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싱가포르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윤수현
- 2025-04-11
- 출처 : KOTRA
-
아시아의 번창하는 프랜차이즈 산업, 테스트베드이자 게이트웨이인 싱가포르 활용
주류 펍, 패스트푸드, 베이커리, 디저트 및 커피 전문점 등 소비자 트렌드에 관심 필요
아시아의 번창하는 프랜차이즈 산업
2024년 프랜차이징 & 라이선싱 아시아(Franchising & Licensing Asia 2024) 전시회에서 통상산업부 수석 Low Yen Ling은 요식업 및 프랜차이즈 산업이 아시아에서 인기 있는 비즈니스 모델로 계속 성장하고 있으며, 중산층의 확대와 경제 성장, 가처분 소득의 증가가 이러한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싱가포르는 프랜차이즈 사업과 관련해 공개 및 등록 의무가 없어, 시장 진입이 용이하며, 기업 환경이 우수한 지역으로 싱가포르에서의 성공 레퍼런스를 토대로 동남아 대양주 등 인근 국가 진출을 위한 발판 내지는 전진 기지로도 활용이 가능한 유망한 산업군이다. 싱가포르는 미래 기회를 찾는 투자자들을 끌어들이는 글로벌 금융 허브로서의 명성을 바탕으로 동남아시아 신흥 시장의 관문 역할을 하는 덕분이다.
2024년 국제무역청(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에 따르면, 글로벌 프랜차이즈 시장은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총 1조 6,000억 달러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등 상당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싱가포르의 높은 소비자 구매력은 프리미엄 브랜드와 요식업이 발달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싱가포르 경제개발청(EDB)에 따르면 싱가포르 경제는 2024년에 4.4% 성장했으며, 이는 전망치 대비 높은 GDP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GDP의 여러 구성 요소 중 서비스업의 성장이 4.4%로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에서도 일부 기인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업 성장률과 높은 구매자 능력은 프랜차이즈 사업의 가맹점주가 동남아시아의 타 국가에 비해 프리미엄 브랜드를 론칭하기 쉬우며, 적극적으로 사업을 확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시장 조사기관 Statista에 따르면, 소비자 구매력을 의미하는 싱가포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지속적인 성장 추세를 보여 주며, 2020년 코로나 기간에만 유일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구당 월평균 소득>
(단위: SGD)
[자료: Statista]
이러한 소비자 구매력 이외에도 K팝 및 한류의 영향으로 인한 한국 브랜드에 대한 호감, 외국 브랜드의 진입 장벽이 낮고 프랜차이즈에 대한 별도의 법적 규제가 없는 기업 친화적 사업 환경은 한국의 프랜차이즈 업체에게도 이상적인 플랫폼으로 작동하고 있다. 특히 싱가포르에서는 2023년에만 10개 이상의 한국 브랜드가 싱가포르에 매장을 열었는데, 포차(Pocha 88)가 Food Palace Group과 협력하여 4개의 매장을 오픈한 것을 비롯하여 본촌, 파리바게뜨, 컴포즈 커피, 싸다김밥과 같은 한국 브랜드들이 인기에 힘입어 현지 매장을 더욱 확대하고 있다.
최근 싱가포르 시장 진출 동향 및 사례
싱가포르는 해외로 진출하고자 하는 글로벌 브랜드들의 주요 목적지가 됐다. 싱가포르에서 한국 프랜차이즈 생태계의 성장은 주류에 기반한 펍과 바, 패스트푸드, 베이커리, 디저트 및 커피 전문점 등 광범위한 소비자 트렌드와 맞물려 있다. 눈에 띄는 사례 중 하나로는 2024년에 오픈한 생활맥주(Daily Beer)와 같은 펍 분야가 있다. 블루위브 컨설팅의 시장 조사에 따르면, 맥주 시장은 연평균 3.6%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2030년 맥주 시장 규모는 10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프랜차이즈 펍, 바 운영 사례 - 한국기업>
브랜드명
생활 맥주(Daily Beer)
싱가포르 파트너
Katrina Holding Roup
설립 연도
2023
사업 분야
- 프라이드 치킨, 떡볶이 등 한식 안주와 맥주 판매하는 캐주얼 펍
- 한국의 인기 메뉴를 싱가포르 소비자들에게 소개하며, 현지 브루어리와 협력하여 싱가포르 전용 맥주를 개발하는 등 현지화에 주력
매장 사진
가격대
$SGD14~33.90(1인당)
지점 수
2개
[자료: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정리]
<프랜차이즈 펍, 바 운영 사례 - 현지 및 외국기업>
브랜드명
Helen’s Bar
싱가포르 파트너
Helens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중국계)
설립 연도
2023
사업 분야
- 중국 최대의 펍 체인으로, 독특한 칵테일과 시그니쳐 음료 제공
- 중국에서의 성공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바탕으로 싱가포르에 진출하였으며, 독특한 인테리어와 음료 메뉴로 차별화를 시도
매장 사진
가격대
$SGD19.99~29.90(1인당)
지점 수
3개
[자료: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정리]
다른 예로 커피와 가벼운 디저트를 판매하는 커피 전문점 등 카페 분야를 들 수 있다. 카페 분야는 이미 Starbucks, The Coffee Bean&Leaf, 현지 커피 체인점 등 주요 업체들이 포진해 있지만, 한국의 컴포즈 커피(Compose Coffee), 중국의 럭킨(Luckin) 커피, 인도네시아의 케난간 커피(Kenangan Coffee)와, 캐나다의 팀 홀튼스(Tim Hortons), 대만의 루이사 커피(Louisa Coffee) 같은 신규 업체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치열한 경쟁에도 불구하고 싱가포르의 커피 시장은 2022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3.2%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 및 카페 운영 사례 - 한국기업>
브랜드명
파리바게뜨(Paris Baguette)
싱가포르 파트너
SPC group
설립 연도
2012
사업 분야
- 베이커리와 카페를 결합한 형태로, 빵, 케이크, 샌드위치, 커피 등을 제공
- 주요 대형 쇼핑몰, 비즈니스 지역에 위치하여 한류 기반의 프리미엄 카페로 브랜딩
매장 사진
가격대
$SGD13~45
지점 수
36개
[자료: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정리]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 및 카페 운영 사례 - 현지 및 외국기업>
브랜드 명
Ya Kun Kaya Toast
싱가포르 파트너
Ya Kun Kaya Toast (현지)
설립 연도
1926
사업 분야
- 카야 토스트, 소프트 보일드 에그, 싱가포르식 커피(Kopi)와 차(Teh) 등 전통적인 로컬 메뉴를 중심으로 대중적인 가격대로 판매
-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프랜차이즈를 확대하며 싱가포르 식문화를 전파
매장 사진
가격대
$SGD7~17.50
지점 수
83개
[자료: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정리]
프랜차이즈 산업 SWOT 분석
S(Strengths)
W(Weaknesses)
- 별도 프랜차이즈 규제법 및 장벽 부재로 모든 플레이어에게 개방적(가맹점 의무 운영 기간, 정보 공개 등)
- 계약서 기반의 강력한 법치주의, IP 보호 체계 등으로 비즈니스 인프라 우수
- 높은 소비자 구매력과 프리미엄 브랜드 진출 가능성
- 소규모 도시국가 특성상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수 및 작은 시장 규모
- 치열한 시장 경쟁으로 인한 프랜차이즈 파트너 발굴 및 유치 애로 존재
O(Opportunities)
T(Threat)
- 지리적 거점으로 동남아진출 테스트 베드 기능, 성공사례 토대로 대양주(호주) 등 선진시장 진출 가능
- 할랄 인증 등 유사한 환경의 중동 시장 진출 가능성 존재
- 높은 임대료, 재고 관리 비용, 인건비 등 운영 비용에 대한 압박 존재
-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대한 자체 대응 역량이 부족하며 신규 진입 브랜드 간의 경쟁 심화
[자료: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정리]
시사점
K-콘텐츠의 인기와 SNS를 통한 한국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최근 싱가포르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진출하는 한국 프랜차이즈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해외 진출을 준비하는 기업들은 프랜차이즈 특화 컨설팅, 자금 지원, 교육 및 시장 정보 등을 적극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KOTRA 싱가포르 무역관의 서비스와 현지 전문가 자문을 통해 시장 진입 리스크를 줄이고, 지역 맞춤형 전략을 보다 체계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
매년 9월에 개최되는 싱가포르 프랜차이즈 전시회에서는 올해 KOTRA 해외전시회 한국관이 운영될 예정이다. 싱가포르를 통한 동남아 진출에 관심이 있는 기업이라면 참관 및 전시 부스에 참가할 것을 추천한다.
자료: Statista, Euromonitor, Blueweave consulting, 싱가포르 경제개발청(EDB), 국제무역청(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프랜차이즈 진출 기업 및 브랜드별 홈페이지,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싱가포르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카타르의 기후 변화 대응 및 탄소 감축 노력
카타르 2025-04-14
-
2
K–스마트팜 진출 유망 지역, 아제르바이잔 농업계의 현황과 과제는?
아제르바이잔 2025-04-14
-
3
성장하는 벨기에 전자상거래 시장, 우리 기업의 기회요인은?
벨기에 2025-04-11
-
4
몽골 화물차 시장 동향
몽골 2025-04-11
-
5
이스라엘 화장품 시장, K-뷰티를 기다리고 있어요!
이스라엘 2025-04-11
-
6
아르헨티나 의료기기 시장동향
아르헨티나 2025-04-14
-
1
2024년 싱가포르 반도체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4-11-11
-
2
2023년 싱가포르 바이오헬스 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3-05-23
-
3
2021년 싱가포르 IT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2-01
-
4
2021년 싱가포르 관광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
-
5
2021년 싱가포르 건설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
-
6
2021년 싱가포르 물류산업 정보
싱가포르 2021-11-2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