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코스타리카 화장품 시장동향
  • 상품DB
  • 파나마
  • 파나마무역관 송유미
  • 2021-10-07
  • 출처 : KOTRA

- 2020년 한국의 대코스타리카 화장품 수출액은 전년대비 약 66.7% 증가 –

- 우리 기업 제품의 우수한 경쟁력을 알리기 위한 현지 홍보활동 지속 필요 –




상품명 및 HS Code 


화장품(HS 3304)


시장동향


2020년 기준 코스타리카 화장품(HS Code 330994) 수입시장 규모는 약 5,044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화장품 수입 시장은 최근 몇년간 꾸준히 성장하여 2019년 사상 최대 규모의 5,957만 달러에 달하였으나 2020년 코로나19의 여파로 전년대비 약 15.3% 수입이 감소하였다. 전통적으로 미국, 콜롬비아, 멕시코 등 인근국과 스페인 등 유럽산 브랜드가 장악한 시장이나 최근 한국산 브랜드가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는 추세이다. 


수입동향


코스타리카의 화장품 수입 현황

(단위: 천 달러)

순위

국가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1

미국

13,453

14,239

12,930

14,628

11,373

2

콜롬비아

13,078

12,978

12,859

13,654

10,436

3

멕시코

9,149

8,368

8,863

9,373

9,122

4

아르헨티나

583

493

1,620

4,214

3,624

5

스페인

2,157

2,452

2,582

2,994

3,354

17

한국

87

41

151

186

310

전체

53,518

53,650

54,167

59,574

50,441

자료: Global Trade Atlas(HS Code 3304 기준)


코스타리카의 주요 수입국은 미국(22.5%), 콜롬비아(20.7%), 멕시코(18.1%), 아르헨티나(7.2%), 스페인(6.6%)이다. 2020년 기준 미국산 수입액은 약 1,137만 달러로 전년대비 약 22.3% 감소하였다. 2020년 콜롬비아, 멕시코, 아르헨티나 또한 전년대비 수입액이 다소 줄었다. 반면. 2020년 스페인산 수입액은 약 335만 달러에 달해 전년대비 약 12% 성장하는 호실적을 거두었다. 특히 남미국 아르헨티나의 경우 최근 5년간(2016~2020년) 연평균 약 44.1% 수입이 증가하여 향후 코스타리카 시장 점유율을 점차 늘려갈 것으로 예상된다. HS Code 기준, 코스타리카 화장품 수입시장에서 HS 3304.99.(기초화장용, 메이크업용, 어린이용)가 약 64%를, HS 3304.20.(아이새도)는 약 10%, HS 3304.10.(립스틱) 약 8.7%, HS 3304.91.(페이스파우더)는 약 8.5%, HS 3304.30.(네일에나멜)는 약 8%를 차지한다.


경쟁동향


한국의 대코스타리카 의약품 수출현황

(단위: 천 달러)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87

41

151

186

310

자료: Global Trade Atlas(HS Code 3304 기준)


2020년 한국의 대코스타리카 화장품 수출액은 약 31만 달러로 전년대비 약 66.7% 성장하였다. 이로써 화장품 수입시장에서 17위, 약 0.6%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였다. 한국산 화장품 수입액은 최근 5년간(2016~2020년) 연평균 약 28.9% 증가하여 우리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통 구조


코스타리카의 주요 화장품 수입업체는 CEFA CENTRAL FARMACEUTICA S.A., DREAMS WORLD J Y V CORPORATION S.A., ALMACENES SIMAN S.A., PERFUMES Y COSMETICOS S.A, MERCORICA S.A., 등 이다. 


관세율 및 인증


한-중미 FTA 관세 양허 현황(한국-코스타리카)

HS Code 

양허 유형

기준 세율

3304.10.10./10.90./20.10./20.90./30.10./30.90./91.10.

/91.20./91.90./99.20./99.30./99.90.

즉시 철폐

6.5%

3304.99.10.

3년 철폐

6.5%

자료: 한-중미 FTA 협정문


2019년 11월 1일 발효된 한-중미 FTA에 의해 관세 양허가 진행 중이며, 대부분의 화장품의 관세가 즉시 철폐되었다. 향후 한-중미 FTA를 통한 한국산 제품 및 국가 이미지 제고가 우리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시사점


2020년 코스타리카의 화장품 수입 시장은 코로나19의 여파를 피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한국산 화장품은 전년대비 66.7% 성장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한-중미 FTA의 관세 양허에 따른 관세 철폐로 우리 기업은 시장의 접근성과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코스타리카 시장에 진출하길 희망하는 우리 기업은 주요 소비층을 분석하여 우리의 우수한 제품 경쟁력을 현지에 홍보하는 활동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자료: CentralAmericaData, El Financiero, 코스타리카 보건부, 코스타리카 사회보장청(CCSS), Global Trade Atlas, 현지 바이어 및 유통상 인터뷰, KOTRA 파나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코스타리카 화장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