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미니카공화국, 태양광 중심 신재생에너지 발전 본격 확대
- 트렌드
- 도미니카공화국
- 산토도밍고무역관 최예찬
- 2023-07-03
- 출처 : KOTRA
-
도미니카공화국 에너지광물부 장관 Antonio Almonte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17.6%에서 2025년까지 25%로 늘린다고 발표
도미니카공화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은 2022년기준 총 1832.9MW며, 태양광이 가장 많은 741.6MW로 40.5%를 차지
도미니카공화국은 중미/카리브 국가중 태양광에너지 총 발전 용량의 18.6%를 차지하여 34개국 중 가장 높은 발전 용량을 보유
태양광 발전 용량 현황
도미니카공화국 에너지광물부 장관 Antonio Almonte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17.6%에서 2025년까지 25%로 늘린다고 발표했다. 도미니카공화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은 2022년 기준 총 1832.9MW이다. 이 중 태양광이 가장 많은 741.6MW로 40.5%를 차지하였다. 태양광 발전 용량은 2013년 이후 지난 10년 동안 9341% 증가했다. 국재재생에너지기구(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IRENA)는 2030년에는 도미니카공화국의 태양광 발전용량이 1.9GW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3~2022년 도미니카공화국 태양광 에너지 발전 용량>
(단위: MW)
[자료: 에너지 광물부(Ministerio de Energía y Minas, MEM),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도미니카공화국의 신재생에너지는 태양광, 수력, 풍력, 바이오 에너지로 구성된다. 태양광에 이어 수력이 34.2%, 풍력이 22.8%, 바이오 에너지가 2.6%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3년간 도미니카공화국 총 신재생에너지 발전 용량>
(단위: MW, %)
구분
2020
2021
2022
용량
비중
용량
비중
용량
비중
신재생에너지 전체
1,428.3
100
1,636.6
100
1,832.9
100
태양광
385.6
27.0
593.9
36.3
741.6
40.5
수력
625.0
43.8
625.0
38.2
626.8
34.2
풍력
370.3
25.9
370.3
22.6
417.1
22.8
바이오 에너지
47.4
3.3
47.4
2.9
47.4
2.6
[자료: 에너지 광물부(Ministerio de Energía y Minas, MEM),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2022년 기준 도미니카공화국은 중미/카리브 국가중 태양광에너지 총 발전 용량의 18.6%를 차지하여 34개국중 가장 높은 발전 용량을 보유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중미/카리브 태양광 발전 용량 순위>
(단위: MW, %)
순위
국가
2018
2019
2020
2021
2022
용량
비중
용량
비중
용량
비중
용량
비중
용량
비중
중미/카리브
1,975.7
100
2,494.9
100
2,798.6
100
3,581.4
100
3,986.6
100
1
도미니카공화국
205.1
10.4
315.2
12.6
385.6
13.8
593.9
16.6
741.6
18.6
2
엘살바도르
197.7
10.0
403.2
16.2
478.5
17.1
643.1
18.0
664.1
16.7
3
푸에르토리코
305.4
15.5
337.0
13.5
381.0
13.6
487.6
13.6
639.4
16.0
4
온두라스
514.4
26.0
517.8
20.8
524.9
18.8
528.5
14.8
528.7
13.3
5
파나마
188.1
9.5
218.8
8.8
229.2
8.2
462.1
12.9
522.3
13.1
6
쿠바
128.1
6.5
159.3
6.4
217.0
7.8
246.0
6.9
258.0
6.5
7
과테말라
100.8
5.1
100.8
4.0
100.8
3.6
101.3
2.8
104.8
2.6
8
자메이카
55.5
2.8
92.5
3.7
92.5
3.3
92.5
2.6
92.6
2.3
9
과들루프
70.0
3.5
81.0
3.3
85.4
3.1
86.5
2.4
90.0
2.3
10
마르티니크
71.0
3.6
75.9
3.0
76.0
2.7
78.3
2.2
78.3
2.0
[자료: 에너지 광물부(Ministerio de Energía y Minas, MEM),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태양광 발전 생산 동향
2022년 도미니카공화국 태양광 생산량은 737.1GWh로, 2013년 이후 연평균 62.4%의 성장률을 보이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발전 용량은 7760% 증가했으며 최근 3년(2020~2022) 동안 85% 성장했다.
<2013~2022년 도미니카공화국 태양광 에너지 생산량>
(단위: GWh)
[자료: 에너지 광물부(Ministerio de Energía y Minas, MEM),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2022년 도미니카공화국의 태양광 에너지는 총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인 3,535.9GWh중 20.9%를 차지하고 있다. 2020년대비 85.1%하였다.
<최근 3년간 도미니카공화국 총 재생가능에너지 생산량>
(단위: GWh, %)
구분
2020
2021
2022
생산량
비중
생산량
비중
생산량
비중
신재생에너지 전체
3,084.2
100
3,361.3
100
3,535.9
100
수력
1,292.7
41.9
1,470.6
43.8
1,433.3
40.5
풍력
1,101.4
35.7
1,207.1
35.9
1,183.8
33.5
태양광
398.2
12.9
485.5
14.4
737.1
20.9
바이오 에너지
291.8
9.5
198.1
5.9
181.7
5.1
[자료: 에너지 광물부(Ministerio de Energía y Minas, MEM),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전체 전력 생산 현황
2022년기준 전체 도미니카공화국 전력 생산량은 20,145.1GWh이며 이중 신재생에너지의 생산 비중은 수력 7.1%, 풍력 5.9%, 태양광 3.7%, 바이오 에너지 0.9%이다.
<도미니카공화국 총 전력 생산량>
(단위: GWh, %)
전력 생산량
2020
2021
2022
생산량
비중
생산량
비중
생산량
비중
전체
17,663.3
100
19,431.1
100
20,145.1
100
석탄
6,550.6
37.1
6,017.2
31.0
6,196.1
30.8
천연가스
5,299.0
30.0
7,895.1
40.6
8,242.8
40.9
유류
2,957.1
16.7
2,157.6
11.1
2,170.3
10.8
수력
1,244.6
7.1
1,470.6
7.6
1,433.3
7.1
풍력
1,139.1
6.5
1,207.1
6.2
1,183.8
5.9
태양광
305.1
1.7
485.5
2.5
737.1
3.7
바이오 에너지
167.7
1.0
198.1
1.0
181.7
0.9
[자료: 에너지 광물부(Ministerio de Energía y Minas, MEM)]
태양광 패널 수급 현황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제품명
854150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광전지는 모듈에 조립되었거나 패널로 구성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포함한다)와 발광다이오드(엘이디)
2022년 도미니카공화국 태양광 패널 수입금액은 총 1억6473만 달러로 전년대비 162.1% 증가했다. 2022년 기준 국가별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대 중국 수입액이 1억4238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86.4%차지하여 수입국가 1위를 기록하였고 스페인(6.9%), 홍콩(5.8)이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은 수입시장에서 13위 수입국을 기록하고 있다.
<도미니카공화국 수입규모 국가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2021- 2022
증가율
수입액
비중
수입액
비중
수입액
비중
전체
66,218
100
62,855
100
164,731
100
262.1
1
중국
59,912
90.5
57,696
91.8
142,384
86.4
246.8
2
스페인
201
0.3
91
0.2
11,412
6.9
12,540.7
3
홍콩
252
0.4
160
0.3
9,599
5.8
5,999.4
4
미국
1,592
2.4
2,155
3.4
665
0.4
30.9
5
말레이시아
212
0.3
-
-
346
0.2
-
6
이탈리아
67
0.1
110
0.2
109
0.1
99.1
7
멕시코
19
0.0
80
0.1
100
0.1
125.0
8
독일
344
0.5
94
0.2
46
0.0
48.9
9
네덜란드
4
0.0
76
0.1
15
0.0
19.7
10
콜롬비아
8
0.0
52
0.1
14
0.0
26.9
13
한국
698
1.1
172
0.3
6
0.0
3.5
[자료원: Global Trade Atlas(GTA) 2023.6.]
태양광 발전 여건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계획은 다음과 같다.
<2030년까지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전망>
[자료: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도미니카공화국은아침 6:30부터 18:30까지 하루 평균 12시간 태양광을 통해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산토도밍고와 산티아고 지역의 경우 연중 평균 일조량이 5kWh/m²/day 이상이다.
<도미니카공화국 태양광 발전 여건>
[자료: 세계은행(Global Solar Atlas)]
태양광 발전 분야 세제 혜택
재생가능에너지 분야 투자 인센티브(Ley 57-07)법에 따라 친환경적인 대체에너지 개발과 환경 보호를 위해 재생가능에너지 생산에 필요한 장비와 부속품에 대한 수입 관세 면제, 국외 파이낸싱에 관한 세금 감면(수익금의 10% → 수익금의 5%), 자가 사용 목적으로 재생가능에너지 시스템을 신규 설치하거나, 확장하는 경우 관련 기기, 장비에 관한 투자비용의 40%까지 소득세 감면 혜택 등을 부여한다.
시사점
<도미니카공화국 국립학교 태양광 패널 설치 계획>
[자료: 재생 에너지 진흥 협회(Asociación para el Fomento de las Energías Renovables, ASOFER)]
현 루이스 아비나데르(Luis Abinader) 대통령은 2021년 8월, 취임 1주년 대국민 담화를 통해 인프라 재건을 통한 경제발전과 12대 분야 행정 및 산업정책 혁신을 제시하였다. 그중 하나인 ‘국가 에너지 수급을 친환경으로 전환하고 에너지 자급률 향상’프로젝트로 인하여 태양광 관련사업이 크게 성장하였다. 국가 차원에서 진행하는 국립학교의 태양광 패널 설치, 도미니카공화국 농촌 지역 소규모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재생 에너지 진흥 협회(Asociación para el Fomento de las Energías Renovables, ASOFER) 등으로 관련 기자재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우리나라의 진출 기회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 변화 대응 국가 위원회(Comité Nacional de Lucha Contra el Cambio Climático) 대변인 Enrique de León은, 가스나 석탄 발전은 KWh당 0.27 달러가 필요하지만 태양광 발전은 0.04 달러가 필요함을 들며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성과 가용성이 점점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어 국가 공공시설, 주택, 상업시설의 태양광 패널설치가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자료: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도미니카공화국 국가에너지위원회(Comisión Nacional de Energía, CNE), 도미니카공화국 에너지 광물부(Ministerio de Energía y Minas, MEM), GTA, 도미니카공화국 관세청(Dirección General de Aduanas, DGA), 세계은행(Global Solar Atlas), 재생 에너지 진흥 협회(Asociación para el Fomento de las Energías Renovables, ASOFER), KOTRA 산토도밍고무역관 인터뷰, KOTRA 산토도밍고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도미니카공화국, 태양광 중심 신재생에너지 발전 본격 확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국 공기압축기 시장동향
미국 2023-07-20
-
2
변화하는 일본 골프 산업... 젊은층, 여성이 주요 타깃
일본 2023-07-18
-
3
폴란드, 친환경 수소산업이 현실로 다가온다
폴란드 2023-07-05
-
4
말레이시아의 재생에너지 전환정책과 ESS 산업동향
말레이시아 2023-07-04
-
5
2022년 도미니카공화국 전력산업 정보
도미니카공화국 2022-11-15
-
6
말레이시아 전기차 배터리 산업 동향
말레이시아 2023-07-26
-
1
2024년 도미니카공화국 방산·보안 산업 정보
도미니카공화국 2024-05-21
-
2
2023년 도미니카공화국 소비재 유통산업 정보
도미니카공화국 2023-06-12
-
3
2023년도 도미니카공화국 자동차산업 정보
도미니카공화국 2023-05-09
-
4
2022년 도미니카공화국 광물산업 정보
도미니카공화국 2022-12-22
-
5
2022년 도미니카공화국 농축수산업 정보
도미니카공화국 2022-12-22
-
6
2022년 도미니카공화국 관광산업 현황
도미니카공화국 202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