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아르헨티나 의료기기 시장동향
  • 상품DB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하은주
  • 2025-04-14
  • 출처 : KOTRA

변경된 한국 의료기기 승인 절차로, 현지 시장진출 모멘텀 확보

첨단 기술 기반 의료기기, 현지 시장 수요 본격 확대 전망

시장동향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의료기기 시장은 555000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향후 연평균 4.66%(2024~2029) 성장해 2029년에는 697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이는 인구 고령화, 기대수명 증가, 의료 서비스 접근성 향상 등으로 인한 수요 증가와 의료기기의 지속적인 기술 혁신에 기인한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의료기기 산업은 아르헨티나의 주요 산업 중 하나로 부상했다. 정부의 우호적인 보건 정책과 예산 투자는 의료산업의 성장을 더욱 촉진하고 있다.


2025년 보건부문 예산은 전체 5.6%에 해당하는 65415억 페소(65억 달러). 정부는 대통령령 186/2025호를 통해 2025년 예산을 일부 변경했고, 이는 보건, 안보 및 교육 부분에 대한 예산 증액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보건 분야 예산 증액 세부 내용으로는, 보건복지부에 135억 페소(1232만 달러) 추가, 보건관리 프로그램에 300억 페소(2737만 달러) 추가, 보건복지부 산하기관인 국가장애청(Agencia Nacional de Discapacidad)135억 페소(1232만 달러) 추가 편성 등이 있다. 이러한 정부의 적극적인 보건 분야 예산 투입은 아르헨티나 의료시장을 더욱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아르헨티나 의료산업의 특징


아르헨티나 의료 분야 지출은 국가 GDP9~10%를 차지하고 있다. 아르헨티나는 남미에서 의료 분야 지출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로, 3174개의 병원, 클리닉 및 의료센터가 존재한다. 이 중 55%1740곳이 공공의료기관이고, 45%1434곳이 민관의료기관이다. 이외에 요양기관, 종합진료소, 의료 검진센터, 연구소, 재활센터 등 전체 의료 관련 기관은 총 3만7798 곳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아르헨티나 전국에 의료기기 및 의료기술 관련 기업은 약 500개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들 대부분은 중소기업이다. 의료 분야 다국적 기업들은 현지에 자체 제조 기반을 두지 않고, 지사 또는 유통 사무소만을 두고 판매 및 A/S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다. 아르헨티나 의료기기 시장의 특징은 수입의존도가 높은 것이며 수입 장비 비중이 전체의 약 65~80%에 달한다


아르헨티나 의료기기 제조 분야에서는 최근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와 함께 정부의 의료산업 지원 프로그램 및 자금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 그러나 기술적 한계, 특허 비용 부담 등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본격적인 시장 확대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


현지에서 생산되는 의료기기는 주로 중·고급 기술(Medium·High-Tech)이 적용되는 장비다. 주요 품목은 진단장비, 수술장비, 심장 박동기, 특수 목적용 임플란트 등이다. 다만 현지 의료기기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이들 장비는 대부분 중·소형 장비에 국한돼 있으며, 실제로 독자적인 제조 역량을 보유한 기업은 일부에 불과하다. 상당수 기업은 주요 장비를 해외에서 수입한 후, 일부 부품 또는 모듈만 현지에서 조립·생산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의료용 침대, 가구, 수술대 등 고난도 기술이 요구되지 않는 저기술(Low-Tech) 분야의 장비도 현지에서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주사기, 바늘, 카테터 등 의료 소모품 분야는 해외 다국적 기업과의 가격 및 품질 경쟁이 치열해 현지 제조업체 진입이 제한적인 관계로 생산기업 수가 매우 적은 상황이다.

 

수입동향


2024년 아르헨티나 기타 의료기기 및 부품 수입은 전년 대비 13.53% 감소한 137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 미국, 독일 등이다. 이들 3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전체 수입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16위로, 대한국 수입은 전년 대비 0.41% 증가한 1466만 달러를 기록했다.


<국가별 기타 의료기기 수입 추이(HS Code 901890 기준)>

(단위: US$ ,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금액

점유율

증감율

 

전체

162344

158812

137325

100.00

-13.53

1

중국

46845

45216

36079

26.27

-20.21

2

미국

27604

33981

29311

21.34

-13.74

3

독일

18464

17482

16411

11.95

-6.13

4

코스타리카

6010

7086

6716

4.89

-5.22

5

아일랜드

6296

3541

5638

4.11

59.22

6

영국

3434

4481

4260

3.10

-4.93

7

멕시코

10816

8969

4061

2.96

-54.72

8

이탈리아

3517

1942

3654

2.66

88.16

9

일본

12569

7007

3386

2.47

-51.68

10

인도

2798

1829

3365

2.45

83.98

...

16

한국

1628

1460

1466

1.07

0.41

[자료: GTA (2025.4.)]

 

경쟁동향


아르헨티나 의료기기 시장에는 다수의 현지 제조업체가 존재하지만, 여전히 상당수 장비를 미국, 유럽, 아시아 등에서 수입하고 있다. 고급 기술이 요구되는 장비는 주로 미국과 독일 제품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표준형 제품 시장에서는 중국산 제품이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아르헨티나 의료기기 수입시장은 장비가 53%를 차지한다. 이외에는 임플란트 29%, 소모품 18%로 구성돼 있다. 주로 수입되는 품목으로는 MRI(자기공명영상진단장치), 탐침, 카테터, 캐눌라, 도플러 초음파 장비 등 의학·외과·수의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정밀 장비가 포함된다최첨단 기술이 접목된 의료기기 시장은 Siemens, GE, Philips, J&J, Abbott 브랜드 제품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중국산 의료기기도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아르헨티나 주요 의료기기 브랜드>

주요기업

특징

Siemens Healthineers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1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7pixel, 세로 30pixel

- 의료기술 및 의료 분야의 글로벌 기업으로 아르헨티나에서 인지도가 높음

- 주요 품목: 다양한 종류의 영상 및 진단 장비

GE Healthcare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10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3pixel, 세로 26pixel

- 의료기술분야에서 주요 기업 중 하나

- 주요 품목: 진단 영상장비 및 모니터링 시스템

Philips Healthcare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10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9pixel, 세로 33pixel

- 혁신적인 의료 솔루션으로 인지도가 높음

- 주요 품목 및 서비스: 현지 시장에 맞춘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기타 의료기기

Medtronic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10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8pixel, 세로 33pixel

- 의료기기 및 솔루션 전문

- 주요 품목: 심혈관 장비, 당뇨병 관리장비, 수술도구 등

Boston Scientific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10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27pixel

- 심장학 및 비뇨기과 등 분야에서 선두기업

- 주요 품목: 관상동맥 스텐트, 심장 모니터링 시스템, 요실금 치료장치 등

Abbott Laboratories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10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1pixel, 세로 22pixel

- 진단 분야 의료기기 선두 기업

- 주요 품목: 심혈관 및 당뇨병 치료에 쓰이는 다양한 장비 보유

Johnson & Johnson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1000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4pixel, 세로 22pixel

- Ehicon DePuy Synthes 사업부를 통해 의료기기 제조

- 주요 품목: 수술기구 및 정형외과 장비의 핵심 업체

CANON Medical system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10000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9pixel, 세로 28pixel

- TOSHIBA Medical system. AI 의료기기, 심장학 장비 등을 제조하는 기업

- 주요 품목: 초음파 진단장비, CT, X-Ray 장비, IT헬스케어 시스템

Mindray Argentina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10000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6pixel, 세로 44pixel

- 중국에 본사를 둔 진단장비 제조업체로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을 갖춰 현지 시장인지도를 넓히는 중

- 주요 품목: 모니터, 초음파장비

Edan Instruments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10000d.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9pixel, 세로 46pixel

- 혈액 가스분석 시스템으로 각광받는 중국 기업

- 주요 품목: 모니터, 심전도 측정기, 진단장비

Yuwel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c10000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5pixel, 세로 51pixel

- 가정용 의료기기 제조기업

- 주요 품목: 산소계, 혈압계

[자료: 의료기기 협회(CADIEM), KOTRA 부에노스아이레스 무역관 자체조사]


정부의 세제 혜택과 보조금 지급 등 현지 제조 장려 정책에 따라, 아르헨티나 내 의료기기 제조기업들도 성장하는 추세다.


<주요 아르헨티나 의료기기 생산기업>

비고

구분

장비

업체

High-Tech

영상진단 장비

초음파장비, 방사선장비, X-ray 장비

Denimed, Nardi y Herrero, NH Medical, Medix Quiromed, Ludmed

마취 장비

주입펌프, 호흡기

ADOX, Baguette

임상 실험장비

자동분석기, 혈액학 장비, 혈구 계산기

AADEE, Diconex

기타 전자장비

심장박동기, 바이탈 사인 모니터기, 뇌파 검사기

Akonic, Ekosur, Electromedic, Feas Electrónica, JS Medicina Electrónica, Meditea, SIEC

Mid-Tech

수술장비

전기 수술기

Digital Dinamic Sistem, CEC Electrónica

기타 의료기기

네뷸라이져,온도계, 기화기

San Up, Silvestrin Fabris, SEPID

살균기

살균기

Kims, Mario H. Del Giudice, Cecar Esterilización, Ind. Hogner

무게 측정기

의학용 체중계

Manrique Hnos.

연구실 장비

원심 분리기, 스토브, 증류기

Rolco

정형외과 장비

휠체어, 침대

Diseños Jery, Ortopédicos San Andrés, Quiromed

Low-Tech

일회용 소모품

카테터, 바늘, 주사기

Argimed, Deplamed, KFF, PS Anesthesia, Unimed

가구

카트, 계기판 트롤리

Nardi y Herrero, Quiromed

수술기구

가위, 집게

Faico, KFF, Sulan, Surgical Supply

정형외과 장비

워커(Waker), 목발

Ortopédicos San Andrés

치과용 장비

캐비테이터(Cavitator),

콘트라앵글 핸드피스

Meca-dent, Odontit

[자료: 아르헨티나 경제부 지역 및 산업 기획 차관부(SSPRyS) (2022년 최신자료)]

 

유통구조


아르헨티나에서 유통되는 의료기기는 의료기기 및 식약품의 허가 및 규제를 담당하는 아르헨티나 식약청(ANMAT, Administración Nacional de Medicamentos, Alimentos y Tecnología Médica)의 허가를 받아야 현지 유통이 가능하다. ANMAT에서 요구하는 제품의 안정성, 효과 및 품질을 충족해야 의료기기 등록이 가능하다. 제조업체, 수입 및 유통업체 또한 ANMAT의 인증 및 허가(Habilitación de fabricante y/o importador)가 있어야 의료기기 유통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병원, 클리닉 및 의료센터는 의료기기를 해외 공급처로부터 직접 수입하기보다는 현지 대리점이나 딜러를 통한 구매 방식을 선호한다. 이는 의료기기의 특성상 사용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고, 고장 시 신속한 진단과 수리가 가능해야 하기에 기술지원 및 사후관리(A/S)의 중요성이 크기 때문이다.


국립병원, 지방의료원, 지역보건소 등의 공공의료기관은 대체로 정부 입찰을 통해 의료기기를 구매하고, 노동조합에서 운영하는 사회보장기관에서는 공개 입찰을 진행하거나 소액 구매 시에는 직접 구매하기도 한다. 한편, 사설병원, 민간 의료센터, 개인 의료시설 등의 민간의료기관은 자유롭게 유통업체와 직접 거래가 가능하다. 

  

<아르헨티나 의료기기 유통구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4c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35pixel, 세로 537pixel

[자료: 아르헨티나 경제부 지역 및 산업 기획 차관부(SSPRyS)]


관세율·인증


HS CODE 901890(기타 의료기기)의 남미공동시장(MERCOSUR) 대외 공통 관세율은 0~12.6%이며, 세부 품목 코드에 따라 상이하다. 이때 대외공통관세(AEC, Arancel Externo Común)는 메르코수르 회원국 외 국가로부터 수입할 때 적용하는 관세를 의미한다. 


아르헨티나에 유통되는 모든 의료기기는 ANMAT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그동안 한국산 장비는 ANMAT가 인정하는 위생고경계국(미국, EU, 일본, 이스라엘, 캐나다, 호주 등)의 자유판매증명서( CFS, Certificate of Free Sales)가 있어야 ANMAT 등록이 가능했다. 그러나 202311일부터 제도가 변경돼 기존처럼 위생고경계국에서 발급된 CFS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한국 식약처에서 발급한 CFS만으로도 ANMAT 등록이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등록에 소요되는 기간도 기존의 약 1년 반 또는 2년 내외에서 6개월 내외로 크게 단축됐다. 


시사점


아르헨티나 의료기기 시장에 진출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역량 있는 현지 협력 파트너를 발굴하는 것이다. 의료기기 수입업체는 ANMAT을 통한 제품 등록은 물론, 유통과 사후관리 전반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독점계약 형태로 협력을 추진하는 경우가 많다.


수입 파트너 발굴 시에는 제품 유통을 민간 또는 국공립 중 어디로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목표 시장 세분화가 필요하다. 민간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할 경우 사립병원, 클리, 각종 의료센터를 폭넓게 커버할 수 있고 민간 유통 경험이 풍부한 바이어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국공립의료기관 유통을 위해서는 정부 입찰에 선정돼야 납품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 조달 경험이 많은 수입업체 발굴이 중요하다.


아르헨티나 의료기기 시장은 전통적으로 수입의존도가 높은 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한국산 의료기기의 시장 점유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이는 한국산 제품의 경우 그동안 인증 및 등록 절차가 길고 복잡해 시장 진입 장벽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그러나 최근 아르헨티나에서 한국산 제품의 기술력과 품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고, 한국산 제품 등록 절차가 완화돼 한국 의료기기의 현지 시장진출 확대 모멘텀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아르헨티나 식약청(ANMAT), INFOBAE 일간지, 아르헨티나 경제부, 의료기기협회(CADIEM), 미국 상무부 국제무역청(U.S. Intertional Trade Administration), KOTRA 부에노스아이레스 무역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아르헨티나 의료기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