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 물류 허브 네덜란드, 자동차 부품 시장 현황 및 수출 전략은?
- 트렌드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무역관 한문갑
- 2025-04-15
- 출처 : KOTRA
-
자동차 부품 수입액 78억 달러, 유럽 물류 허브로서 재수출 거점 역할 수행
한-EU FTA 관세 혜택(0%)과 네덜란드의 물류 인프라 활용한 유럽 진출 전략 필요
네덜란드 자동차 부품 수입 동향, 독일 주도 속 한국산 급성장
2024년 네덜란드의 자동차 부품 총수입액은 78억5869만 달러로, 전년 대비 9.3% 감소했다. 독일산 수입은 전년 대비 18.6% 감소한 20억1680만 달러로 시장 점유율 25.7%를 기록하며 여전히 최대 공급국의 지위를 유지했다. 이는 네덜란드를 통한 자동차 부품 유통에서 독일이 여전히 주요 공급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두 번째로 큰 공급국인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전년 대비 5.4% 감소한 9억7028만 달러를 기록해 시장 점유율은 12.3%를 차지했다. 벨기에로부터의 수입은 7.7% 감소한 9억4978만 달러로 12.1%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한편, 한국으로부터의 수입량은 1억4648만 달러로 점유율은 1.9%에 불과했지만 전년 대비 44.3% 증가하며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네덜란드 시장 내 한국 차 부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럽 시장 전반으로 한국산 부품 공급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2~2024년 네덜란드의 자동차 부품(HS Code 8708) 국가별 수입 동향>(단위: US$ 만,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4/'23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 세계
709,551
866,711
785,869
100.0
100.0
100.0
-9.3
1
독일
211,617
247,748
201,680
29.8
28.6
25.7
-18.6
2
일본
44,262
102,540
97,028
6.2
11.8
12.3
-5.4
3
벨기에
91,924
102,845
94,978
13.0
11.9
12.1
-7.7
4
스웨덴
75,405
90,865
88,366
10.6
10.5
11.2
-2.8
5
중국
45,584
43,827
49,657
6.4
5.1
6.3
13.3
6
프랑스
25,909
29,464
31,203
3.7
3.4
4.0
5.9
7
이탈리아
22,161
25,751
29,773
3.1
3.0
3.8
15.6
8
폴란드
36,795
42,682
26,543
5.2
4.9
3.4
-37.8
9
영국
19,539
23,857
16,695
2.8
2.8
2.1
-30.0
10
체코
17,698
19,384
15,861
2.5
2.2
2.0
-18.2
12
한국
8,803
10,150
14,648
1.2
1.2
1.9
44.3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4.1.)]
네덜란드 자동차 부품 수출 현황, 독일·벨기에·프랑스 중심의 유럽 공급망 구축
2024년 네덜란드의 자동차 부품 총수출액은 65억9304만 달러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다. 독일은 최대 수출국으로, 전년 대비 6.3% 증가한 15억7011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출의 23.8%를 차지했다. 벨기에와 프랑스가 각각 7억7611만 달러, 7억5836만 달러로 뒤를 이었다.
이들 주요 수출 대상국은 모두 네덜란드와 육상 및 해상 물류망으로 밀접히 연결된 인접국들로, 네덜란드가 자국 내 수요를 충족할뿐만 아니라 유럽 내 부품 유통 허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자동차 제조 기반이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높은 수출 규모를 유지하고 있는 점은 수입된 부품의 상당량이 독일·벨기에·프랑스 등으로 재유통되는 유통 구조를 갖추고 있음을 의미한다.
<2022~2024년 네덜란드의 자동차 부품(HS Code 8708) 국가별 수출 동향>
(단위: US$ 만, %)
순위
국가명
수출액
비중
증감률
'24/'23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 세계
515,641
653,601
659,304
100.0
100.0
100.0
0.9
1
독일
128,935
147,704
157,011
25.0
22.6
23.8
6.3
2
벨기에
62,813
68,489
77,611
12.2
10.5
11.8
13.3
3
프랑스
36,508
93,459
75,836
7.1
14.3
11.5
-18.9
4
브라질
33,703
38,438
48,376
6.5
5.9
7.3
25.9
5
영국
47,804
55,689
44,540
9.3
8.5
6.8
-20.0
6
스페인
10,711
44,169
39,503
2.1
6.8
6.0
-10.6
7
폴란드
17,165
22,575
25,543
3.3
3.5
3.9
13.2
8
미국
17,248
19,694
23,793
3.3
3.0
3.6
20.8
9
스웨덴
43,148
25,631
23,092
8.4
3.9
3.5
-9.9
10
이탈리아
14,289
14,909
20,415
2.8
2.3
3.1
36.9
52
한국
662
414
505
0.13
0.06
0.08
22.1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4.1.)]
네덜란드, 자동차 부품 유럽 재수출의 전략적 허브로 기능
네덜란드는 유럽 내 주요 물류 허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상당량의 자동차 부품이 단순 수입에 그치지 않고 유럽 타국으로 재수출되는 경우가 많다. 로테르담 항만, 스키폴 공항, 독일 국경과 인접한 육상 운송 인프라를 바탕으로 네덜란드는 EU 전체를 대상으로 한 재수출 거점으로 기능하고 있다. 실제로 네덜란드는 자동차 부품 수입국 상위권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지만, 동시에 수출국으로도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네덜란드가 자동차 제조 기반 시설이 부족함에도 수입된 부품의 규모가 상당하다는 사실은 해당 부품들이 독일, 벨기에, 프랑스 등 인접국으로 재유통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한국 기업이 네덜란드 시장에 진출할 경우, 단순히 네덜란드 내수시장뿐 아니라 전 유럽으로의 공급 네트워크 확대를 고려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자동차 부품 제조 및 유통 업체
<자동차 부품 제조 및 유통 업체 정보>
기업명
기업 정보
Inalfa Roof Systems B.V.
· 주소: De Amfoor 2, 5807GW Venray, The Netherlands
· 설립연도: 1946년
· 생산품목: 슬라이딩 루프 시스템
· 홈페이지: www.inalfa.com
· 특징: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자동차 부품 제조사로 전 세계 16개 지역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40개 이상의 차량 브랜드에 제품을 제공하며 시장점유율 25% 차지
Nedschroef B.V.
· 주소: Kanaaldijk NW 75, 5707LC Helmond, The Netherlands
· 설립연도: 1894년
· 생산품목: 볼트, 너트, 스크루 등의 차량용 패스너(Fastener)
· 홈페이지: www.nedschroef.com
· 특징: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차량용 패스너(Fastener) 제조사로 전 세계 26개 지역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항공기 부품도 제조
LKQ Netherlands B.V.
· 주소: Watermanweg 30, 3067GG Rotterdam, The Netherlands
· 설립연도: 1981년
· 취급품목: 자동차용 애프터마켓용(A/S) 부품, 자동차 정비 공구, 타이어
· 홈페이지: www.lkqeurope.nl
· 특징: LKQ Corporation의 네덜란드 자회사로, LKQ Corporation는 18개국 이상에서 2만6000명 이상의 직원과 1000개 이상의 지점을 운영
Kavo Parts B.V.
· 주소: Laan van de Ram 69, 7324BW Apeldoorn, The Netherlands
· 설립연도: 1986년
· 취급품목: 자동차용 애프터마켓(A/S) 부품
· 홈페이지: www.kavoparts.com
· 특징: 필터류, 브레이크, 엔진 부품 등의 애프터마켓용 부품을 OEM 수준 품질에 3년 보증 제공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한-EU FTA, 한국산 차량 부품 수입한관세 0%... 네덜란드 내 판매 시 부가세 21% 적용
한-EU FTA가 적용될 경우(원산지 인증수출자 취득 및 원산지 규정 충족 시) 한국산 차량용 부품류(HS코드 8708 기준)에 대한 네덜란드의 수입관세율은 0%이며, 네덜란드 내 판매 시 부가세율은 21%이다.
네덜란드 차량용 부품 유통 시장, 다양한 규모와 채널로 고객 요구 충족
네덜란드의 차량용 부품 유통 시장은 규모와 지리적 위치가 다양하다는 특징이 있다. 네덜란드 전역에 걸쳐 광범위한 유통망을 갖춘 다국적 기업을 비롯해 지역 사회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규모 회사까지 포함된다. 요즘은 온라인 주문으로 개인도 B2C 구매가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성 덕분에 개인 운전자부터 대형 자동차 수리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과 온라인 모두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현지 유통 전문가, "한국차 선호도 증가로 애프터마켓 부품 수요 확대"
네덜란드는 자동차 제조 기반이 제한적이어서 차량용 부품 시장이 주로 애프터마켓(A/S) 중심으로 형성돼 있다. 최근 한국 자동차의 판매량 증가에 힘입어 애프터마켓 부품 시장도 순차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네덜란드는 지리적으로 다른 유럽 시장으로 향하는 관문 역할을 하므로 유럽 시장 진입의 전략적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주로 아시아산 자동차 부품을 수입 유통하는 J 사의 H 대표는 KOTRA 암스테르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가성비를 중시하는 네덜란드 시장은 한국차를 선호하고 있으며, 신차 판매의 증가와 더불어 애프터마켓용(A/S) 부품의 판매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OEM 제품의 원활한 공급이 네덜란드 시장 진출에 가장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조언했다.
시사점
2024년 한국산 자동차 부품의 네덜란드 수입이 전년 대비 44.3% 증가한 것은 단순한 현지 수요 증가를 넘어, 네덜란드를 통한 유럽 내 한국산 부품 유통 확대 가능성을 보여준다.
네덜란드가 유럽의 물류 중심지로서 갖는 전략적 가치는 한국 자동차 부품 업체들에 기회가 될 수 있다. 네덜란드를 단순한 단일 판매 시장으로만 보기보단, 유럽 전역으로의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즉, 로테르담 항구와 같은 우수한 물류 인프라를 활용해 유럽 전역으로의 유통망을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한-EU FTA 적용 시 한국산 차량용 부품에 대한 네덜란드의 수입관세가 0%라는 점은 큰 경쟁 우위로, 원산지 인증수출자 취득과 원산지 규정 충족을 통해 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네덜란드의 차량용 부품 유통 시장이 다양화되고 온라인 B2C 구매가 활성화되는 추세를 고려할 때, 한국 기업들은 전통적인 B2B 수출뿐만 아니라 현지 온라인 유통 채널 진출 및 개인 소비자를 겨냥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cbs.nl, autoweek.nl, ewmagazine.nl, no.nl, fd.nl,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암스테르담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유럽 물류 허브 네덜란드, 자동차 부품 시장 현황 및 수출 전략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프랑스 콘택트렌즈 시장동향
프랑스 2025-04-15
-
2
멕시코 이차전지 시장동향
멕시코 2025-04-15
-
3
중국 여성 생리용품 시장, 소재∙기능은 기본, 친환경까지 생각한다
중국 2025-04-15
-
4
러시아 즉석 라면 시장의 강자로 떠오른 한국
러시아연방 2025-04-15
-
5
과테말라 식품 산업 성장과 식탁의 변화, K-푸드 기회 확대
과테말라 2025-04-15
-
6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시장 반응과 전망
미국 2025-04-16
-
1
2024년 네덜란드 모빌리티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4-03-29
-
2
2023년 네덜란드 화학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3-10-20
-
3
2023년 네덜란드 물류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3-08-01
-
4
2021년 네덜란드 물류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2-01-03
-
5
2021년 네덜란드 반도체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1-12-31
-
6
2021년 네덜란드 화학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1-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