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스 콘택트렌즈 시장동향
- 상품DB
- 프랑스
- 파리무역관 곽미성
- 2025-04-15
- 출처 : KOTRA
-
팬데믹 이후 온라인 상점 중심으로 콘택트렌즈 판매 증가
對한국 수입액 증가 추세
상품명 및 HS 코드
기타 사진 및 광학기기/ 콘택트렌즈 9001.30
시장 동향
2024년 기준, 프랑스의 콘택트렌즈 및 솔루션 상품의 소매 시장 규모는 4억6800만 유로로, 전년 대비 4%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중 콘택트렌즈 품목의 매출액은 4억2300만 유로에 달한다. 시장 규모 추이를 보면, 2020년 이후 많이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마스크 착용이 잦아지면서 안경 착용이 렌즈 김 서림 등으로 불편해졌고, 이에 콘택트렌즈 사용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2022년 겨울, 공공장소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가 종료되면서부터는 직장으로의 복귀와 사회 활동이 다시 증가하면서, 미용의 목적에 따른 콘택트렌즈 필요성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어린이와 청소년 사이에서 스마트폰 등의 스크린 사용 시간 증가로 인해 근시를 겪는 사람들의 비율이 늘어났고, 이에 따라 더 많은 사람들이 안경과 함께 콘택트렌즈를 시력 교정 해결책으로 고려하게 됐다는 분석도 있다.
<2010~2029년 프랑스 콘택트렌즈 & 솔루션 시장 규모 및 추이>
(단위: 백만 유로)
[자료: Euromonitor]
콘택트렌즈 유형별 판매 동향을 보면, 프랑스의 렌즈 사용자들은 일회용 데일리 렌즈를 주간/월간 교체용 렌즈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편안하고 위생적인 데일리 렌즈가 여름철에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해당 품목은 여행 및 스포츠 활동에 이상적이라는 장점도 있다.
다만, 환경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가 지적되자, 최근 들어 렌즈의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이니셔티브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등장했다. 쿠퍼비전(CooperVision)과 플라스틱 뱅크(Plastic Bank)의 파트너십이 그 예다. 플라스틱 뱅크는 해양의 플라스틱 오염을 줄이고 지역사회에 사회적 혜택을 제공하는 단체다. 플라스틱이 바다에 도달하기 전에 수거를 장려하고 이를 재활용해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창출한다. 렌즈 제조기업 쿠퍼비전은 플라스틱 뱅크와 파트너십을 통해 데일리 렌즈 한 상자가 판매될 때마다 동일한 양의 플라스틱을 수거해 재활용하고 있다.
프랑스의 콘택트렌즈 및 솔루션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원재료 부족과 인플레이션에 따른 가격 상승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
안과 전문의 부족 현상도 프랑스 콘택트렌즈 시장의 어려움으로 지적된다. 프랑스에서는 시력 교정용 안경과 콘택트렌즈 구입 시 반드시 안과 전문의의 진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2022년 기준 프랑스에는 6000명 미만의 안과 전문의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그 수는 매해 감소하는 추세다. 2030년이 되면 안과 전문의 부족 현상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상 속 컴퓨터 사용이 많아지면서, 블루 라이트 노출의 잠재적 유해성에 대해 우려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안구 건조증을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능이나 블루 라이트 차단 기능이 있는 렌즈가 향후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일회용 데일리 렌즈는 그 편리함으로 인해 계속 인기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4년 기준, 프랑스의 콘택트렌즈 수입액은 총 2억752만 달러로, 전년 대비 2.5%가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주요 수입 대상국은 독일, 벨기에, 아일랜드와 같은 주변 유럽 국가이며, 이 세 국가로부터의 수입액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24년 수치를 보면, 특히 룩셈부르크로부터의 수입액이 전년 대비 큰 폭(6387.3%)으로 증가한 점이 눈에 띈다.
프랑스는 2024년 한국으로부터 약 208만 달러 규모의 콘택트렌즈 품목을 수입한 것으로 조사되며, 이는 전년 대비 38.2%가 증가한 수치다. 한국은 프랑스의 해당 품목 주요 수입국 중 유일하게 10위권 내에 진입한 아시아 국가다.
<프랑스 콘택트렌즈(HS Code 9001.30 기준)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수입액(US$ 천)
점유율(%)
증감률 23/24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202,256
202,451
207,523
100.0
100.0
100.0
2.5
1
독일
58,935
59,396
61,636
29.1
29.3
29.7
3.7
2
벨기에
44,329
51,992
58,439
21.9
25.6
28.1
12.4
3
아일랜드
49,359
50,481
52,417
24.4
24.9
25.2
3.8
4
네덜란드
11,340
9,328
9,061
5.6
4.6
4.3
-2.8
5
룩셈부르크
116
108
7,013
0.0
0.0
3.3
6387.3
6
영국
22,513
16,577
6,275
11.1
8.1
3.0
-62.1
7
스위스
4,847
5,267
5,433
2.4
2.6
2.6
3.1
8
한국
1,630
1,507
2,084
0.8
0.7
1.0
38.2
9
스페인
479
1,204
1,752
0.2
0.5
0.8
45.5
10
미국
4,013
2,427
1,271
1.9
1.2
0.6
-47.6
[자료: GTA, 25.4.7. 기준]
경쟁 동향
2023년 기준, 프랑스에서 인기 있는 콘택트렌즈 브랜드를 살펴보면, CooperVision 사의 Biofinity가 10.9%의 점유율로 가장 인기 있는 것으로 조사됐고, 그다음으로 Aocon 사의 Dailies, Johnson & Johnson 사의 Acuve Oasys 1 Day 등의 제품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프랑스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표적인 콘택트렌즈 제품>
브랜드(제조사)
사진
설명
Biofinity
(CooperVision)
- 월간, 6개입
- 원시, 근시 교정
- 구면 렌즈, 연속착용렌즈, 저가용 렌즈
- 약 25.8유로
Daillies
(Alcon)
- 데일리 렌즈, 30 개입
- 노안 교정
- 누진렌즈, 다초점렌즈, 이중초점렌즈, 스포츠 렌즈
- 약 38.3유로
Acuve Oasis 1 Day
(Johnson & Jonson)
- 데일리 렌즈, 30 개입
- 원시, 근시 교정
- 안구건조증 환자용
- 구면렌즈, 스포츠렌즈
- 약 34.7유로
Soflens Daily Disposable 30
(Bausch &Lomb)
- 데일리 렌즈, 30 개입
- 원시, 근시 교정
- 구면렌즈, 스포츠렌즈
- 약 16.6유로
Air Optix Aqua
(Alcon)
월간, 6개입
원시, 근시 교정
안구건조증 환자용
구면렌즈, 연속착용렌즈
약 30.5유로
[자료: 1000 lentilles]
유통 구조
프랑스 콘택트렌즈 유통 구조를 살펴보면, 온라인 유통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는데, 이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의 현상으로 분석된다. 2024년 기준 전체 소매 유통망의 23.7%가 온라인 유통망이며, 76.3%가 오프라인에서 유통되고 있다. 여전히 안경원을 통한 판매가 대부분이지만, 2020년~2021년 안경원 매장이 문을 닫고 대면 접촉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시작된 소비자들의 온라인 구매가 소비 습관으로 자리 잡아 지속되고 있다. 온라인 소매점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가격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신규 업체들이 프랑스 시장에 진입하고 있는 것도 근래 나타나고 있는 특징이다.
<콘택트렌즈 전문 온라인 쇼핑몰>
[자료: sensee.com]
관세율 및 인증
한-EU FTA 협정에 따라, 한국산 콘택트렌즈(HS 코드 9001.30)의 관세율은 0%다.
EU 국가에 콘택트렌즈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EU의 의료기기 규정 No.2017/745(Regulation 2017/745 on medical devices)에 따라 CE 인증을 획득해야 한다. CE 마크는 EU 회원국이 유럽 시장 내에서 제작 및 유통되는 제품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마크로, 권고가 아닌 의무 사항이다. CE 마크의 획득을 위해서는 공인 인증 기관의 심사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적합성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
시사점
프랑스의 광학 시장 구조는 매우 광범위하고 경쟁이 심화한 상태로, 프랑스 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현지 파트너와의 관계를 잘 설립하고 조율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대규모 구매 및 판매를 진행하는 유통 바이어 그룹들과 협력하는 것이 좋고, 카탈로그나 광고 등으로 자사의 제품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파리에서 안경원을 운영하는 E 씨는 KOTRA 파리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도시 매연과 온종일 모니터를 봐야 하는 환경 때문에 안구 건조증을 앓는 사람들이 많은 상황이므로 이를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능이나 블루 스크린 차단 기능이 있는 렌즈가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자료: Euromonitor, GTA, 1000 lentilles, sensee, 주요 일간지 Le monde, Les echos, Le figaro, KOTRA 파리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프랑스 콘택트렌즈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멕시코 이차전지 시장동향
멕시코 2025-04-15
-
2
러시아 즉석 라면 시장의 강자로 떠오른 한국
러시아연방 2025-04-15
-
3
중국 여성 생리용품 시장, 소재∙기능은 기본, 친환경까지 생각한다
중국 2025-04-15
-
4
아르헨티나 의료기기 시장동향
아르헨티나 2025-04-14
-
5
유럽 물류 허브 네덜란드, 자동차 부품 시장 현황 및 수출 전략은?
네덜란드 2025-04-15
-
6
과테말라 식품 산업 성장과 식탁의 변화, K-푸드 기회 확대
과테말라 2025-04-15
-
1
2025년 프랑스 전력산업 정보
프랑스 2025-04-01
-
2
2024년 프랑스 항공 산업 정보
프랑스 2024-04-26
-
3
2024 프랑스 산업개관
프랑스 2024-04-25
-
4
2021년 프랑스 비디오게임 산업 정보
프랑스 2021-09-27
-
5
2021년 프랑스 자동차 산업 정보
프랑스 2021-09-24
-
6
2021년 프랑스 신재생에너지 산업 정보
프랑스 2021-09-23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