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2년 파키스탄 자동차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민준호
  • 2022-08-04
  • 출처 : KOTRA

글로벌 생산업체 현지 조립생산 활발

파키스탄 정부 부품 현지화 및 전기차 적극 도입 추진

산업 개관


파키스탄은 세계에서 5번째로 인구가 많은 인구 대국으로 전국적으로 대략 2400만 대의 이륜차와 삼륜차, 400만 대의 승용차, 50만 대의 버스와 트럭이 등록돼 있다. 


<파키스탄 차량 등록 현황>

[자료: LUMS-Lahore University of Management Sciences]


회계연도 2022 기준 차종별 연간 생산량은 전 차종에서 전년대비 증가했는데, 트럭이 4445대로 77.2%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반면 2륜 및 3륜 차종은 전년대비 오히려 3.5% 감소세를 나타냈다. 

 

<파키스탄 자동차 연간 생산량 현황>

(단위: 대)

[자료: 파키스탄 자동차협회]


<2019-2020년도 파키스탄 자동차 판매 현황>

(단위: 대, 미달러/루피 환율)

[자료: 파키스탄 현지 자동차 산업보고서 2021.8.]


현지 주요 브랜드


(자동차) FY2021도 가장 인기 있는 차종은 Mehran(Pak Suzuki 소형차)이며, Toyota Yaris, Honda City& Civic 및 구형 Toyota Corolla가 그 뒤를 이었다. 상위 순위는 여전히 외국계 OEM 모델이 지배하고 있고 전체 자동차 판매는 32%까지 성장했다.


(지프) FY2021도 SPLY이 158%에 가까운 가장 높은 매출 증가를 보였고, 올뉴투싼은 2021년 9월 2759대가 판매돼 2위의 Toyota Fortuner를 제치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픽업트럭) FY2021에 Suzuki Ravi가 판매를 주도했고 Toyota Hilux와 Hyundai Porter가 그 뒤를 이었다.


<자동차 내수 판매 추이>

(단위: 천 대)

[자료: 파키스탄 자동차협회]

 

지난달 정부는 무역수지 적자 방어 및 외환 확보를 위해 사치품 소비재 수입을 전면 금지했는데, 여기에 완성차(CBU) 수입도 포함됐다. 정부 고시 SRO598에 따라 현재는 상업용 차량만 수입 가능하며 일반 승용차는 수입이 금지된다.

 

<파키스탄 차량 연도별 수입 추이>

(단위: 천 대)

[자료: PBS- 파키스탄 통계국]


<승용차의 연도별 판매>

(단위: 대, %)

판매연도

수량

증감률

2017년

247,330

18.3

2018년

264,442

6.9

2019년

192,814

-27.1

2020년

127,939

-33.6

2021년

242,886

89.8

2022년(Q1)

71,294

27.2

[자료: 파키스탄 자동차제조업체협회-PAMA]


<2021년도 OEM 생산(승용차 및 경상용차) 현황>

(단위: 대, %)

OEM

생산량

점유율

PAK 스즈키

177,831

50

인더스 도요타

81,761

20

혼다 아틀라스

52,521

13

럭키모터스(기아자동차)

22,500

5

창안

16,000

4

현대니샤트

11,919

3

프로톤

1,233

0.5

기타(Glory, MG, Prince, Bravo, FAW, Baic 등)

 17,233

4.5

[자료파키스탄 자동차제조업체협회-PAMA]

  

파키스탄의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 운영 현황


파키스탄의 자동차 조립은 1950년 카라치에 National Motors Limited가 설립되면서 시작됐고 이후 카라치는 파키스탄 자동차 부품 제조산업의 기반을 구축하는 자동차 조립공장의 허브가 되었다. 이후 자동차 부품 산업의 주요 거점은 점차 카라치에서 라호르로 이동 중이다. 1970년대까지 설립된 자동차 부품 제조공장은 트랙터, 버스 및 트럭 부품 승용차 부품시장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역할에 국한됐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 처음으로 Suzuki가 파키스탄에서 완성차 조립 생산을 시작한 이후 파키스탄 자동차 산업의 주요 발전이 이뤄지게 된다. 뒤이어 경쟁업체들도 자동차 및 오토바이 조립을 위한 현지 공장을 설립하게 된다. 한 지역에 완성차 조립공장이 세워지면 부품 제조산업도 동반 성장하는 구조이다. 


<파키스탄 자동차 조립생산 업체 현황>


회사명

차종

본사 

설립연도

주요 브랜드

1

Hyundai Nishat

승용차

라호르

2019

Tucsan, Elantra, Sonata, Porter, SANTA FE, Ionic, Staria

2

(KIA) Lucky Motor Corporation

승용차

카라치

2019

Stonic, Sportage, Carnival, Sorento, Picanto

3

Pak Suzuki 

승용차

카라치

1984

Alto, WagonR, Cultus, Swift, APV, Bolan, Ravi 

4

Toyota Indus

승용차

카라치

1989

Corolla, Yaris, Prius, Revo, Land Cruiser

5

Honda Atlas

승용차

라호르

1962

Honda Civic, Honda City, Honda BRV

6

Proton(Al Haj)

승용차

카라치

2020

Saga, Proton X70

7

Changan-Alsvin 

승용차

카라치

2021

Alsvin, Karvaan, Oshan

8

MG JW Automobile Pakistan

승용차

카라치

2020

MG HS, MG ZS, MG HS PHEV, MG ZS EV

9

Regal Automobiles-DFSK

승용차

라호르

2019

Glory SUV, Prince

10

Daewoo

버스

카라치

2008


11

JW Forland

버스

라호르

2018

 

12

Hino

버스

카라치

1985

 

13

Isuzu

버스

카라치

2018

 

14

Nissan

버스

카라치

1981

 

15

Foton

버스

카라치

1996

 

16

NEW HOLLAND

트랙터

라호르

1964

 

17

Millat Tractor

트랙터

라호르

1964

 

18

Qingqi

오토바이

라호르

1995


19

Yamaha

오토바이

카라치

2013


20

Pak Suzuki 

오토바이

카라치

1983


21

Honda Atlas

오토바이

카라치

1962


[자료: KOTRA 카라치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파키스탄 자동차 부품 산업 규모


파키스탄 내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는 대략 1600개 사이며 완성차 업체 및 OEM에 등록된 250개의 대형 부문 등록벤더가 단일 또는 복합부품을 공급하고, 일부 신규 조립업체 및 애프터 세일즈 시장을 겨냥한 450개사의 중소 규모업체와 AS 및 부품 수리만 취급하는 소규모 부품회사 900개가 존재한다.


<파키스탄 자동차 부품업체 현황>

자동차 부품업체 규모

단위(개사)

대형·중형 규모

250

·소 규모

450

소규모

900

총계

1,700

[자료: SMEDA]


엔진 등 핵심부품의 현지화 정도는 트랙터나 2, 3륜 자동차의 경우 90%을 넘으나 일반 승용차나 트럭 및 버스의 경우는 그 수준이 5%에 못미쳐 매우 미약하다.


<파키스탄 자동차산업 핵심부품 현지화 정도>

[자료: 파키스탄 자동차 부품 및 액세서리제조업체협회]


그러나 비핵심 부품을 포함한 자동차부품의 일반적인 현지화 수준은 이보다는 훨씬 높다고 하겠다.


<차종별 부품 현지화 정도>

[자료: VIS Credit Rating Company Limited]


<Pak Suzuki의 부품 조달 프로세스 예>

1

공급자 등록 절차 작성 수행

2

공급자의 시설 조사

3

공급자 서명 또는 경영진의 승인

4

ERP 시스템에 공급자 등록

5

견적 요청 - 견적 요청 및 사양 발표

6

견적서 제출 및 검토

7

상거래 계약 및 체결(구매 및 판매 계약 준비)

8

마스터 프로젝트 일정(공구 개발 - 수입/로컬)

9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부품 설계

10

기술 사양 확정

11

3D 어셈블리 도면 작성

12

제품 디자인 2D/3D

13

개발 일정(가공/가공)

14

고정 개념 확인, 도면, 제작, 평가, 검사

15

조립, 툴링 시험

16

테스트

17

라인 설정

18

벤더별 SOP 이후 지원

19

포장 제출 및 승인

20

공급업체에서 OEM으로 배송

21

필요한 경우 OEM 및 공급업체에 엔지니어 파견

22

OEM 및 공급업체 유지 관리

[자료: KOTRA 카라치 무역관 보유 자료]


산업육성정책 


파키스탄 정부의 자동차 개발정책(AIDEP) 2016-21에 따라 Kia Sportage, Hyundai Tucson, Changan Alsvin 및 MG와 같은 55대의 새로운 차량이 현지 시장에 진입하게 됐다.  당시 자동차 산업의 나아가야 할 목표를 정하는 엔지니어링 개발 위원회-EDB는 현지 벤더산업(부품 제조) 활성화, 국산화 증대, 자동차 수입 최소화, 수출 개시 및 화석 연료 사용 감소를 개발정책 목표로 설정했다. 파키스탄의 자동차 산업은 현재 연간 41만8000대의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고 연간 50만 대 판매 목표를 달성하면 부품 현지화도 더욱 진척 가능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1차 자동차 개발 정책(ADP) 2016-21을 성공적으로 추진 후 정부는 "Make in 파키스탄" 이니셔티브와 친환경 자동차에 중점을 두는 2022-26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특히 1000cc 미만 소형차에 대한 관세 및 세금 감면을 통해 인센티브를 제공해 생산 및 판매를 장려하고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 현지 제조를 촉진하고자 한다. 또한 이미 현지화에 성공한 부품 수입에 대한 관세를 45%에서 30%로 인하하고 현지화되지 않은 부품의 경우에는 관세가 30%에서 15%로 반으로 줄게 된다.


<파키스탄 정부의 전기 자동차(승용차) 세금 인센티브 지원 계획>

유형

인센티브 내용

 CBU(수입완성차)

수입관세(CD) 25%, 추가관세(ACD) 0%, 규제관세(RD) 0%, 부가가치세(VAT) 0%, 연방소비세(FED) 0%

• 현행 관세의 50%로 회사당 100대 CBU 수입 허용 

 

 

 CKD(조립생산차)

배터리, 모터, 모터제어 등 EV 전용부품 수입 1% CD, 0% ACD, 0% VAT, 0RD, 0% FED

배터리 50kWh 이하 소형차·SUV용 CKD 키트 수입 및 150kWh 배터리가 장착된 LCV

 - 판매세 및 부가가치세 면세 

 수입 단계에서 GST 및 VAT 면제

 제조 공장 및 기계

0% CD, 0% ACD 및 0% RD 등 전면 면세 수입

 전기차 충전기

1% CD, 0% ACD, 0% RD

 등록·연간 갱신수수료

지방정부 정책에 따라 할인율 제공

 자금 조달

1+5%의 자금조달 허용(파키스탄 중앙은행)

 [자료: LUMS-Lahore University of Management Sciences]

          

시사점 및 진출전략 

 

현지 부품업체 Mehran Commercial 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은 철강 및 플라스틱 수지와 같은 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고 부품 제조업체들도 자동차 부품 생산을 위해 전체 부품 중 30~65%를 원자재 수입에 의존한다고 한다. 업계에서는 국제 원자재 비용 증가, 환율변동 및 운임 증가 등 외부요인에 대응해 가격을 안정화하는 유일한 방법은 부품 현지화로 보고 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한국 부품 공급업체들은 Kia Lucky Motor, Hyundai Nishat, Pak Suzuki, Toyota Indus와 Honda Atlas와 같은 현지 OEM 티어원 밴더에게 기술 지원을 하고 있는데 차체, 엔진, 와이어 하니스, 연료 탱크, 계측기, 조항기, 핸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진행 중이다. 이중 와이어 하니스는 현지화를 통한 한국 중소기업의 파키스탄 진출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또한 지난해 정부가 새롭게 발표한 자동차 산업 개발 및 수출 계획(AIDEP 2022-26)으로 전기차 판매세를 17%에서 1%로 인하하는 등 친환경 차량에 대한 정부지원도 대폭 강화그밖에 소형차 장려, 생산 현지화, 트랙터 및 오토바이 신제품 개발 및 수출시장을 겨냥한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 기술 개발도 강조 향후 국내 관련 기업과의 부품 개발 및 기술 협력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LUMS, 파키스탄 자동차 협회, SMEDA, 파키스탄 통계청, 바이어 인터뷰, KOTRA 카라치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2년 파키스탄 자동차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