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호주 기초화장품 시장동향
  • 상품DB
  • 호주
  • 멜버른무역관 조미영
  • 2025-03-20
  • 출처 : KOTRA

호주 기초화장품 시장, 수분 공급과 안티에이징 제품 중심으로 지속 성장세

한국 화장품, 브랜드 차별화와 유통망 확장, OEM 등 생산 방식 다각화로 시장 진입 전략 필요

<품목 및 HS Code>

품목

HS Code

메이크업, 매니/페디큐어, 파우더 제외한 모든 화장품

330499

 

호주 시장 규모 및 동향


호주 안면용 기초화장품 시장은 최근 몇 년 동안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25년 호주의 안면용 기초화장품 시장 매출은 29억3000만 호주달러(2조 8623억원)를 기록할 예정이며, 이는 2028년까지 연평균 3.8%로 성장하여, 2028년 32억7000만 호주달러(2조9936억원)를 기록할 전망이다.


<2018~28년 호주 기초화장품 시장 규모>
(단위: AUD 백만)

[자료: Euromonitor]



품목별로 살펴보면, 2023년 기준, 수분 공급을 위한 보습 제품이 전체 시장에서 37.3%를 차지하며 가장 큰 시장 규모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노화 방지를 위한 안티에이징 제품과 세안 제품이 각각 26.5%와 24.6%를 차지했다. 특히, 안티에이징 제품은 2023년 기초화장품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품목으로, 호주의 고령화와 더불어 젊은 세대의 예방적 노화 방지에 대한 관심 증가가 시장 성장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처럼 호주 기초화장품 시장은 수분 공급, 노화 방지, 세안을 중심으로 균형 잡힌 소비 패턴을 보이고 있다.


<2023년 호주 안면용 기초화장품 품목별 시장 규모>
(단위: %)

[자료: Euromonitor]


수입 규모 및 수입 동향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HS Code 330499에 해당하는 메이크업, 매니/페디큐어, 파우더 제외한 모든 화장품의 전체 수입 규모는 2024년 8억4865만 호주달러(7770억 원)에 달한다. 전체 수입국별 비중을 살펴보면, 미국이 26.6%로 1위를 차지하고, 프랑스는 14.7%로 2위, 한국은 12.2%로 3위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중국, 태국, 영국, 이탈리아, 캐나다, 독일, 일본 순으로 수입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에서 호주로의 수입액은 2024년 1억390만 달러(2023억 원)를 기록하여, 2023년 7390만 달러(1076억 원) 대비 40.6%의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는 전체 수입국 중 가장 큰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미국, 프랑스, 영국 등 다른 국가에서의 수입은 줄어든 반면, 한국에서의 수입은 두드러지게 증가하여, 호주 내 K-Beauty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다.


<2022~2024년 호주 기초화장품 수입 추이>

(단위: US$,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시장점유율
('24년 기준)

증감률

('23/'24)


전체

724,816,899

859,382,447

848,646,256

100.00

-1.25

1

미국

218,292,334

238,469,951

225,638,884

26.59

-5.38

2

프랑스

118,465,901

136,699,829

124,371,697

14.66

-9.02

3

한국

44,717,148

73,899,117

103,902,481

12.24

40.60

4

중국

41,750,405

60,369,928

78,349,643

9.23

29.78

5

태국

44,521,052

45,634,994

42,625,355

5.02

-6.60

6

영국

38,233,143

38,264,142

34,448,729

4.06

-9.97

7

이탈리아

27,449,396

48,081,835

33,758,638

3.98

-29.79

8

캐나다

34,168,151

41,720,478

33,438,349

3.94

-19.85

9

독일

25,549,117

32,026,686

31,813,400

3.75

-0.67

10

일본

25,759,108

27,825,930

23,357,362

2.75

-16.06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3.13.]


경쟁 동향


호주의 기초화장품 시장은 프리미엄 브랜드와 대중적 브랜드가 동시에 성장하며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소비자들은 여전히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수요를 유지하며, 이른바 ‘립스틱효과(Lipstick Effect)’가 나타났다. 이는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도 적은 금액으로 프리미엄 화장품과 같은 작은 사치품을 구매해 기분을 전환하려는 소비자들의 경향을 반영한 현상이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프리미엄 브랜드들은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프리미엄 성분을 내세워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와 동시에 가격 경쟁력과 접근성을 강조한 대중적인 화장품 브랜드들은 보다 넓은 소비자층을 공략하며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합리적인 가격대의 기초화장품 및 기능성 제품들이 시장에 출시되었고, 이들 제품은 온라인, 대형 슈퍼마켓, 약국 등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해 판매되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Euromonitor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시장점유율 상위 3대 경쟁사는 로레알 호주(L'Oréal Australia Pty Ltd), 에스티 로더(Estée Lauder Pty Ltd), 맥피어슨 컨슈머 프로덕츠(McPherson's Consumer Products Pty Ltd)이며 그 외 수많은 다국적, 호주 화장품사들이 경쟁하고 있다. 특히, 로레알은 2024년 멜버른에 본사를 둔 스킨케어 브랜드인 이솝(Aesop)을 인수하며, 프리미엄 기초화장품뿐만 아니라 기능성 헤어케어, 바디케어 및 향수 분야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략적 인수는 로레알의 프리미엄 시장 확대를 위한 중요한 움직임으로, 향후 프리미엄 기초화장품 및 럭셔리 뷰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브랜드별로 보면, 2023년 기준 맥피어슨 컨슈머 프로덕츠사의 닥터 르윈스(Dr LeWinn’s) 제품이 전체 기초화장품 브랜드 중 1위를 차지했으며, 최근 급성장세를 보였던 데시엠(Deciem)사의 디 오디너리(The Ordinary) 브랜드와 로레알 호주의 세라베(CeraVe) 브랜드가 공동 2위를 차지했다. 특히, 디 오디너리 제품은 합리적인 가격대이면서도 고급 성분을 강조한 다양한 제품들로 최근 급격히 성장했고, 세라베 또한 피부 장벽 개선에 효과적인 제품들로 인기를 끌었다. 이 외에도 올레이(Olay), 클라랑스(Clarins), 로레알, 라로슈포제, 에스티 로더 등이 시장에서 강한 입지를 유지하며 경쟁력을 이어가고 있다.


유통구조


호주 기초화장품 시장은 프리미엄 제품과 일반 대중적 제품이 서로 다른 유통라인을 통해 판매되며, 두 시장이 동시에 성장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프리미엄 제품은 주로 백화점이나 화장품 전문점을 통해 유통되는 반면, 대중적 제품은 대형 슈퍼마켓, 약국 등의 유통 채널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판매되고 있다.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케미스트 웨어하우스(Chemist Warehouse)와 프라이스라인(Priceline)과 같은 대형 약국 체인을 통한 판매가 전체 기초화장품 시장의 32.5%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울워스(Woolworths)와 콜스(Coles)와 같은 대형 슈퍼마켓 채널을 통한 판매가 20.4%를 차지하며 뒤를 이었고, 화장품 전문점과 백화점을 통한 판매 비중은 각각 12.1%와 13.4%를 기록했다.


전자상거래를 통한 판매 비중은 13.1%로, 코로나 팬데믹 동안 급증했던 온라인 쇼핑 수요에 비해 다소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소비자들이 화장품을 직접 체험하고 다양한 제품을 비교하고자 하는 경향이 여전히 강하다는 것을 반증한다. 이에 발맞춰, 온라인 전용 판매를 해왔던 어도어 뷰티(Adore Beauty)는 2025년 2월 멜버른에 첫 오프라인 매장을 오픈하였고, 세포라(Sephora)는 피부 관리 및 에스테틱 트리트먼트 브랜드인 하이드라페이셜(HydraFacial)과 협력하여 일부 매장에서 ‘Perk by HydraFacial 트리트먼트’ 제공 등의 프로모션을 진행하여,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2023년 호주 내 기초화장품 유통채널 비중>

[자료: Euromonitor]

 

한국 화장품의 유통 경로망도 더욱 확장되고 있다. 세포라(Sephora)나 메카(Mecca)와 같은 화장품 전문점에는 설화수, 라네즈, 닥터자르트 등 한국에서 잘 알려진 기초화장품 브랜드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으며, 어도어 뷰티(Adore Beauty)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에서는 Korean Beauty 카테고리를 따로 구분하여 한국 화장품을 특별히 소개하고, 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아마존(Amazon)이나 이베이(eBay) 와 같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도 한국 화장품의 입지가 확고히 자리잡고 있으며, 점점 더 많은 한국 화장품 브랜드들이 호주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K-Beauty에 대한 관심과 인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반영하며, 호주 내 한국 화장품의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Adore Beauty 내 Korean Beauty 판매 페이지>

[자료: Adore Beauty 홈페이지]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330499에 해당하는 ‘메이크업, 매니/페디큐어, 파우더 제외한 모든 화장품의 경우, 호주에서는 일반적으로 0%의 무관세가 부과된다.


호주에 화장품을 유통하기 위해서는 호주 산업 화학품 도입 관리제도(Australian Industrial Chemicals Introduction Scheme, AICIS)를 통해 화장품에 사용되는 모든 원료가 호주에서 사용이 가능한 안전한 원료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때 천연 성분일 경우 자연 환경에서 발생하는 무가공 화학품이라는 법적 정의에 부합하면 AICIS에 별도로 등록할 필요가 없지만, 새로운 화학 성분이나 호주에 없는 성분이 포함된 제품은 등록 또는 평가를 받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성분의 신고 의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링크의 질문들을 통해 사전에 확인해 볼 수 있다.


https://www.industrialchemicals.gov.au/business/getting-started-registration-importing-and-manufacturing/what-registration-and-who-must-register

또한, 호주 보건부 산하 식약처(Therapeutic Goods Administration, TGA)는 치료 효과를 가진 화장품, 자외선 차단제 등도 관리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제품은 TGA의 규정을 따르며 등록 후 수입 및 유통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능성 화장품이나 자외선 차단제를 수출하려면 TGA의 규정에 맞춰 준비해야 하며, 이를 통해 제품이 적합한지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와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시사점


호주 시장에서 K-Beauty의 인기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K-Beauty는 한국 화장품의 강점인 고품질과 합리적인 가격대 덕분에 특히 젊은 소비자층 사이에서 입지를 확고히 다져가고 있다. 한국 화장품 브랜드들은 그동안 우수한 성분과 혁신적인 제품으로 큰 주목을 받아왔으며, 온/오프라인을 통한 유통 채널을 확대하면서 빠르게 성장했다.


하지만 호주 시장에서 K-Beauty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도전 과제가 존재한다. 특히, 중국에서 수입되는 저가 화장품들이 급증하면서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K-Beauty 브랜드는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격 전략을 잘 세워야 하고 차별화된 브랜드 전략 또한 필수적이다. 과거에는 한국 화장품 브랜드들이 현지에서 단독 매장을 오픈하며 큰 이슈를 불러일으킨 바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예상보다 낮은 매출과 소비자 반응으로 인해 일부 브랜드들은 결국 매장을 닫는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이는 매장 운영을 통한 물리적 존재감을 강조하기보다는 온라인 마케팅과 대형 유통망 등을 통한 접근이 더 효과적이라는 현실을 반영한 결과일 수 있다.


이와 함께, OEM/ODM 등의 생산 방식도 하나의 유효한 전략이 될 수 있다. 이미 한국의 상당수 중소기업들이 호주 브랜드의 OEM/ODM 생산을 진행하며, 현지 시장에 적합한 맞춤형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현지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유통 비용을 절감하고, 빠르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특히 호주 소비자들에게 더욱 친숙한 브랜드로 자리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K-Beauty 브랜드가 호주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호주 내 경쟁 환경과 유통 구조를 잘 이해하고, 적절한 가격 경쟁력과 현지화 전략을 통해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호주 내 Beauty관련 전시회 정보>

Beauty Expo Australia

- 일시: 2025년 8월 16-17일

- 장소: Sydney ICC Exhibition Centre

- 호주에서 개최되는 가장 큰 규모의 뷰티 엑스포로, 매년 200개 이상 기업이 참여

Hair & Beauty Expo Aus

- 일시: 2025년 6월 20-21일

- 장소: Melbourne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MCEC)

- 2025년 처음 개최 예정인 헤어 & 뷰티 엑스포

[자료: 각 전시회 홈페이지]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Adore Beauty, Sephora, Mecca 및 각 약국 홈페이지, 뷰티 전시회 홈페이지, 호주 보건부 AICIS, KOTRA 멜버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호주 기초화장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