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 동향
  • 상품DB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문정인
  • 2024-05-22
  • 출처 : KOTRA

의료기기 수입 수요 증가 전망


의료기기(HS Code 901890) 시장 동향

 

쿠웨이트 정부는 국가 개발 계획인 ‘쿠웨이트 비전 2035’의 핵심 목표인 자국 의료 다각화를 위해 공립병원 건설 및 민간 의료 부문 투자를 확대해 오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꾸준한 인구 증가와 신규 병원 및 보건 센터 개설 등으로 쿠웨이트의 의료기기 수입 수요는 지속해서 증가할 전망이다.

 

Statista에 따르면 쿠웨이트의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22년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한 이후 2023년 감소했으나 2028년까지 꾸준히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은 심장 관련 의료기기이며 진단 영상 장치, 정형외과 기기, 안과용 장치 등의 비중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 규모 추이>

[자료: Statista, 2024년 1월 기준]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2년 쿠웨이트의 의료기기 수입 규모는 1.4억 달러로 전년 대비 증가했다. 가장 많은 의료기기를 수입해온 국가는 미국으로 2018~2022년 내내 연속 1위 수입국을 기록했으며 이어서 멕시코, 독일, 헝가리, 프랑스 등이 주요 수입국이다. 2022년 기준 한국은 쿠웨이트의 11위 의료기기 수입국으로 약 267만 달러 가량을 수입했으며 2020년부터 대한 수입액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쿠웨이트 의료기기 국가별 수입 통계>

(단위: US$ 1,000)

수입국

2018

2019

2020

2021

2022

세계

145,302

151,233

160,186

121,686

140,983

미국

39,234

37,535

50,191

27,946

34,345

멕시코

20,257

22,410

17,531

19,893

21,553

독일

23,901

23,431

27,064

18,156

18,500

헝가리

998

485

1,300

445

11,638

프랑스

8,720

9,650

8,596

8,749

10,122

중국

3,111

4,773

6,751

5,523

6,299

이탈리아

6,475

5,887

7,109

6,585

5,584

스위스

5,280

4,875

4,971

1,872

5,179

일본

4,319

9,633

5,817

3,594

3,814

아일랜드

2,230

3,622

1,293

1,644

2,818

한국

2,247

2,490

1,578

2,084

2,675

영국

3,599

3,971

3,301

1,820

2,446

 [자료: Trade Map]


 

경쟁 동향 및 유통구조

 

미국은 쿠웨이트의 의료기기 전체 수입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공급국으로 미국 기업의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 점유율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미국은 모든 제품 분야, 특히 진단 영상 부문에서 강세를 보이며 환자 보조기구, 정형외과 및 보철물 부문에서도 점유율 30%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의 GH Healthcare사는 쿠웨이트 보건부가 운영하는 여러 공공 병원에 다양한 기술 장비를 공급해오고 있으며 2017년 오픈한 대형 병원 Sabah Al Ahmad Cardiac Centre 및 Al Razi 병원의 의료기기 납품을 담당한 바 있다. 독일은 주로 치과용 기기 부문에서 인지도가 높은 편으로 미국 다음으로 점유율이 높은 국가이다.

 

쿠웨이트의 의료기기 유통 채널은 아래와 같다.


ㅇ 의료기기 수입업체: 쿠웨이트는 대부분의 의료기기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기기를 전문으로 수입하는 업체가 많다. 이러한 수입업체는 주로 B2B 형태로 의료기기를 수입해서 로컬 마켓에 공급한다. 특히 특정 의료기기, 심장학, 정형외과, 신경과 등의 전문 분야에 사용되는 의료기기는 전문 공급 업체가 주로 취급한다.

 

ㅇ 의료시설 및 기관: 대형 공립 및 민간 병원, 연구소 등 다양한 의료 시설 및 기관에서도 직접 의료기기를 수입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설은 의료 기기 조달에 대한 자체 조달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ㅇ 약국 및 소매점: 일부 의료 기기, 특히 가정용 또는 일반의약품의 경우 쿠웨이트의 약국 및 소매점을 통해 판매될 수 있다.

 


관세율 및 인증

 

일반적인 의료기기 관세율은 5%이며 의료기기 수입의 주요 관리 당국은 쿠웨이트 보건부이다. 쿠웨이트 보건부는 의료기기를 관리 및 규제하는 부서를 별도로 운영중이며 대쿠웨이트 의료기기 수출 시 쿠웨이트 보건부의 사전 인증 및 허가를 득해야 한다.


쿠웨이트 보건부에서 의료기기 수출을 위해 요구하는 필수 인증은 아래와 같다.

- GMP 인증, 자유판매증명서(Free Sale Certificate), ISO 인증, CE 인증

* US FDA는 필수 요구사항은 아니나 선호되는 인증 중 하나이다.


쿠웨이트 수출을 위해서는 우선 현지 수입업체(에이전트)와 에이전트 계약 및 수출 계약 등을 협의해야 하며 이후 쿠웨이트 보건부 허가는 에이전트사가 대리로 진행하게 된다. 의료기기의 경우 보건부 허가를 받기까지 일반적으로 6개월~1년 정도가 소요된다.

 


시사점


쿠웨이트 정부의 국가 개발 계획은 2035년까지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지속적인 보건의료 개혁 및 의료서비스 고도화가 진행될 전망이다. 더불어 현재 쿠웨이트에서 한국은 의료 선진국이라는 긍정적인 이미지와 좋은 평판을 얻고 있어 국내기업의 수출 기회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의료기기, 의료 ICT, 일반 의료용품 등에서 협력 수요가 많을 것으로 보이며 비의약품으로 분류되는 의료 소모품(상처습윤밴드, 인공눈물, 콘택트렌즈 등)도 좋은 수출 아이템이 될 수 있다.

 

 

자료: Statista, Trade Map, 쿠웨이트 보건부, 현지 언론,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