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의 자동차용 와이퍼 시장 동향
  • 상품DB
  • 일본
  • 도쿄무역관 하세가와요시유키
  • 2022-12-13
  • 출처 : KOTRA

日 와이퍼 중국 수입 비중 절반 가까이 차지

중국발 공급망 리스크 회피 위해 수입처 다각화 모색하는 日

상품 기본정보

 

상품명: 와이퍼 (HS CODE: 8512.90)

와이퍼는 자동차뿐만 아니라 철도, 선박, 항공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지만, 본 칼럼에선 자동차용에 대해서만 다룬다.


 

HS Code

품목명

기본 관세,

RCEP 관세

8512.90

부분품

(참고: HS 8512 -  전기식 조명용이나 신호용 기구(제8539호의 물품은 제외한다)ㆍ윈드스크린와이퍼(windscreen wiper)ㆍ제상기(defroster)ㆍ제무기(demister)(자전거용이나 자동차용으로 한정한다)

무관세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일본 실행관세율표(2022.12.1.)]

 

와이퍼는 (1) 와이퍼 스위치, (2) 와이퍼 모터, (3) 링크 암, (4) 피봇, (5) 와이퍼 암, (6) 와이퍼 프레임, (7) 와이퍼 고무의 일곱 가지 부품으로 구성된다. 운전자가 핸들 옆에 있는 와이퍼 스위치를 켜면, 우선 와이퍼 모터가 회전하고 그 움직임이 링크 암과 피봇을 경유해 와이퍼 암으로 전달되어 와이퍼 암이 유리창을 닦게 된다. 이러한 전체 구동 구조를 <와이퍼 시스템>이라 부른다.

 

<와이퍼 시스템의 구조>

[자료: 주식회사 마루에누(MARUENU) 홈페이지]

 


자동차의 프론트 윈도우는 곡면이 많기 때문에 와이퍼 성능의 핵심 포인트는 최대한 압력을 균등하게 가하면서 빠짐없이 잘 닦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특히 바람이 강하게 부는 유럽지역 수출용 와이퍼의 경우에는 도로 주행 시 와이퍼가 들뜨는 일이 없도록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카울 내 설치, 압착력 강화, 유선형 블레이드 사용 등의 대응이 이뤄지고 있다. 와이퍼는 프론트 윈도우 이외에도 리어 윈도, 도어 미러, 헤드라이트 등에 장착하기도 한다. 특히 요즘은 리어 윈도우 장착률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EV 등 차세대 미래차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계적 구조의 와이퍼 사용은 불가피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빗물 처리뿐만 아니라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할 방법이 달리 딱히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동차용 와이퍼 시장동향 


글로벌 조시기관 QY Research의 조사에 따르면, 자동차용 와이퍼 세계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약 60억 9610만 달러에 이른다. 글로벌 와이퍼 시장은 2020년부터 2026년에 걸쳐 약 1.44%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하며 성장해 2026년에는 62억 25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일본 경제산업성의 통계 조사에 따르면, 일본 국내 와이퍼 시장은 국내 생산량 약 3000만 개, 국내 생산 금액 약 1000억 엔의 추이를 보이고 있다. 와이퍼 시스템 자체는 품목 특성상 완성차 생산대수에 정비례한다. 와이퍼 프레임과 고무는 소모품이지만,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높지 않아서 수요가 급증하는 일 등도 없는 반면에 안정적 매출을 기대할 수 있는 분야다.

 

<와이퍼 일본 국내 생산 수량 및 국내 생산 금액 추이>

(단위: 천 개, 백만 엔, %)

*오른쪽 축은 전년대비 증감율


 


2017

2018

2019

2020

2021

생산 수량

24,142

29,255

31,145

30,255

30,996

전년대비 증감률

N/A

21.2

6.5

-2.9

2.4

생산금액

93,162

106,488

104,028

93,804

98,436

전년대비 증감률

N/A

14.3

-2.3

-9.8

4.9

[자료: 일본 경제산업성 생산동태 조사]

 


최근 3년간 수입 규모와 동향

 

HS 851290(자동차 와이퍼) 품목에 대한 일본의 수입 동향을 살펴보면, 최근 5년간 수입 금액 기준으로 약 3억 달러 전후의 추이를 보여왔다. 2021년 전체 수입 금액은 전년대비 18.1% 증가한 3억 5300만 달러다. 국가별 수입 금액(2021년도 기준)을 살펴보면, 중국이 1억 7300만 달러(전년대비 +22.7%. 셰어 49.1%)로 전체의 절반 가까운 점유율을 자랑한다. 2위는 독일 3700만 달러(전년대비 +6.6%. 셰어 8.6%), 3위는 태국 2700만 달러(전년대비 +13.8%. 셰어 7.8%)다. 대한국 수입은 1100만 달러(전년대비 12.3%. 셰어 3.2%)로 수입 상대국 6위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중국 정부의 코로나 봉쇄 조치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 단절 위기 표면 위로 떠오르면서 일본 내에서 공급망의 내재화  다각화를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또한 미중 무역분쟁 심화 및 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 회피 측면에서도 중국 외의 제3국이나 일본 국내에 공급망 거점 구축을 추진하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최근 3년간 일본의 자동차 와이퍼(HS 8512.90)품목의 수입 동향 (국가별)>

(단위: 달러, %)

순위

국가

수입 금액

점유율

증감률

2019

2020

2021

2019

2020

2021

‘21/’20

전체

314,465,818

299,041,320

353,263,129

100.0

100.0

100.0

18.1

1

중국

151,402,642

141,382,812

173,410,189

48.1

47.3

49.1

22.7

2

독일

27,091,725

35,406,121

37,754,758

8.6

11.8

10.7

6.6

3

태국

29,010,270

24,188,345

27,537,145

9.2

8.1

7.8

13.8

4

필리핀

11,534,412

15,654,613

15,011,639

3.7

5.2

4.2

4.1

5

멕시코

9,877,114

12,289,123

13,751,287

3.1

4.1

3.9

11.9

6

대한민국

20,101,325

12,891,933

11,302,442

6.4

4.3

3.2

▲12.3

7

베트남

4,843,304

7,009,971

10,574,384

1.5

2.3

3.0

50.9

8

대만

10,390,911

8,695,850

10,094,757

3.3

2.9

2.9

16.1

9

인도네시아

5,544,055

6,490,530

9,560,448

1.8

2.2

2.7

47.3

10

말레이시아

8,247,598

7,265,755

9,024,988

2.6

2.4

2.6

24.2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 동향

 

와이퍼 품목의 메이커별 시장 점유율과 관련된 정확한 통계 자료 등은 공개되어 있지 않다. 와이퍼 시스템을 취급하는 일본의 유력 제조사로는 글로벌 완성차 기업 도요타 계열사 덴소 와이퍼 시스템즈(DENSO WIPER SYSTEMS)와 자동차 부품 전문 대기업 미쓰바(MITSUBA) 등이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 메이커로는 덴소 와이퍼 시스템즈(NWB 브랜드), 마루에누(MARUENU), PIAA(이치카와 공업의 자회사) 등이 있다. 와이퍼 고무는 일본 국내 시장은 물론 세계시장에서도 일본 메이커의 시장 점유율이 높은 품목이다. 주식회사 후코쿠(fukoku)는 와이퍼 블레이드 고무 생산량 세계 수위 기업으로, 자동차 분야에서만 연간 2억 4천만 개 이상을 판매한다. 시장 점유율은 글로벌 50% 이상, 일본 국내 90% 이상이다.



관련 기관 및 전시회 



<관련 기관>

명칭

URL

일반사단법인 일본 자동차부품공업회(JAPIA)

www.japia.or.jp

일반 사단법 일본 자동차부품협회(JAPA)

www.japa.gr.jp

[자료각 기관 홈페이지]


<관련 전시회>

명칭

URL

TOKYO AUTO SALON

www.tokyoautosalon.jp/2023

OSAKA AUTO MESSE

www.automesse.jp

[자료각 기관 홈페이지]



수입 규제 및 관련 인증 


HS CODE 8512.90 품목에 대한 수입 규제는 따로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일본 바이어와 거래할 일본공업규격(JIS D 5710 ) 취득 제품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일본 시장 관련 제조·수출·판매를 추진하는 경우 현지의 요구 기준을 재확인하는 것이 요망된다.

 


유통 구조 


와이퍼 제조사는 자동차 부품 전문 유통상사, 판매 대리점 등을 통해 자동차 부품 기업(고객사)에 주로 판매하고 있다. 또한 아마존이나 라쿠텐시장, 야후쇼핑 등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일반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되기도 한다.     



시사점

 

일본 와이퍼 시장은 자동차 생산량에 연동되는 제품 특성상 폭발적인 시장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지만, 향후 안정적 매출을 기대할 수 있는 분야다. 와이퍼의 최종 수요자인 차량 운전자는 더 좋은 시야 확보를 위해 성능 좋은 와이퍼를 기대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최근 들어서 태풍, 폭우, 대설 등의 이상 기후로 인해 운전자의 와이퍼 이용 빈도가 증가하며 높은 내구성 등 와이퍼에 대한 요구 수준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와이퍼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시장규모 확대라는 관점은 충분히 기대 가능할 것이다. 현재 일본의 와이퍼 수입 비중은 중국이 절반 넘게 차지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중국의 코로나 봉쇄에 따른 중국발 공급망 리스크가 떠오르면서 일본 기업들도 제3국으로의 생산 거점 이전 움직임이 조금씩 나타나는 중이다. 일본의 와이퍼 수입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높지 않은 수준이지만, 최근 일본 내 진행 중인 공급망 및 수입처 다각화의 흐름을 기회 삼아 일본 시장에 보다 적극적으로 진출하길 기대한다.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관세법령포털, 일본 실행관세율표, 주식회사 MARUENU 홈페이지, QY Research,  관련 기관 홈페이지  KOTRA 도쿄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의 자동차용 와이퍼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