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국 ‘대체 단백질’ 시장이 그리는 지속 가능한 미래
  • 트렌드
  • 미국
  • 디트로이트무역관 송소영
  • 2024-05-23
  • 출처 : KOTRA

항공 산업 탄소 배출 95% 감축 효과, 대체 단백질이 답이다!

미국 친환경 소비자의 대세 ‘대체 우유’

기후 변화 대응과 지속 가능한 발전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의제가 되고 있다. 내연기관 차량에서 친환경 차량으로의 전환과 같은 에너지원 전환 노력은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는 인류의 중대한 진전을 상징한다. 산업 전반에 걸쳐 친환경적인 실천과 지속 가능성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으며, 식품 산업도 예외는 아니다.


<대체 단백질 시장 확장 정도에 따른 2030년 기준 탄소 배출 잠재 감축량>

Base case

2035년까지 대체 단백질이 전체 단백질 시장의 11%를 차지할 경우

Upside case

대체 단백질 시장 점유율이 22%에 이를 것으로 추정

Total addressable market

복잡한 단백질 구조(예: 드라이에이징 립아이 스테이크)를 제외하고 모든 단백질을 대체 단백질로 전환한 경우

[자료: Boston Consulting Group]


보스턴컨설팅그룹(Boston Consulting Group)에 따르면, 현재 식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의 약 26%를 차지한다. 이 중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전체의 15%를 담당하며, 이는 운송업 부문과 비슷한 수준이다. 현재 축산업에서 '대체 단백질'을 확대 2035년까지 시장 점유율을 11%까지 끌어올릴 경우, 전 세계 CO2e*배출량을 2030년까지 0.85기가톤(Gt), 2035년까지 1기가톤(Gt)까지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항공 산업에서 탄소 배출을 95% 줄이는 것과 유사한 효과다. 대체 식품 업계 전문가들은 대체 식품으로의 전환은 다른 산업 분야의 기후 변화 대응 활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 효과적이며, 온실가스 감축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미국의 대체 단백질 시장은 지속 가능한 식량 자원 관리와 환경 보호를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중요성을 입증하고 있다.

    주*: CO2e(이산화탄소 환산량)는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등가의 이산화탄소(CO₂) 양으로 환산한 값


인구 증가, 식량 자원에 대한 도전


전 세계적인 인구 증가는 식량 생산 시스템에 대한 압박을 가중시키고 있다. 국제연합(United Nations, 이하 UN)은 2030년까지 전 세계 인구가 85억 명에 도달하며, 2050년에는 97억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보스턴컨설팅그룹(Boston Consulting Group)은 인구 증가와 소비 패턴이 지속된다면, 현재 이용 가능한 자원으로는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식품을 충분히 생산할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엔세계식량계획(UN World Food Programme, WFP)의 세계 식량 위기 보고서는 2023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약 2억8200만 명이 심각한 식량 위기 상태에 놓여 있다고 지적한다. 이는 농지 및 수자원 부족과 같은 자연 자원의 한계에 의해 악화되고 있으며, 특히 분쟁과 자연 재해가 겹친 지역에서 이 문제의 심각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UN의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글로벌 식량 위기에 대응 식량 시스템의 혁신 및 근본적인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식량 불안과 영양실조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긴급한 조치를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체 식품의 역할은 단순한 식품 트렌드를 넘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선택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모든 국가와 지역사회가 채택해야 할 필수 전략이 되고 있다.


지금은 ‘대체 단백질’ 시대


‘대체 단백질’은 전통적인 동물 기반 단백질 소스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다양한 식품과 재료로 이루어진다. 식물·곤충·버섯과 효모 등의 미생물, 해조류, 실험실에서 배양된 단백질인 배양육 등이 주요 원료로 사용된다. 이러한 대체 단백질은 단백질 보충제, 식품 첨가제, 대체육 제품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대체육’ 제품은 주로 콩, 완두콩, 녹두 등을 기반으로 전통적인 육류 제품을 모방 제작된다. 식물성 단백질 보충제는 운동선수나 채식주의자에게 필요한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음식의 질감, 맛, 영양성분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식품 첨가제로도 활용된다. 이와 더불어, 식물성 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대체 우유 제품들이 점차 인기를 얻고 있으며 전통적인 동물성 우유의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다.


<미국 대체 단백질 시장 전망>

[자료: Grand View Research]


그랜드뷰리서치(Grand View Research)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미국의 대체 단백질 시장은 42억 달러 규모였으며 2030년까지 연평균 7.6%의 성장률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식물 기반 단백질이 시장 성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미생물 및 곤충 기반 단백질도 점차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속 가능한 식품 생산에 기여하는 대체 단백질은 미래 식품 산업의 변화를 주도하며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미국 대체 단백질 시장 동향 및 주요 기업


미국 대체 단백질 시장은 혁신적인 기업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이들 기업은 기존 동물 기반 식품에 대한 지속 가능하고 건강한 대안을 제공하면서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Beyond Meat과 Impossible Foods와 같은 기업들은 식물 기반 대체육을 통해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며 이 제품들은 전통적인 육류 제품과 경쟁하면서 식품 산업 내에서 중요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또한, 식물성 우유와 배양육 등 새로운 형태의 대체 단백질 제품들이 개발 시장의 다양성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있다.


<2021
년 주요 대체 단백질 기업의 글로벌 시장 가치>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대체 단백질 시장의 주요 기업 정보>

기업명

기업정보 및 주요 제품

홈페이지

Beyond Meat

 · 설립 연도: 2009년(2019년 NASDAQ 상장)

 · 본사 위치: 캘리포니아, 미국

 · 특징: 식물 기반 단백질을 활용 다양한 유형의 대체육 제품을 개발하고 시장에 선도적으로 도입

 · 주요 제품: 식물성 햄버거 패티, 소시지, 다양한 대체육 제품

https://www.beyondmeat.com/en-US/

Impossible Foods

 · 설립 연도: 2011년

 · 본사 위치: 캘리포니아, 미국

 · 특징: 고기의 맛과 질감을 재현한 식물 기반 대체육으로 유명하며, 식품 산업 내 혁신적 변화 주도

 · 주요 제품: 식물성 햄버거 패티 및 기타 대체육 제품

https://impossiblefoods.com/

Oatly

 · 설립 연도: 1994년

 · 본사 위치: 스웨덴

 · 특징: 귀리를 기반으로 한 유제품의 대체품 생산 판매

 · 주요 제품: 귀리를 이용해 만든 우유,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대체품

https://www.oatly.com/en-us

Eat Just

 · 설립 연도: 2011년

 · 본사 위치: 캘리포니아, 미국

 · 특징: 식물성 단백질과 배양 고기를 활용해 지속 가능한 식품 개발, 치킨 배양육을 개발, 싱가포르와 미국에서 판매 승인 획득

 · 주요 제품: 녹두에서 추출한 식물성 단백질로 계란의 맛을 구현한 제품

https://www.ju.st/

Perfect Day

 · 설립 연도: 2014년

 · 본사 위치: 캘리포니아, 미국

 · 특징: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공정을 통해 유제품에서 발견되는 단백질인 카세인(casein)과 웨이(whey) 생산하는 기술 개발

 · 주요 제품: 대체 단백질로 만든 아이스크림 및 우유 대체품

https://perfectday.com/

[자료: 각 사 홈페이지]

 

대체육’ 제치고 ‘대체우유’


대체육은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관심을 받으며 빠르게 성장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가격 경쟁력이다. 비영리 연구 기관 The Good Food Institute(GFI)의 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식물 기반 대체육의 가격은 여전히 전통 육류보다 높은 편이다. 식물 기반 대체 소고기는 파운드당 7.48달러로 전통 소고기(6.24달러)에 비해 20% 더 비싸며, 식물 기반 대체 닭고기와 돼지고기 또한 각각 156%와 177% 더 높은 가격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가격 프리미엄은 대체육이 주류 시장에 진입하는 데 있어 큰 장벽이 되고 있다.


<2023년 기준 미국 식물 기반과 동물 기반 제품의 중량당 가격 비교>

[자료: The Good Food Institute(GFI)]


실제로 2023년 미국에서 식물 기반 대체육 및 대체 해산물의 소매 매출은 12% 감소 12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판매 단위는 19% 감소했다. 반면, 식물성 우유의 소매 매출은 1% 증가 29억 달러였으며, 식물 기반 크리머(Creamer)는 매출액이 10% 증가 7억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식물 기반 우유는 2019년 이후 식품 분야에서 소매 매출이 81% 증가하며 인상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동안 일반 우유의 소매 매출이 34% 성장하는 데 그친 것과 비교하면, 이는 상당히 빠른 성장이다.


<미국 대체 식품 매출 동향 및 대체 우유 성장세>

[자료: The Good Food Institute(GFI)]

 

대체 우유는 유당불내증 및 우유 알레르기를 가진 소비자들뿐만 아니라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에도 좋은 접근성을 제공한다. 식물 기반의 대체 우유는 건강에 좋은 선택으로 인식되며 콜레스테롤과 포화 지방이 적고 필수 영양소가 풍부해 소비자들에게 더욱 매력적이다. 환경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도 대체 우유는 전통적인 유제품보다 자원을 덜 소모하고 온실가스 배출이 적어 환경에 민감한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다.

    주*: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은 주로 채식을 하면서도 가끔 육류나 생선을 섭취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채식의 장점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며 유연한 식단을 선택


미국 전역에 580여 개의 체인점을 운영하고 있는 대형 식료품점인 T사의 한 관계자는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들어 대체 우유 및 식물 기반 유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아몬드와 귀리 기반의 대체 우유, 코코넛으로 만든 대체 크리머, 동물성 치즈를 사용하지 않고 케일, 캐슈너트, 바질로 만든 식물 기반 페스토 등 건강과 환경 보호를 중시하는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련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사점

 

지난 몇 년간 미국 대체 단백질 시장은 빠르게 성장했다. GFI 자료에 따르면, 2017년 미국 소매 시장에서 식물 기반 대체 식품 시장의 규모는 39억 달러였으나 2023년에는 81억 달러로 두 배 이상 확대다. 기존 동물성 제품의 맛과 질감을 재현한 제품들이 친환경 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자들에게 선호고 스타트업부터 대형 식품 제조업체에 이르기까지 많은 기업이 식물 기반 대체 식품에 대한 적극적인 개발과 투자를 통해 이러한 성장을 견인했다.


닐슨(Nielsen)에 따르면, 미국에서 식물 기반 대체육을 구매하는 사람들의 98%가 동시에 전통적인 고기 제품도 구매하고 있다. Impossible Foods와 Beyond Meat 역시 자사 제품을 소비하는 고객의 90% 이상이 동물성 제품도 함께 소비한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통계는 고기 애호자들 사이에서도 대체육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체 단백질 제품의 시장 성공은 소비자 인식과 시장 수용성에 크게 의존한다. 특히, 건강, 환경 보호, 동물 복지에 대한 소비자들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대체 단백질 제품이 지속 가능한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윤리적 소비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증가도 대체 단백질 제품의 수요를 촉진하고 있다.


그러나 대체 단백질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완전히 실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도전 과제를 극복해야 한다. 가격 경쟁력 확보와 맛과 질감의 개선이 중요한 과제이며, 규제 장벽 또한 극복해야 할 부분이다. 현재 배양육이 합법적으로 판매 가능한 국가는 몇 개 되지 않으며, 이러한 규제 요건은 시장 진입과 투자를 저해할 수 있다. 기업들은 소비자 보호와 혁신 촉진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대체 단백질 제품의 연구 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미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관련 한국 기업들은 현지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제품과 마케팅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특히, 건강, 환경 보호, 윤리적 소비에 대한 높은 관심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미국의 규제 요건을 철저히 준수하며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대체 단백질은 지속 가능한 식품 산업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자료: Boston Consulting Group, United Nations(UN), UN World Food Programme(WFP), Grand View Research, Statista, Beyond Meat, Impossible Foods, Oatly, Eat Just, Perfect Day, The Good Food Institute(GFI), Nielsen,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대체 단백질’ 시장이 그리는 지속 가능한 미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