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식용유 파동을 통해 알아본 미얀마 경제의 현황
  • 경제·무역
  • 미얀마
  • 양곤무역관 KayThwe Oo
  • 2023-10-12
  • 출처 : KOTRA

유지작물의 공급 부족으로 땅콩기름 가격 폭등세

통상환경에 대처하지 못하는 현지 경제의 특징 드러내

현지 식문화와 식용유의 위상

 

미얀마 식문화에서 식용유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현지 전통 식단에 오르는 거의 모든 반찬류가 식용유를 가미해 조리하거나 튀겨낸 음식이며, 간식과 면 요리에도 각종 기름이 빠짐없이 들어간다. 현지 주민들도 식용유를 주식인 쌀과 함께 가장 중요한 식자재로 인식하고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을 위해 항상 주의를 기울여왔다. 전통사회에서는 식용유가 부()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실제로 과거에는 본래의 레시피와 상관없이 기름을 많이 사용할수록 고급 요리로 취급해주는 문화가 있었으며, 심지어 식용유로 목욕을 한다.”는 표현은 지금도 사치스러움을 나타내는 관용구로 쓰이고 있다.

 

<식용유를 사용해 조리한 현지식 반찬과 간식>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728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427pixel, 세로 240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728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419pixel, 세로 2811pixel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촬영]

 

통계적으로 나타나는 식용유의 소비량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미얀마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 산하의 소비자 보호국(Department of Consumer Affairs)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현지 주민 5500만 명이 소비한 식용유의 양은 지난해 총 110만 톤에 달했다. 농식품부가 지난해 발표한 한국의 연간 식용유 소비량이 114만 톤이므로 1인당 소비량이 한국보다 작은 것처럼 생각될 수 있으나 인스턴트 면이나 과자 생산에 투입되는 식용유의 분량이 매우 적으므로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식용유의 양은 상당히 많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식용유 생산에 필요한 유지작물의 재배에도 적지 않은 역량을 투입하고 있다. 미얀마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는 유지작물인 땅콩의 재배 면적이 연평균 120만 에이커(Acre) 이상이며 참깨 생산에도 300만 에이커에 근접한 농지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온다. 특히 땅콩의 재배 면적은 주요 작물 중 하나인 옥수수 생산용 농지 규모와 비슷하며, 땅콩 생산량도 연간 150만 톤 이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작물별 재배 면적과 생산량>

(단위: 에이커/)

회계연도

구분

단위

옥수수

땅콩

참깨

우기

건기

초순

하순

여름

2016-2017

파종면적

에이커

17,695,525

213,865

1,211,216

1,240,679

1,204,360

2,846,574

872,468

323,235

재배면적

에이커

17,452,991

213,965

1,206,115

1,240,454

1,203,845

2,822,394

872,445

282,468

수확량

27,255,616

160,648

1,830,631

698,585

873,821

539,400

273,562

99,124

2017-2018

파종면적

에이커

17,930,294

161,721

1,246,541

1,365,165

1,191,595

2,867,925

817,143

243,011

재배면적

에이커

17,714,393

161,721

1,237,041

1,363,414

1,191,549

2,835,070

817,114

151,894

수확량

27,647,841

123,252

1,909,295

746,067

836,583

509,125

255,031

52,137

2018-2019

파종면적

에이커

17,861,055

153,059

1,287,014

1,435,408

1,178,106

2,720,596

823,289

278,927

재배면적

에이커

17,666,317

153,053

1,283,037

1,435,048

1,178,045

2,593,591

821,808

270,887

수확량

27,573,589

115,996

1,984,136

731,113

831,315

371,506

257,601

86,330

2019-2020

파종면적

에이커

17,306,682

145,462

1,284,042

1,547,045

1,193,850

2,567,576

873,027

320,993

재배면적

에이커

17,101,839

145,462

1,274,356

1,454,727

1,193,838

2,525,802

872,979

320,564

수확량

26,269,814

110,663

1,985,765

789,944

825,771

371,038

274,307

99,152

2020-2021

파종면적

에이커

17,202,941

139,844

1,395,229

1,611,467

1,207,316

2,673,729

897,187

228,558

재배면적

에이커

16,877,045

139,844

1,330,110

1,589,162

1,206,421

2,453,888

892,187

228,970

수확량

25,982,696

105,457

2,072,482

764,990

830,834

318,248

268,536

71,210

[자료: 미얀마 통계청]

 

땅콩으로 생산된 땅콩기름은 미얀마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식용유이기도 하다. 실제로 미얀마 농축산 전문대학(Yezin Agricultural University)은 전국 15개 지역 3945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61.4%의 주민들이 땅콩기름 선호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논문으로 공개한 바 있다. 다음으로 애용되는 식용유는 참기름(16.18%)과 해바라기유(6.72%)로 나타나 땅콩기름과는 선호도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보급형 식용유의 수입

 

한편, 경제개방으로 인한 요식업의 발달은 자국산 땅콩기름의 공급량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의 수요를 창출했다. 현지 정부도 이를 인식하고 비교적 저가인 팜유와 해바라기유의 수입을 장려하고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해외제품이 비중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인도네시아산 팜유는 2021년 수입액 82758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으며, 외환 부족으로 식용유 수입이 크게 감소한 2022년에도 53969만 달러 수준울 유지하며 팜유 시장의 73% 이상을 차지했다. 현실적 구매력을 고려해 본래 선호하던 땅콩기름 대신 수입산 식용유 찾는 소비자들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현지 상무부도 현재는 자국 식용유 소비량의 60~70% 가량을 수입산이 충당 중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특히 팜유의 소비 비중은 53% 수준인 것으로 보고 있다.

 

<경제개방 이후 식용유 수입동향>

(단위: US$ )

품목명 및 HS Code

수입국가

2018

2019

2020

2021

2022

땅콩기름

(HS Code 1508)

총 수입액

-

1

-

2

-

인도

-

-

-

2

-

참기름(HS Code 1515.50)

총 수입액

299

313

216

108

115

태국

63

77

59

59

97

중국

 

 

 

 

13

싱가포르

222

228

153

45

3

한국

4

3

4

3

1

팜유

(HS Code 151190)

총 수입액

575,867

536,228

655,227

901,261

738,841

인도네시아

478,120

451,881

593,009

827,589

539,694

태국

29,400

30,638

32,494

47,070

129,488

말레이시아

68,178

53,613

29,321

25,236

69,120

싱가포르

169

96

403

1,366

539

대두유

(HS Code 1507)

총 수입액

6,899

8,876

12,514

14,148

17,445

태국

5,270

5,933

8,499

11,434

13,583

말레이시아

1,620

2,926

3,984

1,690

1,666

중국

-

-

-

7

1,315

해바라기유

(HS Code 1512)

총 수입액

18,528

28,914

40,453

26,961

14,028

터키

5,699

8,681

13,879

8,634

5,821

태국

3,689

5,361

7,284

7,153

4,846

인도

-

0

-

922

1,791

말레이시아

3,278

4,650

2,664

801

1,027

우크라이나

4,534

7,614

12,424

7,365

410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제난 속에 발생한 식용유 가격 파동

 

필수적인 식재료로 중시되는 식용유의 가격도 최근 비정상적인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먼저 수입산 식용유를 대표하는 팜유의 올해 9월 판매 가격은 1Viss 4650차트(Kyat), 전년대비 7.4%, 경제개방 초기인 2017년에 비해서는 120.7% 상승한 수치를 나타냈다. 심지어 사실상 전량 자국산으로 충당되고 있는 땅콩기름은 1Viss14000차트를 기록, 전년대비 82.5%나 오른 것으로 확인된다. 불과 6년 전인 2017년의 거래 가격과 비교하면 무려 3배가 넘는 수준이다.

 

<1Viss당 식용유 판매 가격 동향>

(단위: 차트(Kyat))

품목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9.

땅콩기름

(Peanut Oil)

4,644.6

5,170.4

5,876.3

6,023.8

6,760.8

7,670.9

14,000

팜유(Palm Oil)

2,106.3

2,001.3

1,859.2

2,064.6

3,820.0

4,327.7

4,650

주: Viss(비스)는 미얀마 고유의 도량형으로 수치는 [1 Viss = 1.63kg]로 환산가능하며현지화 차트(Kyat)는 미얀마 중앙은행 공식환율을 기준으로 [1달러 = 2,100Kyat] 수준의 가치를 지닌다.

[자료: 미얀마 통계청]

  

이와 같은 급격한 인플레이션에 현지 정부와 주민들 모두 혼란스러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우선 소비자 보호국은 지난 828미얀마 식용유판매업체협회(Myanmar Edible Oil Dealers Association)’에 현 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태스크포스팀(T/F)을 구성하라는 긴급 지시를 내렸다. 협회도 이에 따라 비상대책반을 구성한 후 매장별 판매물량 지원, 정부 고시가격 엄수 조치 등을 실시 중이다. 실제로 현재 대형 식료품 판매점별로 179.3kg 들이 용량 용기 20통 분의 식용유가 수시 공급되고 있으며 땅콩기름과 팜유 모두 매일 정부가 정한 가격을 엄수하도록 단속하고 있다. 또한, 식용유를 공급받아 정부 고시가로 판매 중인 식료품점에는 협회 인증 표식을 걸어두어 주민들이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주민들 역시 필수 식자재인 식용유를 저렴하게 구입하기 위해 협회 인증 표식이 있는 식료품점으로 몰리며 매장마다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

 

땅콩 수출의 증가와 식용유 가격 폭등

 

한편, 현지 관계자들은 이와 같은 가격 폭등이 자국산 유지작물의 해외 수출과 관련돼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환율 상승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팜유와 달리, 땅콩기름의 가파른 상승세는 원료인 자국산 땅콩의 해외 유출 증가에 기인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미얀마의 땅콩 수출액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비상사태 직후인 2021년에는 3377만 달러로 전년대비 49.6%나 증가한 수치를 나타낸 바 있다. 20224월부터 8월 사이에는 미얀마 상무부가 긴급 공지를 통해 모든 유지작물의 수출을 일시 중지했고 5월 유지작물을 수출 허가 대상으로 지정하며 당해연도 수출은 통계상 감소했으나 현지 전문가들은 실제 해외 유출량이 줄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익명으로 인터뷰에 응한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땅콩이 가득 담긴 통의 윗부분만 옥수수로 채워 육로로 불법 반출하는 사례가 매우 흔하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식용유판매업체협회 관계자도 국내에서 생산되는 땅콩이 온전히 식용유 생산에만 사용된다면 현재의 가격 폭등 사태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전하면서도, “땅콩은 해외로부터의 구매수요가 많은데다 수출에서 창출되는 이윤도 식용유 내수 생산용보다 높다고 언급해 수출 유인이 훨씬 큰 상황임을 시사했다.

 

<미얀마의 땅콩(HS Code 1202) 수출액 변화>

(단위: US$ )

수출 목적국

2018

2019

2020

2021

2022

중국

-

77

531

9,661

15,361

태국

22,334

22,016

21,383

18,805

9,784

베트남

-

1,116

630

4,929

4,670

대만

-

-

-

71

338

인도네시아

410

111

-

-

286

말레이시아

-

50

-

186

205

한국

-

16

26

84

31

필리핀

-

-

-

40

8

기타

51

-

 

-

-

22,795

23,386

22,570

33,776

30,683

[자료: Global Trade Atlas]

 

실제로 현지에서 식용유 생산 공장을 운영 중인 한 업체의 관계자는 수출 확대 이후 땅콩 구매원가가 이전보다 월등히 높은 1Viss6500차트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한 선진국에 비해 낙후된 미얀마 공장들이 충분한 생산 효율을 내지 못하는 상황에서 현재의 공급원가가 유지된다면 땅콩기름의 소비자가격은 14000차트 수준을 형성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덧붙였다. 오히려 현재도 땅콩의 수출가격은 1Viss7500차트를 기록하고 있어 현지 식용유 공장들이 수급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힘들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식용유판매업체협회 관계자 역시 상품성이 우수한 땅콩은 수출용으로, 그렇지 못한 하급품은 식용유 생산용으로 돌리며 타협을 보고 있지만 여전히 공급 수요를 맞추기 어렵다.”고 전했다.

 

<미얀마 식용유판매업체협회(MEODA) 지정가 판매점임을 나타내는 표식>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7284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00pixel, 세로 20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7284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15pixel, 세로 700pixel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촬영]

 

시사점

 

이와 같은 식용유 가격 파동은 현재의 미얀마 경제의 특징을 보여주는 사례로서도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땅콩기름 가격의 급등은 경제제재나 원재료 가격 상승 등과 무관하게 발생했다. 오히려 현지 소비자와 식용유 생산업체들의 구매력이 국제 곡물 거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현상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매력 저하 현상은 다른 소비재에서도 광범위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화장품, 비료, 위생용품 등 다양한 성격의 재화에서 현지 바이어들의 구매력 하락 정황이 관찰된다. 계속되는 경기 침체로 국가 경제의 기초체력이 크게 약화된 상황에서 현지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글로벌 평균을 따라가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지시장 진출을 고려할 경우에도 주력 상품군으로 유사한 효용의 저가 제품군으로 구성하는 등의 유연한 가격 전략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미얀마 식용유협회, 미얀마 통계청, KOTRA 양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식용유 파동을 통해 알아본 미얀마 경제의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