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웨이트 산업 개관
- 국별 주요산업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박성우
- 2019-10-24
- 출처 : KOTRA
-
□ 산업 구조
자료: Central Bank of Kuwait, Kuwait Statistical Bureau, 2018
ㅇ 2017년도 기준 쿠웨이트의 국내총생산(GDP)는 1273억 미국 달러로 석유산업이 42% 정도를 점유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서비스 20%, 금융 및 보험 9%, 유통물류 8%, 부동산 7%를 차지하고 있음.
- 쿠웨이트 전체 산업에서 생산활동과 관련된 분야는 원유생산, 정유 및 석유화학 중간원료를 생산하는 석유화학산업이며, 이러한 원유 및 석유화학 분야는 쿠웨이트 전체 산업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석유화학 분야를 제외하면 호텔, 요식업, 통신, 부동산 등 서비스 산업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서비스 산업은 대외 경쟁력이 매우 낮고 국내시장에 한정
- 농업 등의 1차 산업은 정부의 정책보조금을 받아 최소한의 산업기반만을 유지
ㅇ 석유화학산업
- 쿠웨이트 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석유화학산업은 주로 쿠웨이트 정부 혹은 국영기업에 의해 운영
- 쿠웨이트 원유 생산능력은 1일 약 320만 배럴 수준이며, 쿠웨이트 석유공사 KOC(Kuwait Oil Company)에서 관련 부문을 총괄
- 쿠웨이트 정유 부문은 국영 석유기업인 KNPC(Kuwait National Petroleum Co)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쿠웨이트 내 총 3개의 정유공장을 보유해 1일 기준 약 83만 배럴의 원유를 정유할 수 있음.
- 정유 외 석유화학 중간원료 생산 분야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투자도 이뤄지고 있으며, 국영 석유화학 유화제품 제조업체 PIC(Petrochemical Industries Co)는 미국의 Union Carbide Co와 합작 투자기업인 EQUATE를 설립해 석유화학 중간재를 생산
- 쿠웨이트 국영기업 KIPIC(Kuwait Intergrated Petroleum Industries Company)가 LNG 터미널, 석유화학복합단지를 설계 및 운영 예정
ㅇ 금융
- 쿠웨이트 금융산업은 규모를 기준으로 중동 지역에서 사우디아라비아, UAE 다음의 위상을 가지고 있음.
-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까지는 쿠웨이트 금융기관의 자산 규모가 UAE를 압도했고 사우디아라비아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1990년 이라크 침공의 영향으로 금융산업의 규모와 위상이 축소
- 현재 쿠웨이트 금융산업은 정부의 안정적인 금융정책과 시중은행 감독 강화를 기반으로 풍부한 자금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높은 국제 신용도를 유지 중
ㅇ 건설, 엔지니어링
- 쿠웨이트의 중장기 국가 전략 New Kuwait 2035의 플랜에 따라 인프라, 발전, 담수, 정유, 도시건설 등의 건설, 엔지니어링 프로젝트들이 지속적으로 발주
- 쿠웨이트 건설 기업들은 고도의 설계 및 엔지니어링 시공이 필요한 분야를 제외한 도로, 주택 등 단순한 토목 분야에서 일정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
- 고도의 엔지니어링 기술과 시공능력이 필요한 발전 및 담수, 석유화학 플랜트 분야에는 대부분 외국기업이 진출해 있음.
ㅇ 제조업
- 쿠웨이트는 제조업 육성을 위해 산업공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쿠웨이트 산업청이 이를 관할
- 2017년 기준 산업단지 내 제조업체 수는 총 978개이며 업종별로는 화학, 고무 및 플라스틱과 비철금속이 가장 비중이 높고 그 외 분야로는 식음료, 목재 및 가구, 화학 및 플라스틱 관련 제조기업이 다수
- 일부 석유화학 분야 기업들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은 소규모 제조업체로 단순 조립 및 가공 수준의 역량을 가지고 있음.
ㅇ 농업, 어업, 축산업
- 쿠웨이트는 국토의 대부분이 사막지형으로 농업 활동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임.
- 최소한의 농업 기반을 유지하기 위한 정부 정책에 따라 정부 지원을 통해 남부 지역인 와프라 및 북부 압달리 지역에서 일부 품종이 소규모로 재배되고 있음.
- 수산업은 원유 개발 전 쿠웨이트의 전통 산업이었으나 원유 개발과 산업환경의 변화로 현재는 산업기반이 많이 소실된 상황
- 축산업은 소규모로 소, 양, 닭 등이 사육되고 있으나 자급 및 국내 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규모로 상업화되지는 않음.
□ 산업 정책
ㅇ 쿠웨이트는 석유 중심의 산업에서 탈피하고 걸프 북부의 지리상 이점을 살려 걸프 북부의 무역 및 금융 중심지가 되고자 목표를 세우고 국가 중장기 비전인 New Kuwait 2035 전략을 발표
- 경제부분 주요 추진사항은 산업다각화와 민간부분 육성, 공공예산의 불균형 시정, 외국인 투자 유치 및 개발 촉진을 위한 인프라 제고 등
ㅇ 산업단지 및 자유무역지역 운영
- 쿠웨이트 정부는 총 13개의 산업공단과 1개의 자유무역지구를 운영
- 입주 기업들에 대한 편의시설, 무이자 대출 지원, 설비 및 기계 수입 관세 면제 등의 혜택을 제공
- 또한 쿠웨이트 공공 분야 프로젝트의 경우 쿠웨이트에서 생산된 제품 10%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강제
ㅇ KDIPA(Kuwait Direct Investment Promotion Authority) Licence 제도
- 외국인 투자 촉진 목적으로 2013년 외국인 직접 투자법을 개정 및 전담기관은 쿠웨이트 투자진흥청 KDIPA 설립
- KDIPA에서 발급한 Licence를 보유한 외국기업의 경우 100% 지분 보유, 법인세 10년간 인하, 회사 설립에 필요한 과실 송금 보장, 투자 기반 시설 수입에 대한 관세 면제 등 다양한 실질적 인센티브를 제공
- 2020년까지 외국인 투자금액 203억 달러 달성, 자국민 일자리 1000개 창출, 비석유 분야 GDP 증대를 목표
ㅇ 창업지원제도
- 쿠웨이트 정부는 중소기업 창업 및 확장을 지원하기 위해 2013년 20억 달러 규모의 SME Fund를 설립하고 아래와 같은 지원정책들을 추진
기관
지원내용
IBK
(Kuwait Industrial Bank)
- 창업계획을 심사해 저금리로 최대 10년간 대출
SME Fund
(National Fund for SME Development)
- 스타트업 창업 희망자 대상으로 최대 3년간 자금 조달, 사업운영 멘토링, 업무공간, 직업훈련 등을 포함하는 스타트업 창업 패키지 제공
- 스타트업 대상 업무 공간 제공 및 부지 할당
- 상업은행과 협력해 현존 중소기업의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자금의 최대 80%를 저금리로 대출
- 중소기업 대상 Business Consulting 제공 등
KBC
(Kuwait Business Center)
- 사업자등록증(Commercial License) 취득에 소요되는 행정과정을 간소화한 One Stop 서비스센터 운영
자료: 쿠웨이트 중앙은행, 쿠웨이트 통계청, PAI, KDIPA,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쿠웨이트 산업 개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1년 중국 2차전지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2
2021년 중국 의료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3
2021년 중국 신에너지차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4
2021년 미국 사이버 보안 산업
미국 2022-01-04
-
5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카(ICV) 산업 동향
중국 2022-01-14
-
6
2021 러시아 자동차 산업
러시아연방 2022-01-19
-
1
2024년 쿠웨이트 스마트팜 산업 정보
쿠웨이트 2024-09-06
-
2
2020 쿠웨이트 산업 개관
쿠웨이트 2020-12-07
-
3
쿠웨이트 ICT 산업
쿠웨이트 2020-10-15
-
4
쿠웨이트 5G산업
쿠웨이트 2019-12-09
-
5
쿠웨이트 석유화학 산업 정보
쿠웨이트 2019-11-27
-
6
쿠웨이트 농업 산업동향
쿠웨이트 2019-11-12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