은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음반과 관련 도서, 굿즈를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 전문가들에 따르면, 특히 2022년 이후 러시아 내 서구권 대중음악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면서 K-POP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했다. 이는 서구권 음악 레이블들이 러시아의 주요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인 Yandex Music, VK Music 등에서 콘텐츠를 철수한 반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주요 음반사들은 음원 공급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러시아 내 한국 콘텐츠의 인기가 급증하면서 러시아 현지 기업들이 K-POP 아티스트에게도 더욱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그간 중단됐던 K-POP 그룹의 러시아 공연이 2024년부터 재개되어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BTS와 같이 세계적인 인지도를 가진 그룹 뿐만 아니라 비교적 신생이거나 덜 알려진 아티스트들의 러시아 진출도 활발하다. 2025년 3월 말,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개최된 그룹 ALL(H)OURS의 첫 러시아 콘서트의 얼리버드 티켓은 판매 시작 직후인 2월 초 이미 매진됐다. 또 다른 K-POP 그룹 X:IN의 콘서트는 2024년 11월,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총 6000장 이상의 티켓을 판매하며 큰 성공을 거뒀다.
러시아 이동통신사 MTS의 분석 플랫폼 GeoEffect가 2024년 1월부터 2025년 1월 사이 러시아 내 개최된 대형 K-POP 콘서트 및 페스티벌 관객 약 13,000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K-POP은 남성(51%)과 여성(49%)에게 고루 사랑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8세 미만의 팬들이 전체 관객 중 약 3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행사에 자녀와 함께 참석한 부모 관객도 약 16%에 달했다.
<최근 러시아에서 콘서트를 개최한 K-POP 아티스트>
그룹명
비고
사진
LIGHTSUM
ㅇ 공연 횟수: 1회
ㅇ 시기: 2024년 7월
ㅇ 장소: 모스크바
X:IN
ㅇ 공연 횟수: 1회
ㅇ 시기: 2024년 11월
ㅇ 장소: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BLITZERS
ㅇ 공연 횟수: 1회
ㅇ 시기: 2024년 12월
ㅇ 장소: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ALL(H)OURS
ㅇ 공연 횟수: 1회
ㅇ 시기: 2025년 3월
ㅇ 장소: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W24
ㅇ 공연 횟수: 3회 이상
ㅇ 시기: 2025년 4월
ㅇ 장소: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자료: Izvestiya.ru, MTS Live, VK Fest]
산업으로 성장한 K-POP 굿즈 시장
이러한 인기를 뒷받침하며 러시아 내 인기 K-POP 굿즈 매장이 성장하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들은 온라인 판매는 물론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대도시에서 오프라인 매장도 운영하며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모스크바의 K-POP 상품 전문 매장 ‘Honibi’는 최근 러시아 소비자들의 최신 트렌드와 선호도를 바탕으로 가장 인기 있는 K-POP 상품 TOP 5를 선정했다. 가장 인기가 높은 상품은 라이트스틱(Light sticks)으로, 러시아 팬들 사이에서는 특히 콘서트용이나 한정판 라이트스틱이 수집의 대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2위는 포토카드, 3위는 그룹이나 멤버 이미지가 들어간 의류, 모자, 에코백, 키링 등의 굿즈 순이었다. 이어 4위는 K-POP 앨범, 5위는 앨범 카드가 차지했다. 앨범 카드는 일반 포토카드와 달리 아티스트의 사인이 있거나 독창적인 디자인, 크기, 재질 등을 특징으로 한다.
<러시아 내 K-POP 굿즈 판매점>
매장명
사진
비고
Stars Store
ㅇ 개점 시기: 2017년
ㅇ 소재지: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ㅇ 공식 홈페이지: www.starsstore.ru
Honibi
ㅇ 개점 시기: 2024년
ㅇ 소재지: 모스크바
ㅇ 공식 홈페이지: www.honibi.com
Candy Shop
ㅇ 개점 시기: 2015년
ㅇ 소재지: 상트페테르부르크
ㅇ 공식 홈페이지: www.candyshopkpop.ru
[자료: 각 매장 홈페이지]
한편, 2024년 러시아의 음반(HS Code 8523.49) 수입에서 한국은 독일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2024년 러시아의 한국산 음반 수입액은 약 139만 달러로 전년 대비 48.5% 감소했는데, 이는 CD가 한국의 대 러시아 수출 통제품목으로 지정된 것이 원인이다. 이러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현지에서 인기가 높아지는 것은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여 다양한 채널을 통해 한류가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상이 된 K-POP 커버댄스
K-POP 인기를 바탕으로 러시아 내 커버댄스(Cover dance) 문화도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대체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 여성으로 구성된 커버댄스 팀들은 주로 K-POP 아티스트의 안무와 콘셉트를 그대로 재현한 영상을 촬영하거나 각종 페스티벌 무대에 직접 올라 공연한다. 인구 30만 이상의 도시마다 최소 1~2개의 팀이 활동 중이며,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에는 50개 이상의 커버댄스 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따라 K-POP 전문 댄스 스튜디오 수도 증가하고 있다. 2016년 모스크바에서 개원한 GSS Studio(Gangnam Street Studio)는 2024년까지 지점을 3개로 늘렸으며, 현재 약 1000명의 수강생을 보유하고 있다. GSS Studio는 또한 댄스 강습 이외에 연례 공연, 경연대회, 수강생 대상 한국 투어 프로그램 등도 운영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GSS Studio의 K-POP 댄스 경연대회 및 수업 모습>
[자료: GSS Studio 공식 홈페이지]
모스크바에서 커버댄스 스튜디오를 운영하는 올가 미로노바(Olga Mironova)는 "지난 1년간 K-POP 댄스 수업에 등록하는 학생 수가 두 배 증가했으며, 청소년들은 단순히 춤을 배우러 오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팬들과 공통의 언어로 소통하며 글로벌 문화의 일원이 되기 위해 오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K-콘텐츠로 이어지는 열기
과거 러시아 극장에 개봉되는 한국 영화는 주요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한 유명 작품에 국한돼 있었다. 2004년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 개봉 이후 2019년 '기생충'까지 약 16년간 러시아 내 개봉된 한국 영화는 총 21편에 불과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러시아에서 공식 개봉하는 한국 영화의 수가 몇 배로 늘어났다. 2023년에는 평균 한 달에 2편의 한국 영화가 개봉됐으며, 2024년에도 한 해 동안 총 23편의 한국 영화가 개봉됐다.
이외에 러시아 관객들에게 한국 영화를 소개하기 위한 문화 행사도 다수 개최되고 있다. 주러시아 한국문화원은 모스크바를 비롯한 러시아 각지에서 한국영화 주간, K-film 페스티벌 등 다양한 행사를 마련하며 러시아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한국 영화의 러시아어 홍보 포스터>
[자료: kinoafisha.info]
아울러, 러시아 대표 OTT 플랫폼 Kinopoisk, IVI, OKKO 등에서도 한국 콘텐츠가 인기다. 2025년 상반기 기준, Kinopoisk에서는 한국 영화 및 드라마 콘텐츠 580편 이상, IVI에서는 350편 이상이 제공되고 있다. Kinopoisk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 사용자들이 꾸준히 관심을 가지는 외국 콘텐츠의 국가별 순위에서 한국은 상위 5개국 안에 들고 있다. 이처럼 과거 주로 서구 문화에 익숙했던 러시아의 젊은 세대는 이제 아시아, 특히 한국 콘텐츠에서 새로운 영감을 얻고 있다.
<러시아 OTT IVI의 한국 콘텐츠>
<러시아 OTT Kinopoisk의 한국 콘텐츠>
[자료: Kinopoisk 및 IVI 홈페이지]
트렌디한 도시 문화로 자리 잡은 한식
한식당 앞에 긴 줄을 서는 모습이 심심찮게 보일 정도로 러시아 내 한식의 인기 역시 크게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트렌드가 단순히 입맛 취향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러시아인의 관심 증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보고 있다. 러시아인 사이에서 인기 한식 체인으로 2020년 러시아인 사업가가 창업한 한국식 길거리 음식 카페 Chicko를 꼽을 수 있다. Chicko는 개업 약 5년 만에 러시아 46개 도시에 총 56개 매장을 운영하는 러시아 최대의 한식 체인으로 자리 잡았으며, 2024년 전체 매출은 35억 루블에 달한다. Chicko의 성공 요인으로는 러시아 젊은 세대의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함께, 마케팅과 SNS 상에서의 창의적인 홍보, 다양한 고객층을 위한 메뉴 구성을 꼽을 수 있다.
<모스크바 한식 체인 Chicko 매장>
[자료: Yandex Map]
모스크바에서 2022년 말 새롭게 문을 연 한식 비스트로 KOOK도 최근 주목받고 있다. KOOK은 기존의 전통적인 한식당에 대한 이미지를 현대적이고 접근하기 쉬운 도시형 비스트로로 재해석했다. 또한 매장은 K-POP 음악과 영화, 애니메이션부터 첨단 기술에 이르기까지 현대 한류 문화를 상징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한데 모은 멀티 컬처 공간으로 탄생시켰다. 메뉴 또한 SNS상에서 유행하는 한국 음식 트렌드와 서울의 유명 길거리 음식점, 오래된 전통 시장에서 영감을 받아 구성했다.
<모스크바의 KOOK 비스트로 모습>
[자료: KOOK 공식 SNS 계정]
이러한 독특한 콘셉트와 메뉴를 통해 KOOK은 K-POP과 한국 드라마 팬들을 주요 고객층으로 타깃 삼고 있다. 또한 식사 뿐만 아니라 매장 내에 K-shop을 마련해 응원봉, 한국 과자, 의류 등을 함께 판매하며, K-POP 댄스 워크숍, 한국 드라마 상영회, 팝업스토어와 같은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시사점
오늘날 러시아 내 한류는 더 이상 일시적 유행이 아닌 지속 가능한 문화 소비 구조로 자리잡고 있다. 초기에는 K-POP과 드라마 등 콘텐츠 중심의 확산에 머물렀지만, 현재는 굿즈, 식음료, 패션, 학습 콘텐츠, 공연까지 전방위적으로 파급되며 한국 브랜드 전반에 대한 인식 강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대 러시아 소비재 수출도 확대되고 있다. K-뷰티는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2020년부터 줄곧 러시아 수입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산 라면, 김 등 식품도 지난해 수출액이 크게 증가했으며, 이러한 품목이 더욱 다변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류를 매개로 형성된 콘텐츠 소비가 브랜드 가치로 확산되고 있는 지금, 우리 기업은 러시아 시장에서 단순한 콘텐츠 수출을 넘어서 현지 트렌드의 선구자이자 브랜드 경험의 창출자로서의 입지를 모색할 수 있다. 한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한국 프랜차이즈의 직접 진출 사례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우리 브랜드의 진출도 노려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 기업이 한류와 함께 러시아에서 새로운 기회를 맞이하기를 기대해 본다.
자료: RBC, Kommersant, Izvestiya, Tass, Dzen, rg.ru, Reuters, MTS, theblueprint, 굿즈샵 및 식당 공식 계정, KOTRA 모스크바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에 부는 '진짜' 한류 열풍)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러시아는 커피 전성시대, 모스크바 인기 프랜차이즈 현황은?
러시아연방 2025-05-29
-
2
중국 음료 브랜드의 펫코노미 공략법
중국 2025-05-28
-
3
러시아 K-세탁세제 트렌드 완전 정복: 현장 전문가 인터뷰와 시장 인사이트
러시아연방 2025-05-20
-
4
미얀마인들 마음속으로 자리 잡는 K-푸드 열풍
미얀마 2025-05-30
-
5
아제르바이잔 타이어 시장동향
아제르바이잔 2025-05-29
-
6
인도, 전략산업 중심으로 FDI 정책 전면 개편… 글로벌 투자 유치 가속화
인도 2025-05-29
-
1
2024년 러시아 섬유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2-10
-
2
2024년 러시아 농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2-02
-
3
2024년 러시아 폴리머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1-27
-
4
2024 러시아 극동 지역 농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1-06
-
5
2024년 러시아 자동차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0-02
-
6
2021 러시아 자동차 산업
러시아연방 202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