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쿠웨이트 기초화장품 시장동향
  • 상품DB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문정인
  • 2025-03-23
  • 출처 : KOTRA

프랑스, 미국, 이탈리아 등 글로벌 브랜드가 주도하고 있으나 한국 브랜드 시장 점유율도 점차 확대

대(對)한 기초화장품 수입 규모 증가세, 한국은 쿠웨이트의 제5위 수입국

기초화장품(Hs Code 330499) 시장 동향


쿠웨이트의 기초화장품 시장은 매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Statista에 따르면, 2025년 쿠웨이트의 스킨케어 시장은 약 2억 달러 이상의 규모를 기록할 전망이다. 기초화장품 중에서도 페이스 제품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이어서 바디 케어 제품과 천연 스킨케어 제품, 유아 및 어린이용 케어 제품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쿠웨이트 기초화장품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2025년 2월]

 

수입 동향 및 대(對)한 수입 규모


쿠웨이트의 기초화장품 수입 규모는 2020년부터 매년 증가하고 있다. Trade Map 통계에 따르면, 쿠웨이트의 1위 기초화장품 수입국은 프랑스이며 이어서 미국, 아랍에미리트, 이탈리아가 뒤를 잇는다. 한국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다. 2023년 기준 한국은 제5위 수입국으로 아시아 국가 중 1위이며 2021년부터 꾸준히 수입 금액이 증가하고 있다.

 

<쿠웨이트 기초화장품 (Hs Code 330499) 국가별 수입 통계>

(단위: US$ 천)

순위

수입국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 세계

209,753

193,649

214,486

231,821

260,639

1

프랑스

41,992

30,597

42,276

50,314

54,661

2

미국

32,067

24,499

22,563

26,666

47,045

3

UAE

28,663

23,833

26,586

30,499

25,150

4

이탈리아

10,896

7,408

10,944

13,729

21,122

5

한국

8,161

6,660

12,077

18,209

19,341

6

스페인

4,616

4,043

5,750

5,969

10,270

7

독일

15,886

15,173

11,185

11,409

9,836

8

폴란드

5,894

9,678

9,102

9,379

9,664

9

스위스

4,427

5,243

6,791

8,268

7,933

10

영국

7,329

9,167

5,687

5,822

7,057

[자료: Trade Map]

 

경쟁 동향

 

쿠웨이트의 화장품 시장은 프랑스, 미국, 이탈리아 등의 글로벌 브랜드가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Statista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한 브랜드는 Dove다. Dove는 바디 및 스킨케어 제품의 인지도가 높은 네덜란드 브랜드로 보습 기능에 강점을 둔 브랜드다. 이 외에도 미국의 피부 장벽 보호를 강조한 CeraVe, 프랑스의 민감성 피부용 제품에 강점을 둔 La Roche-Posay와 천연 성분 기반의 스킨케어 브랜드 Garnier 등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쿠웨이트 기초화장품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

(단위: %)


[자료: Statista, 2024년 3월]

 

기타 브랜드 비중이 64%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데 이는 중소 브랜드 및 로컬 브랜드가 시장에서 활발히 유통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한국 화장품 브랜드들도 이 범주에 다수 포함돼 있으며 앞으로도 K-뷰티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통 구조


오프라인 유통의 경우 다양한 채널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대형 쇼핑몰 내에 단독 브랜드 샵으로 입점하거나 Sephora와 같은 전문 화장품 매장을 통해 유통되며 제품 특성에 따라 드러그스토어나 약국, 하이퍼마켓 등을 통해서도 판매되고 있다. 더불어 Boutiqaat과 같은 인기 온라인 뷰티 전문 플랫폼 등을 통해 온라인 입점도 가능하며 현지 인플루언서와 협업하여 소셜미디어를 통해서도 유통이 가능하다.

 

관세율 및 인증

 

기초화장품의 관세율은 5%이며, 쿠웨이트 보건부(Ministry of Heahlth)에서 화장품 수입을 관할하고 있다. 해외로부터 수입되는 모든 화장품은 쿠웨이트 보건부의 제품 등록 절차를 거쳐야 하며 제품 등록을 위해 필요한 서류는 아래와 같다.

 

1. 에이전트 계약서(Letter of Appointment): 수출기업은 수출 제품(브랜드)에 대해 수입 및 유통 권한을 갖는 쿠웨이트 기업을 에이전트로 지정해야 하며 해당 에이전트 계약서는 대한상공회의소와 주한쿠웨이트대사관의 공증이 필요하다. LOA 작성 시에는 쿠웨이트 바이어(에이전트)와 계약 관계 유형(Relationship Type)에 대해 협의 후 이를 계약서에 명시해야 한다. 과거에는 화장품 수출 시 독점 에이전트 계약이 의무 사항이었으나 쿠웨이트 보건부의 새로운 규정에 의하면 비독점 에이전트도 승인 가능하다. 다만 의약 성분이 포함된 화장품의 경우 독점 에이전트가 의무 사항이며 일반적인 스킨케어 및 메이크업 제품의 경우 비독점 에이전트 등록도 가능하다.


  (1) 독점 에이전트(Sole/Exclusive Agent): 만약 쿠웨이트 기업 A 사가 특정 제품(브랜드)에 대해 독점 계약을 맺고 있는 경우 다른 쿠웨이트 기업 B 사는 동일한 제품(브랜드)을 등록할 수 없다. 수출기업이 기존 독점 에이전트 A 사 대신 새로운 에이전트 B 사로 교체를 원하는 경우 A 사에 대한 계약 해지 서한(Termination Letter)을 발급해야 하며 이는 대한상공회의소와 주한쿠웨이트대사관의 공증이 필요하다. 서류 발급이 완료되면 새로운 에이전트 B 사가 해당 서류를 쿠웨이트 보건부에 제출해야 하며 보건부의 판단에 따라 신규 등록 절차가 다시 요구될 수 있다.


  (2) 비독점 에이전트(Non-Exclusive Agent): 쿠웨이트 기업 A 사가 특정 제품(브랜드)의 비독점 에이전트로 등록돼 있다면 새로운 쿠웨이트 기업 B 사도 쿠웨이트 보건부에 동일한 제품(브랜드)에 대한 LOA를 제출할 수 있다. 다만 제품(브랜드)이 동일하더라도 새로운 등록 절차가 필요하며 쿠웨이트 보건부는 두 에이전트 A, B 사에 대한 평가를 진행한 후 최종 승인을 결정한다.


2. 자유 판매 증명서(Free Sale Certificate)대한화장품협회로부터 발급받은 후 주한쿠웨이트대사관의 공증을 득해야 한다. 자유판매증명서는 제조사 및 유통사의 회사명과 주소, 제품명이 포함돼 있어야 한다.


3. 제조 라이선스(Manufacturing License) 사본주한쿠웨이트대사관의 공증이 필요하다.


4. GMP 또는 ISO 인증서주한쿠웨이트대사관의 공증이 필요하다.


5. 성분표(Original Certificate of Composition): 전 성분에 대한 설명 및 정확한 비율이 기재된 제조사의 성분표로 제조사의 서명 및 직인이 날인된 레터헤드를 사용해야 한다.


6. BSE Free 증명서: 광우병을 유발할 수 있는 생물학적 첨가물이 포함돼 있지 않음을 증명하는 서류로 제조사 발급 후 주한쿠웨이트대사관 공증을 득해야 한다.


 ㅇ 쿠웨이트 보건부에서 제시하는 BSE 첨가물 예시: elastin collagen, ceramides, glycosaminoglycans, liver extracts, lung extracts, glycerophospholipids, hypothalamus, bone marrow extracts, spingolipid, tonsil, animal proteins, RNA, DNA 등


7. 안전인증서: 코르티손(Cortisone), 호르몬(Hormone), 기타 유해 물질이 포함돼 있지 않고 인체에 안전함을 증명하는 서류로 제조사의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양식도 활용 가능하다.

 

시사점

 

쿠웨이트 기초화장품 시장은 여전히 글로벌 브랜드가 주도하고 있으나 한국 화장품(K-뷰티)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이다. 한국 브랜드는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에 고품질의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어 현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한류의 영향으로 인지도와 선호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보습·진정 기능이 뛰어난 제품과 더마코스메틱 브랜드가 인기를 얻고 있어 이러한 기능성 제품을 중심으로 진출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온·오프라인 유통망을 동시 확보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최근 온라인 유통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며 뷰티 전문 플랫폼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현지 주요 뷰티 유통망과 협업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인플루언서 마케팅 등을 적극 활용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자료: 쿠웨이트 보건부, Statista, Trade Map 등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쿠웨이트 기초화장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