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대만 농약 시장동향
  • 상품DB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유기자
  • 2024-10-21
  • 출처 : KOTRA

연간 농약 사용량, 유효성분 기준 9000톤 상회

화학농약 사용 감축정책으로 친환경적인 미생물 농약 시장이 유망

HS코드·품목명(한국 기준)

 

HS코드: 2931.90

품목명: 기타 유기·무기 화합물에 속하는 농약원제(農藥原劑)

 

시장동향

 

대만 농업부 자료에 따르면, 대만의 농경지 면적은 2023년 기준 총 77만8516헥타르로 대만 전체 면적의 21.5% 비중을 차지한다. 중·남부 지역에 대만 전체 농경지의 73.1%(중부 36.7%, 남부 36.4%)가 집중돼 있으며, 지자체별로 농경지 면적이 가장 큰 곳은 타이난시(남부 지역, 9만649헥타르), 윈린현(중부, 7만9499헥타르), 쟈이현(남부, 7만3130헥타르), 핑둥현(남부, 7만693헥타르), 난터우현(중부, 6만5016헥타르) 순이다.

 

대만 내 농가 수는 2022년 기준 총 67만7870가구로 쌀 농사 가구가 29.6%(22만4847가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과일 농사 가구 25.8%(19만5954가구), 채소 농사 가구 18.3%(13만8791가구) 순으로 형성돼 있다.

 

대만의 농약 생산량은 유효성분 기준으로 연간 1만1000톤을 넘는다. 품목유형별로 살충제 생산 비중이 과반(2023년 기준 53%)을 차지하며, 제초제 28%, 살균제 18% 순이다. 살충제는 원제 생산량이 완제품보다 많고, 제초제는 완제품 생산량이 원제를 압도하는 구조다. 살균제도 완제품 생산량이 원제보다 많으나 제초제보다는 격차가 작은 편이다.

 

<대만의 농약 생산량(유효성분 기준)>

(단위: 톤)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체

합계

11,173

11,558

11,623

12,406

11,092

완제품

6,584

7,525

6,745

7,205

6,327

원제

4,589

4,033

4,878

5,201

4,765

살충제

합계

5,325

5,556

6,275

6,547

5,871

완제품

2,297

2,523

2,584

2,688

2,023

원제

3,028

3,033

3,691

3,859

3,848

살균제

합계

2,198

2,332

2,286

2,715

1,961

완제품

1,239

1,463

1,178

1,416

1,124

원제

959

869

1,108

1,299

837

제초제

합계

3,449

3,478

2,821

2,951

3,080

완제품

2,847

3,347

2,743

2,908

3,000

원제

602

131

78

43

80

기타

합계

201

192

241

193

180

[자료: 대만 농업부]

 

대만은 2018년부터 ‘화학농약 사용량 50% 감축 10개년 정책’을 시행 중이다. 2014~2016년 기준 연간 평균 사용량(유효성분 기준, 9139톤) 대비 2027년 사용량을 4570톤까지 줄이는 것을 목표로 수립했다. 


정책 실시 이후 5년 차인 2022년 기준 사용량은 총 9371톤으로 기준치보다 오히려 소폭 증가했고, 유독성 농약 사용량은 기준치가 정책 시행 한 해 전에 비해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 사용량(유효성분 기준)은 2022년 기준 제초제 3253톤, 살충제 2984톤, 살균제 2742톤이다. 정책 시행 이전연도(2017년) 대비 제초제 사용량은 25.9% 감소했고, 살균제는 6.0% 감소한 반면 살충제는 오히려 소폭(5.4%)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만의 농약 사용량(유효성분 기준)>

(단위: 톤)

 

기준치

(2014~2016년 평균)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농약 사용량

9,139

10,549

9,175

8,983

9,848

9,380

9,371

유독성 농약사용량

1,128

1,414

730

364

353

375

339

[자료: 대만 농업부 동식물방역검역서(2023.8.)]


수입동향


*편집자 주: 수입량 통계는 유효성분 기준으로 집계한 생산량, 사용량과 격차가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대만 농업부의 농약 수입통계 기준, 대만은 연간 5만 톤 안팎을 수입 중이다. 2023년 수입량은 4만9938톤으로 지난해 대비 4.6% 감소했으며, 최근 3년간(2021~2023년)은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연간 4만 톤을 하회했던 10년 전(2012년)에 비해서는 31.9%가 증가한 수준이다.

 

<대만의 농약 수입동향(최근 10년 기준)>

(단위: 톤, %)

[자료: 대만 농업부 ‘농업통계자료조회’]

 

대만이 수입하는 농약의 절반가량은 중국에서 들어온다.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가 총 20%대 비중을 차지하고 나머지 30% 안팎을 다른 국가/지역들이 조금씩 나눠 가지고 있다.


<대만의 농약 수입 대상 Top 10>

(단위: 톤, %)

순위

2021년

2022년

2023년

국가/지역명

수입량(비중)

국가/지역

수입량(비중)

국가/지역

수입량(비중)

1

중국

26,224(48.9)

중국

23,362(44.6)

중국

25,184(50.4)

2

베트남

4,864(9.1)

베트남

5,396(10.3)

베트남

4,855(9.7)

3

말레이시아

3,407(6.4)

말레이시아

3,644(7.0)

말레이시아

3,215(6.4)

4

싱가포르

2,695(5.0)

싱가포르

3,129(6.0)

싱가포르

2,830(5.7)

5

인도

2,432(4.5)

일본

2,523(4.8)

일본

2,124(4.3)

6

일본

2,222(4.1)

인도

2,318(4.4)

미국

1,750(3.5)

7

미국

1,878(3.5)

독일

2,227(4.3)

인도

1,676(3.4)

8

독일

1,851(3.5)

미국

1,929(3.7)

태국

1,654(3.3)

9

태국

1,669(3.1)

영국

1,551(3.0)

독일

1,459(2.9)

10

영국

1,336(2.5)

태국

1,424(2.7)

인도네시아

1,099(2.2)

11

인도네시아

1,122(2.1)

인도네시아

1,049(2.0)

영국

910(1.8)

12

한국

818(1.5)

한국

813(1.6)

한국

809(1.6)

합계

 

53,639(100.0)

 

52,341(100.0)

 

49,938(100.0)

[자료: 대만 농업부 ‘농업통계자료조회’]

 

품목별 수입은 제초제가 43.1% 비중을 차지한다. 소독제, 살균제, 살충제를 포함한 네 가지 유형의 품목이 전체 수입량의 94.8%에 달한다. 품목별로 제초제는 원제의 수입 비중이 82%에 달하는 반면 소독제는 대부분이 완성품으로 수입하고 있다. 살균제와 살충제의 경우에도 완성품 수입이 원제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초제 원제의 경우 파라콰트 원제 수입량이 9275톤으로 절반을 넘었다.

 

<품목별 농약 수입량(2023년 기준)>

(단위: 톤, %)

품목

수입량

비중

 

원제

완성품

제초제

21,505

17,621

3,884

43.1

소독제

13,678

24

13,654

27.4

살균제

6,604

1,135

5,469

13.2

살충제

5,534

1,618

3,916

11.1

기타 농약 또는 유사품

502

41

461

1.0

살응애제

251

98

153

0.5

식물생장조절제

156

29

127

0.3

살서제

60

6

54

0.1

살선충제

33

33

0

0.1

기타

1,615

-

-

3.2

[자료: 대만 농업부 ‘농업통계자료조회’]

 

한편, 이 보고서가 특정한 HS코드 2931.90(기타 유기·무기 화합물에 속하는 농약원제)은 한국의 300대 수출품목(금액 기준) 중 하나로 연간 수출액은 3억 달러를 상회한다. 2023년에 총 3억2500만 달러를 수출한 가운데 대만은 3위 수출시장으로 전체 수출의 10.2% 비중을 차지했다.


대만 측 수입 통계를 기준으로 HS코드 2931.90의 2023년 수입액은 1억7677만 달러이며 한국은 전체 수입의 16.9% 비중을 차지하는 3위 수입대상 국가/지역으로 확인됐다.

 

<대만 HS코드 2931.90의 수입동향>

(단위: US$ 만, 톤)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수입액

(전년 대비 증감률)

19,044

(1.8%)

21,395

(12.4%)

24,087

(12.6%)

25,543

(6.0%)

17,677

(-30.8%)

수입량

(전년 대비 증감률)

7,060

(-7.1%)

6,798

(-3.7%)

8,043

(18.3%)

6,058

(-24.7%)

4,902

(-19.1%)

[자료: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서 ‘수출입무역통계’]

 

<대만 HS코드 2931.90의 수입대상 Top10(2023년 기준)>

(단위: US$ , 톤)

금액 기준

순위

중량 기준

국가/지역

수입액

비중

국가/지역

수입량

비중

미국

6,348

35.9%

1

중국

2,369

48.3%

일본

3,665

20.7%

2

독일

630

12.9%

한국

2,992

16.9%

3

일본

622

12.7%

중국

2,353

13.3%

4

인도

457

9.3%

독일

1,111

6.3%

5

미국

440

9.0%

스페인

307

1.7%

6

한국

206

4.2%

인도

289

1.6%

7

이탈리아

44

0.9%

프랑스

174

1.0%

8

스페인

32

0.6%

멕시코

111

0.6%

9

말레이시아

30

0.6%

이탈리아

68

0.4%

10

태국

20

0.4%

[자료: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서 ‘수출입무역통계’]

 

대한 수입규모

 

한국은 대만의 12번째 농약 수입대상 국가/지역이다. 대만 농업부의 농약 수입 통계를 기준으로 2023년 대한 수입량은 809톤이며 전체 대비 1.6% 비중으로 분석됐다. 최근 5년간(2019~2023) 대한 수입량 순위는 12위를 유지하고 있다.

 

<대만의 대한 농약 수입 규모>

(단위: 톤, %)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수입량

707

688

818

813

809

전년 대비 증감률

32.6

-2.6

18.8

-0.6

-0.4

대만 전체 농약 수입량 대비 비중

1.5

1.3

1.5

1.6

1.6

[자료: 대만 농업부 ‘농업통계자료조회’]

 

한국에서 수입하는 품목은 소독제 완성품이 전체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살충제 완성품이 33%, 살균제 완성품이 12.6%로 뒤를 잇는다. 상위 5개 수입품목 가운데 살선충제 원제가 특히 급격하게 증가한 가운데 살충제 완성품과 살균제 원제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 대한 농약 수입 규모(2023년 기준)>

(단위: 톤, %)

품목

수입량

비중

전년 대비 증감률

소독제 완성품

387

47.8

8.0

살충제 완성품

267

33.0

-12.5

살균제 완성품

102

12.6

6.5

살균제 원제

18

2.2

-21.3

살선충제 원제

15

1.9

560.0

[자료: 대만 농업부 ‘농업통계자료조회’]

 

한편, 이 보고서가 특정한 HS코드 2931.90(기타 유기·무기 화합물에 속하는 농약원제)의 경우, 대만의 대 한국 수입량이 연간 200톤을 웃돈다. 2023년 수입량은 206톤으로 지난해 대비 25.9% 급감했으나, 5년 전인 2018년에 비해서는 34.6%가 늘었고, 10년 전인 2013년에 비해서는 무려 29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의 대한국 HS코드 2931.90 수입 추이(중량 기준)>

[자료: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서 ‘수출입무역통계’]

 

경쟁동향

 

대만에서 농약 원제 또는 완제품을 생산하려면 농업부가 발급하는 제조허가증을 품목별로 취득해야 한다. 농약 원제 제조허가증을 취득한 업체는 총 14개, 완제품 제조허가증을 취득한 업체는 총 49개가 조회(2024.10.8. 기준)된 가운데 허가증 취득건수 기준 대만 주요 농약 생산업체는 다음과 같이 확인됐다.

 

<대만 주요 농약 생산업체(제조허가증 취득건수 기준)>

원제 생산

완제품 생산

업체명

허가증

취득 수

업체명

허가증

취득 수

興農(Sinon)

48

興農(Sinon)

205

惠光(HKC)

14

日農科技(JihNong Science)

198

功力化學工業(Comlets Chemical Industrial)

6

臺聯實業(Phesol Industrial)

187

三晃(Sunko Ink)

6

聯利農業科技(Lanlix Crop Science)

150

富農化學工業(Fulon Chemical Industrial)

5

洽益化學(ChiaYi Chemical Industry)

136

洽益化學(ChiaYi Chemical Industry)

4

國豐化學工業(Rich Country Chemical)

134

農會農化廠(대만 농회 부설 농약공장)

3

惠光(HKC)

132

百泰生物科技(Bion Tech)

2

臺益工業(TaiYeh Chemical Industry)

131

福壽實業(Fwusow Industry)

2

台農三和化工(TaiLong Chemical)

128

光華化學(KuangHwa Chemical)

1

東和化學企業(TongHo Chemical & Enterprise)

125

[자료: 대만 농업부 동식물방역검역서]

  

농약 원제 및 완제품 제조허가증 취득건수가 가장 많은 싱농(Sinon)은 자체 추산 기준 현지 농약 소매시장에서 16% 점유율을 차지하는 대만 1위 농약 제조사다. 2023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생산능력은 2만8550톤이며 생산량은 1만8262톤이다. 대만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화학농약 관리·감독 강화 추세에 따라 싱농은 독성이 낮은 생물학적 제품과 천연소재를 사용한 대체품 개발을 적극 추진 중이다. 싱농이 자체 온라인숍을 통해 판매하고 있는 천연식물보호제의 경우, 키토산, 시나몬 에센셜오일, 대형 갈조류 추출물, 인산철, 오렌지 에센셜오일 성분의 제품의 판매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 싱농(Sinon)사의 천연식물보호제 인기 제품(자체 온라인샵 판매량순 기준)>

제품

사진

용량 및

정가

1리터

350대만달러

250밀리리터 300대만달러

500밀리리터

350대만달러

250그램

100대만달러

500밀리리터

350대만달러

주요

성분

키토산 성분

시나몬 에센셜오일 성분

대형 갈조류 

추출물 성분

인산철 성분

오렌지 에센셜오일 성분

[자료: 업체 홈페이지]

 

유통구조

 

농업 원료를 합성한 농원 원제는 완제품으로 가공·분할포장 후 농회(農會, Farmers’ Association)나 직영점·대리점 등을 통해 농가에 판매된다. 여기서 농회는 한국의 농협과 유사한 기관으로 대만 전역에 총 301개의 거점이 분포돼 있다.

 

<농약 유통구조>

농약원료

농약원제

(합성업체)

농약 완제품

(가공·분할포장업체)

유통채널

(농회, 직영점, 대리점 등)

농민

[자료: 대만기업(Sinon, HKC) 사업보고서 종합]


 

대만에서 농약 원제와 완제품을 수입하는데도 대만 농업부의 승인이 필요한데, 농약원제수입허가증을 취득한 80개 대만기업과 농약제품수입허가증을 취득한 94개 대만기업(2024.10.1. 조회 기준) 가운데 허가증 취득 수가 가장 많은 업체는 다음과 같다.

 

<대만 주요 농약 원제/완제품 수입업체(허가증 취득 수 기준)>

원제 수입

완제품 수입

업체명

허가증

취득 수

업체명

허가증

취득 수

日農科技(Jih Nong Science)

76

萬得發(Wonderful Agriculture)

154

興農(Sinon)

65

嘉濱貿易(Elirita Trading)

153

潤豐農科(Rainbow Agrosciences)

47

雅飛(Alfa)

87

詣榮國際(Earron International)

38

日農科技(Jih Nong Science)

82

青山貿易(Green Mountain)

37

台灣先正達(Syngenta Taiwan)

68

臺聯實業(Phesol Industrial)

28

松樹國際(Songtree International)

57

國豐化學工業(Rich Country Chemical)

28

易利特開發(Elleytech)

56

台灣日產化工(Taiwan Nissan Chemical Industries)

27

優必樂(Agrowaho International)

52

嘉濱貿易(Elirita Trading)

26

台灣巴斯夫(Basf Taiwan)

49

佳禾作物科學(Agriwell Crop Science)

24

大成化學工業(Dah Chen Chemical & Industry)

48

[자료: 대만 농업부 동식물방역검역서]

 

관세율

 

이 보고서가 특정한 HS코드 2931.90의 대만 관세율은 세부 품목별 관세율이 2.5%, 4%, 5%로 형성돼 있으며, HS코드 3808호*에 속하는 농약의 경우에도 대체로 2.5~5%대 관세율이 적용된다.**

* 품명: 살충제·살서제(쥐약)·살균제·제초제·발아억제제·식물성장조절제·소독제와 이와 유사한 물품(소매용 모양이나 포장한 것, 조제품으로 한 것, 제품으로 한 것으로 한정)

** 파라콰트 원제를 제외한 기타 제초제 원제(0%)와 제초제 완제품(2%) 제외 기준

 

<농약 관련 대만 HS코드의 관세율>

HS코드

품명

관세율

2931.90

기타 유기·무기화합물에 속하는 농약원제

2.5%, 4%, 5%

3808.59

기타 농약원제

2.5%, 3.5%, 5%

3808.61

순중량 300그램 이하로 포장한 농약원제

5%

3808.62

순중량 300그램 초과~7.5킬로그램 이하로 포장한 농약원제

5%

3808.69

기타 농약원제

2.5%, 5%

3808.91

살충제

2.5%, 5%

3808.92

살균제

2.5%, 3.5%

3808.93

제초제, 식물성장조절제

0%, 2%, 2.5%, 3.5%

3808.94

소독제

2.5%, 5%

3808.99

기타(살응애제, 살선충제, 살서제 등)

2.5%, 3.5%

[자료: 대만 재정부 관무서]

 

인증

 

현지에서 농약 원제나 완제품을 수입하기 위해서는 대만 농업부 동식물방역검역서의 허가증을 먼저 취득해야 한다. 품목별로 허가증을 신청·취득해야 하므로 수입자가 허가증 신청에 필요한 자료를 구비하는 과정에서 수출자의 적극적인 지원·협조가 필요하다.

 

농약 원제·완성품 수입 허가증 신청 시 제출서류로는 △생산공장에 관한 기본정보, △생산지 국가에서 발급한 농약생산허가증과 농약생산공장측이 대만 측 수입자에게 현지 수입허가증을 신청하도록 승인했음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농약규격검사보고서, △농약 원제 출처에 관한 설명, △국내외 농업현장의 시험결과자료, △물리화학적·독성학적 시험결과자료 등이 있다.

 

시사점

 

대만은 고온다습한 기후 특성상 병충해가 번식하기 유리하며, 기후변화에 따른 병해충 증가는 농약 사용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대만이 화학농약 사용량 감축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살충제는 오히려 정책 시행 전보다 사용량이 늘었고(2017/2022년 대비 기준), 살균제는 소폭 감소에 그쳤다(2017/2022년 대비 기준)는 점도 농약 사용 감량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볼 수 있다.

 

농약 사용을 관리·감독하는 대만 농업부 동식물방역검역서가 농약 사용 감축 정책의 무게중심을 ‘양적’ 감소에서 ‘위험성’ 감소로 옮겨가고 있다는 점에서 천연식물보호제인 미생물 농약 시장이 유망할 것으로 평가된다. 현지 바이어가 과일 병해충 방제용 한국산 미생물 농약 제품 발굴에 관심을 보인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대만 농업부가 지정한 천연식물보호제 성분의 경우, 농약 생산/수입 허가능 취득의무가 면제되므로 수입자 입장에서 반입절차가 비교적 간편하다는 이점도 있다. (출시 전 제품등록절차는 자발적으로 이행해야 함.) 농약수입허가증 취득의무가 면제되는 천연식물보호제의 용도별 성분을 감안해 친환경·저독성 농약 시장진출기회를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허가증 취득의무를 면제하고 있는 천연식물보호제 성분>

용도

성분

해충 방제

Neem oil, Diatomaceous earth, Soapberry(saponin),

Fatty acid salts(soap), Kaolinite

병균 방제용

Hypochlorites, Sodium hydrogen carbonate, Silicon dioxcide,

Phosphorous acid+Potassium hydroxide, Potassium silicate

해충 및 병균 방제용

Chitosan, Calcium carbonate, Orange essential oil(D-limonene), Vinegar

선충 방제용

Chitin

연체동물 방제용

Camillia oil meal(saponin)

잡초 방제용

Pelargonic acid(Nonanoic acid)/Ammonium nonanoate

식물성장조절용

Ecklonia Maxima Seaweed extract

[자료: 대만 농업부]

 

 

자료: 대만 농업부 농업양식서, 대만 농업부, 대만 농업부 동식물방역검역서, 대만 재정부 관무서,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서, 대만 전자공시시스템,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대만 농약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