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관세 철폐로 뜨겁게 달아오를 파키스탄 태양광패널 시장
  • 트렌드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이동훈
  • 2015-10-06
  • 출처 : KOTRA

 

관세 철폐로 뜨겁게 달아오를 파키스탄 태양광패널 시장

- 전년대비 수입규모 3배 이상 급증 –

- 조만간 관세 철폐 예정으로 적극적인 시장진입 필요 –

 

 

 

□ 시장 현황

 

 ○ 시장 수요

  - 기본적으로 파키스탄에는 국제기준을 충족하는 태양광패널 생산업체가 부재해 수요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파키스탄에서 태양광패널 수요는 급격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음. 2014/2015 회계연도 기준 전체 수입규모는 3억48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25% 증가한 수치임.

  - 이처럼 가파른 증가세는 최근 현지에서 일어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수요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임. 파키스탄 정부는 고질적인 전력난 완화를 위해 기존의 화석연료를 이용한 발전 외에도 각종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정책적으로 추진 중이며, 지역적으로는 펀잡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아울러 민간기업과 가정에서도 비용 절감을 위해 태양광 발전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음.

 

자료원: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Board

 

 ○ 수입 동향

  - 태양광패널을 수입에 전적으로 의지하는 파키스탄의 특성상 수요 증가는 그대로 수입 증가로 이어짐. 수입통계에서 나타나듯이 현재 중국산이 전체 시장의 94%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음. 이어서 UAE, 일본, 한국 등이 각각 소규모 지분을 차지하고 있음.

  - 중국산 제품의 수입이 급증한 배경은 현재 펀잡주에서 진행 중인 Bahawalpur 프로젝트 때문임. 이 프로젝트는 총 1000㎿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 건설을 골자로 펀잡주정부와 중국 기업의 합작으로 진행되고 있음. 현재까지 100㎿ 규모의 설비는 이미 완공돼 전력을 생산하고 있으며 추가 증설을 계속하는 단계임.

  - 한국산의 경우 연간 약 68만 달러의 수입규모를 나타내며 전체 5위를 차지하고 있음. 아직까지 중국산과 규모 면에서는 비교하기 어려우나 전년대비 7배 이상 수입규모가 증가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함.

 

파키스탄 태양광패널 수입현황(HS Code 8541.4000 기준)

                         (단위: 달러, %)

순위

수입 대상국

2013/2014

2014/2015

수입규모

증감률

점유율

1

중국

103,405,290

327,620,334

216.83

94.09

2

UAE

24,678

14,796,531

59,857.78

4.25

3

일본

197,666

1,263,028

538.97

0.36

4

홍콩

428,592

889,262

107.48

0.26

5

한국

93,391

679,574

627.67

0.20

6

독일

1,865,050

623,635

-66.56

0.18

7

말레이시아

223,488

428,291

91.64

0.12

8

미국

56,963

402,332

606.30

0.12

9

싱가포르

364,003

362,943

-0.29

0.10

10

대만

253,640

345,695

36.29

0.10

총계

107,111,880

348,185,913

225.07

100

주: 파키스탄 회계연도에 따르면 2013/2014년은 2013년 7월~2014년 6월에 해당함.

자료원: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 바이어 인터뷰

 

 ○ Hi Tech Alternative Energy, Mr. Afsar Alam(CEO)

  - 이 사는 태양광 발전 관련 제품 수입·유통기업으로 현지에서 상가·주택용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현재 한국을 비롯해 다수의 국가에서 태양광패널을 수입 중임.

  - 바이어에 따르면 최근 파키스탄에서는 개인 주택용 태양광 설비에 대한 수요가 특히 증가하고 있음. 이는 당장의 비용이 소요되더라도 장기적으로 전기요금을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일반 소비자들도 인지하기 때문이라고 함.

  - 한국 기업의 경우 현지에 믿을 만한 에이전트를 확보해 마케팅 활동을 할 것을 권유함. 또한 향후 파키스탄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수요가 더욱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시장 전망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나타냄.

 

□ 전망 및 시사점

 

 ○ 시장 전망

  - 파키스탄 신재생에너지기구(Alternate Energy Development Board)에 따르면 기존에 태양광패널 수입 시 부과되고 있는 5% 관세(HS Code 8541.4000 기준)가 조만간 철폐될 전망임. 이는 전력난을 타개하기 위한 정부 정책의 일환으로 이미 관세 철폐는 결정된 사안이고 시행 시점에 대한 발표를 앞두고 있는 단계라고 함.

  - 수입관세가 철폐될 경우 태양광패널 수입물량이 보다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한국 기업에도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됨.

 

 ○ 파키스탄 시장진입 전략

  - 우선 태양광패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파키스탄 시장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기본적으로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다 주요 바이어들이 향후 현지 수요가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임.

  - 또한 중국의 사례와 같이 프로젝트와 연계해 시장에 진입하는 방안이 안정적인 수출경로 확보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향후 국내 프로젝트 업계의 파키스탄 신재생에너지 시장 진출이 본격화될 경우 한국산 수출도 급물살을 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끝으로 바이어 조언에서 볼 수 있듯이 현지 사정에 밝은 유능한 에이전트를 지정해 시장정보 수집, 타깃층 확보 등 마케팅 활동을 효율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음. 이는 특히 진입 초기에 안정적인 현지 수요를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Alternate Energy Development Board,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Hi Tech Alternative Energy 인터뷰 및 KOTRA 카라치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관세 철폐로 뜨겁게 달아오를 파키스탄 태양광패널 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