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폴란드 일반기계 및 자동화기계의 부품 시장동향
  • 상품DB
  • 폴란드
  • 바르샤바무역관 신일숙
  • 2024-06-12
  • 출처 : KOTRA

제조산업 확대로 부품 수요 증가 전망

한국 진출기업 증가 추세에 따른 최근 3년간 對 한국 수입 증가

상품명(HS코드) 및 상품 설명

 

HS코드

상품 설명

상품 설명(영문)

8479.90

기타, 개별 기능을 가진 기계류 기계 장치의 부분품과 부속품

Parts Of Machines And Mechanical Appliances Having Individual Functions, Nesoi


HS코드 8479.90은 기타 기계류의 부분품과 부속품을 의미한다. 이는 일반 기계류의 부분품과 부속품뿐만 아니라 제조, 건설, 농업, 광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계와 장비의 부품과 부속품을 포함한다. 또한, 산업용 로봇의 부품, 컨베이어 등 산업용 자동화기계 및 장비의 부분품도 이에 해당된다.


시장동향


폴란드는 유럽에서 여섯 번째로 제조업 강국이다. 폴란드의 제조업은 자동차, 금속 제품, 고무 플라스틱, 전기 장비, 화학 제품, 기계 장비 다양한 분야에서 강력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이러한 다양한 제조 산업의 발달과 기존에 형성된 클러스터 덕분에, 폴란드는 중동부 유럽에서 외국인 직접 투자가 가장 활발한 국가 하나로 자리매김해 왔다.

 

제조업의 발달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일반 기계류 수요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부품과 부속품의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 일반적으로 기계류의 부품 시장은 해당 기계의 시장동향에 영향을 받는다. 폴란드에서 산업용 자동화기계의 수요가 증가하면, 이에 따라 해당 기계의 부품 수요도 증가하게 된다. 기계의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기 때문이다.

 

폴란드는 산업 4.0 기술 도입을 통해 산업 자동화 설비 스마트 제조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폴란드 제조업의 경쟁력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자동화 기계 부품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수입 동향 및 對한국 수입 규모

 

2023년 폴란드의 일반기계 및 자동화기계 부품 수입액은 약 3억85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3.8% 증가했다. 폴란드의 제조업이 발달함에 따라 해당 품목의 수입액 역시 장기적인 추세로 증가하고 있다.

 

<폴란드 일반기계 및 자동화기계의 부품 수입 동향(2014~2023)>

(단위: US$ 백만)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5.27.]


주요 수입국은 독일, 이탈리아, 한국, 중국, 오스트리아 순이다. 2023년 기준, 독일로부터의 수입액은 약 1억4000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약 36.4%를 차지했다. 이탈리아로부터의 수입액은 약 4700만 달러로 12.1%를 기록했다. 독일과 이탈리아, 한국은 수입국 12, 3위 자리를 매년 유지해왔으나, 그 외 국가의 순위는 매년 달라짐에 따라 폴란드가 해당 품목의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폴란드 일반기계 및 자동화기계의 부품 수입 동향(2021~2023)>

(단위: US$ 천, %)

순위

국명

2021

2022

2023

비중

증감률

-

전체

347,034

337,915

384,649

100.0

13.8

1

독일

119,135

105,693

140,032

36.4

32.5

2

이탈리아

38,600

59,073

46,614

12.1

-21.1

3

한국

21,790

28,336

36,141

9.4

27.5

4

중국

20,359

17,762

23,297

6.1

31.2

5

오스트리아

17,449

23,244

19,535

5.1

-16.0

6

체코

28,474

3,501

13,428

3.5

283.6

7

슬로바키아

7,856

8,826

11,988

3.1

35.8

8

프랑스

4,381

7,854

9,597

2.5

22.2

9

미국

7,510

10,439

9,563

2.5

-8.4

10

덴마크

9,076

7,880

7,700

2.0

-2.3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5.27.]


일반기계 및 자동화기계 부품에 대한 폴란드의 대(對)한국 수입은 2023년 기준으로 주요 수입국 중 3위를 차지했다. 수입액은 약 3614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27.5% 증가했으며 전체의 9.4%를 차지한다.


한국 기업의 폴란드 투자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던 2017년을 기점으로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는 주로 폴란드 현지에 투자한 한국 기업들의 생산 설비와 연관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반기계 및 자동화기계 부품 시장이 현지 투자 규모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對한국 수입 동향(2014~2023)>

(단위: US$ 천, %)

구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대한수입액

3,465

969

1,890

10,556

29,064

22,699

20,573

21,790

28,336

36,141

비중

1.6

0.5

0.9

4.5

7.6

7.6

6.9

6.3

8.4

9.4

순위

14

19

16

5

4

4

4

4

3

3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5.27.]


경쟁동향


폴란드는 제조 산업이 큰 만큼 일반기계 및 자동화기계와 관련된 여러 다국적 기업들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시장이다. 특히, 자동화기계와 관련된 주요 업체들로는 ABB, Siemens, Schneider Electric, Rockwell Automation, Mitsubishi Electric, Yokogawa Electric, Omron, Fanuc 등이 있다. 이러한 글로벌 기업들은 폴란드에서 다양한 자동화 솔루션과 부품을 공급하며, 제조업체들의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폴란드의 자동화기계 시장에는 많은 중소기업들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이들 중소기업들은 특정 산업 분야나 니치 마켓(Niche Market)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폴란드 제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소기업들은 주로 고객 맞춤형 솔루션과 보다 유연한 고객 대응을 통해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이러한 다국적 기업들과 중소기업들의 활약 덕분에 폴란드는 유럽에서 중요한 제조업 허브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일반기계 및 자동화기계의 부품 수요 역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유통구조

 

폴란드에서 일반기계 및 자동화기계 부품은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주요 유통채널은 다음과 같다.

 

<일반기계 및 자동화기계의 부품 유통구조>

[자료: 바르샤바 무역관 자체분석]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8479.90 기준 기타 산업용기계의 부품의 제3국 대상 관세율은 1.70%이며, 한국은 FTA 적용으로 무관세이다. 다만, 폴란드 기본 부가가치세 23% 적용된다.


기타 산업용기계의 부품이 유럽 시장에 수입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CE 인증을 취득해야 한다. 유럽지역(EEA) 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기계류는 CE 마크를 통해 안전, 건강, 환경 보호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부품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다른 기술 지침이 적용된다.

 

기계류 및 부품의 CE 인증과 관련된 지침은 다음과 같다:

  - 기계류 지침(Machinery Directive, 2006/42/EC): 기계 및 관련 부품의 설계와 제조에 관한 안전 요구 사항을 규정한 지침

  - 저전압 지침(Low Voltage Directive, 2014/35/EU): 전기적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지침

  - EMC 지침(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Directive, 2014/30/EU): 전자기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지침


시사점

 

폴란드는 유럽에서 제조업 허브로 자리 잡고 있으며, 다국적 기업과 중소기업들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시장이다. 특히, 폴란드의 산업용 자동화기계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자동화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일반기계 및 자동화기계 부품 시장의 수요도 상존하고 있다.

 

폴란드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현지화된 서비스와 고객 지원이 중요하다. 현지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시장 진출 초기의 리스크를 줄이고, 현지 시장에 맞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도 좋은 진출전략이 될 것이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trade.ec.europa.eu, PAIH, Statista, KOTRA 바르샤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폴란드 일반기계 및 자동화기계의 부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