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몽골 화물차 시장 동향
  • 상품DB
  • 몽골
  • 울란바토르무역관 Nandintsatsral Amarsanaa
  • 2025-04-11
  • 출처 : KOTRA

5톤 이하 화물차 시장, 한국산 독주 체제 유지

몽골 화물차 수입액 전년대비 60% 급증, 산업 회복과 수요 급등이 견인

 

HS 코드

상품명

8704

화물자동차

8704.21

총중량이 5톤 이하인 것

 

시장 동향

 

몽골은 자체적인 자동차 생산 기반이 거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차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023년 기준 등록된 전체 차량 수는 약 119만 대이며, 이 중 화물차는 약 24만 5000대로 전체의 21%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화물 운송 수요가 높은 산업 구조와 지리적 특성에 기인한다. 몽골 전체 등록 차량 중 81.7%가 사용된 지 10년 이상 된 차량이며, 최근 3년 이내 신차 등록 비중은 5.6%에 불과하다. 이는 시장 전반이 중고차 중심 구조임을 나타내며, 신차 가격 부담, 정비 인프라 부족, 소득 수준 등의 제약이 배경으로 작용한다. 특히, 화물차는 경제 인프라와 물류 수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도시 간 물류와 광산업 중심의 산업 활동에 따라 차량 수급이 결정된다. 대형 프로젝트나 인프라 투자 확대 시기에 맞춰 중고 화물차 수입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도 보인다.

 

<최근 5년간 차량별 등록 비중>

(단위: )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비중(%)

버스

19,535

36,084

34,073

31,832

23,356

2

화물차

227,525

241,268

263,852

265,661

244,867

21

승용차

667,375

715,309

775,171

812,263

788,038

66

특수차량

20,075

20,672

20,404

18,604

14,705

1

기계장비

13,595

15,004

16,527

17,603

16,979

1

트레일러

47,972

40,616

52,997

64,169

73,055

6

오토바이

46,951

67,781

71,677

54,760

31,520

3

전체

1,043,028

1,136,734

1,234,701

1,264,892

1,192,520

100

[자료: 몽골 통계청]

 

<2023 기준 몽골 등록 차량 연식>

차량 연

등록 차량 ()

비중(%)

0~3

67,027

5.6

4~6

51,570

4.3

7~9

99,338

8.3

10 이상

974,585

81.7

 [자료: 몽골 통계청]

 

수입동향

 

최근 4년간 몽골의 화물차(HS Code 8704) 수입은 꾸준히 증가해왔다. 2024년에는 전년 대비 약 60% 증가한 7억 6396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노후 차량 교체 수요 확대, 산업용 운송 수요 증가, 그리고 광산, 건설 프로젝트 재개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총 중량 5톤 이하 화물차(HS Code 8704.21)는 2024년 기준 5071만 달러가 수입돼 전년 대비 32.9% 증가했다. 수입 대수 기준으로는 전체 화물차의 약 43%를 차지하며, 주요 수입국으로는 한국, 일본, 중국이 있다. 한국산 차량은 가격 대비 품질, 내구성, 부품 수급의 용이성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최근 4년간 몽골 화물차(HS code-8704.21) 국가별 수입 통계 및 증감률>

(단위: US$ 만)

구분

2021

2022

2023

2024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전체 수입액

2776.2

4.8%

3619.9

30.4%

3815.3

5.4%

5071.4

32.9%

한국

1590.8

8.0%

1844.3

15.9%

1707.2

-7.4%

2947.0

72.6%

일본

511.1

-22.0%

894.1

74.9%

1038.4

16.1%

947.4

-8.8%

중국

256.8

726.9%

247.5

-3.6%

319.9

29.2%

454.5

42.1%

태국

165.5

-21.9%

229.4

38.6%

493.1

115.0%

310.6

-37.0%

호주

61.4

-35.4%

117.8

91.7%

73.3

-37.7%

176.8

141.1%

미국

63.8

261.7%

210.5

230.0%

45.8

-78.2%

69.9

52.6%

튀르키예

28.2

-34.8%

14.8

-47.4%

26.4

78.2%

53.4

102.1%

독일

16.2

63.7%

9.5

-41.3%

22.3

135.4%

42.7

91.2%

아랍에미리트

3.2

-82.1%

10.5

223.0%

8.7

-17.1%

28.5

228.1%

영국

37.5

-25.3%

8.6

-77.2%

5.7

-33.2%

7.3

28.3%

[자료: 몽골 관세청]

 

반면, 비포장도로용 덤프트럭(HS Code 8704.10)의 수입은 2024년 기준 4억 8816만 달러로 전년 대비 195.3% 증가하며 전체 화물차 수입의 63%를 차지했다. 해당 품목은 광산, 건설 분야 등 산업용 수요가 주된 원인으로 수입되며, 이 시장은 중국이 약 73%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중국은 가격 경쟁력, 현지 적합 모델 제공, 신속한 부품 공급망 등의 강점으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그 뒤로 미국과 일본이 주요 수입국으로 자리하고 있다.

 

<최근 4년간 몽골 화물차(HS code-8704.10) 국가별 수입액 및 증감률>

(단위: US$ 만)

구분

2021

2022

2023 

2024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전체 수입액

9,560.4

25.5%

13,123.2

37.3%

16,533.1

26.0%

48,816.3

195.3%

중국

6,117.4

227.3%

8,138.5

33.0%

12,607.1

54.9%

35,839.8

184.3%

미국

0.0

0.0%

961.4

0.0%

276.7

-71.2%

5,749.0

1977.7%

일본

1,449.5

47.6%

2,544.0

75.5%

1,348.1

-47.0%

3,875.0

187.4%

[자료: 몽골 관세청]

 

대한수입규모

 

몽골의 5톤 이하 화물차(HS Code 8704.21) 수입에서 한국은 최대 공급국으로 자리하고 있다. 2023년 한국산 화물차 수입액은 1707만 달러로 집계됐으며, 2024년에는 2947만 달러로 전년 대비 72.6% 증가하며 크게 확대됐다. 전체 수입 시장에서 한국산 차량은 금액 기준 약 58%를 차지하며, 점유율 1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이는 몽골 내 물류 수요 회복과 함께, 한국산 중소형 화물차에 대한 신뢰도 및 시장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반면, 비포장도로용 덤프트럭(HS Code 8704.10)의 경우 한국산 차량의 수입은 시장의 0.2%에 불과하여 전체 수입국 중 7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덤프트럭 시장에서 중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에 비해 경쟁력이 낮은 상황을 보여준다.

 

경쟁동향 및 유통 현황

 

몽골 화물차 시장은 차량의 총중량과 용도에 따라 주요 수입국, 차량 형태, 유통 방식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이원화된 구조를 보인다. 특히 총중량 5톤 이하의 일반 화물차(HS Code 8704.21)와 비포장도로용 대형 덤프트럭(HS Code 8704.10)의 시장 특성과 공급 구조는 서로 상이하다.


5톤 이하 화물차 시장은 주로 중고차 수입을 중심으로 형성되며, 한국이 최대 공급국으로 자리잡고 있다. 2024년 기준 한국산 차량은 전체 수입액의 약 58%를 차지하며,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주요 경쟁국으로는 일본과 중국이 있으며, 한국산 차량은 가격 대비 품질, 내구성, 부품 수급의 용이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주로 수입되는 브랜드로는 현대(HYUNDAI), 기아(KIA), 대우(DAEWOO) 등이 포함되며, 일본의 미쓰비시(MITSUBISHI), 히노(HINO), 이스즈(ISUZU)도 일부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 이 차량군은 신차보다는 중고차 위주로 거래되며, 대형 딜러보다는 소규모 개인 수입상이 유통을 주도하는 특징을 보인다.


반면, 비포장도로용 대형 덤프트럭(HS Code 8704.10) 시장은 중국이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을 보이고 있다. 2024년 기준 중국산 덤프트럭 수입은 전체 HS Code 8704.10 품목의 약 73%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산 덤프트럭은 가격 경쟁력, 현지 수요에 대한 적합성, 신속한 부품 공급 체계 등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 신차 형태로 수입된다. 주요 브랜드로는 HOWO, NORD BENZ, PAW 등이 있으며, 이러한 차량들은 대부분 20톤 이상의 대형 차량으로 구성된다. 주요 활용 분야는 광산업, 인프라 건설, 도로공사 등 대형 프로젝트로, 이러한 B2B 수요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따라서 몽골 화물차 시장은 일반 화물차와 대형 덤프트럭의 시장 구조가 뚜렷하게 구분되며, 국가별 경쟁력 또한 확연히 차이가 난다. 한국은 5톤 이하 화물차 시장에서 우위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대형 덤프트럭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관세율 및 인증

 

몽골은 전반적으로 수입 제품에 대해 5%의 기본 관세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는 HS Code 8704에 해당하는 일반 화물차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관세 외에도 10%의 부가가치세(VAT)가 일괄적으로 부과돼, 실제 수입 원가에는 관세와 부가세가 함께 반영된다. 한편, 몽골은 2020년 APTA(아시아·태평양 무역협정) 가입 이후, 한국·중국과의 일부 품목에 대해 2021년부터 관세 인하 혜택을 적용 중이다. 화물차 품목 가운데는 HS Code 8704.10에 해당하는 비포장도로용 덤프트럭과 총 중량 20톤 이상 대형 화물차가 양허 대상에 포함돼 있으며, 해당 차량에 대해서는 기본 5%에서 인하된 3.5%의 관세율이 적용된다. 반면, 그 외 일반 화물차는 여전히 기본 5% 관세율이 유지되고 있다. 

 

<대 한국 일반 양허표(화물차 부분)>

No

HS Code

Description

MFN Rate (%)

MOP offered

357

870410

Dumpers designed for off-highway use

5

30

358

870423

g.v.w. exceeding 20 tonnes

5

30

[자료: 몽골 외교부 자료 재구성]


참고로, 몽골과 일본은 2016년 5월 몽∙일 경제동반자협정(EPA)을 체결하면서 상호 간 관세 감면 혜택을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이 협정에 따라 몽골은 5700개 품목에 대해, 일본은 9300개 품목에 대해 각각 관세를 감면하기로 했다. 특히 몽골 측의 5700개 품목 중 화물차가 포함됐으며, HS코드 8704.23을 제외한 대부분의 화물차에 대해 관세가 면제됐다. 따라서, HS코드 8704.21에 해당하는 총중량 5톤 이하의 화물차는 관세가 전면 면제됐다. 이로 인해 해당 품목의 일본으로부터의 수입 경쟁력이 크게 향상됐다.

 

시사점

 

몽골의 화물차 시장은 차량 수입, 정비, 부품 공급까지 연계된 산업 생태계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 시장은 여전히 중고차 중심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연식이 짧은 차량이나 신차에 대한 수요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소비자들이 내구성과 유지비 절감 효과를 중시하는 실용적인 소비 패턴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몽골의 대형 덤프트럭 시장은 현재 중국이 약 73%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과 일본 또한 일부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어, 한국 기업 역시 경쟁력 있는 진출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한국은 중소형 화물차 시장에서 강점을 유지하고 있으나, 대형 덤프트럭 시장에서도 품질, 내구성, 유지보수 서비스와 같은 차별화 전략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몽골 화물차 시장에서는 내구성을 중시하고 유지비 절감 효과를 고려하는 실용적인 소비자층이 증가하고 있다. 연식이 짧은 차량이나 신차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것은 기존의 저가 위주 수요에서 벗어나, 보다 높은 성능과 비용 절감 효과를 추구하는 소비 패턴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자료: 몽골 관세청, 몽골 통계청, 몽골 외교부, 언론 기사, KOTRA 울란바토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몽골 화물차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