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3년 미얀마시장, 이것이 바뀐다
  • 경제·무역
  • 미얀마
  • 양곤무역관 고성민
  • 2012-12-12
  • 출처 : KOTRA

 

2013년 미얀마시장, 이것이 바뀐다

- 동남아의 마지막 미개척시장, 본격적으로 열릴 것으로 예상 -

- 대 미얀마 차관 재개와 맞물려 대형 인프라 프로젝트 활개 전망 -

 

 

 

□ 2013년 미얀마 경제전망

 

 ㅇ 2012년의 5%대의 GDP 성장에 이어, 5.4%의 높은 성장 예상(EIU)

  - 2014년 6.0%, 2015년 6.5%, 2016년 6.9%, 2017년 7.3%로 고속성장세 지속 예상

 

 ㅇ 미얀마 정부는 2012-2013 회계연도에 7.7%의 GDP 성장 예상

  - 외국인 투자법 개정(2012. 11.)과 미국정부의 대 미얀마산 수입금지 일반해제 조치(2012. 11. 16.)로 보석류와 무기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미얀마산 상품의 미국 수출이 가능함에 따라 외국인 투자 급증 전망

  - 미얀마 중앙은행의 시장 환율제 도입 3개월 만에 차트화 가치 약 9.5% 평가 절상(7월 5일 883차트→12월 11일 857차트)

 

 ㅇ 국제사회에서의 미얀마 역할 강화 및 성장에 대한 기대 증가

  - 2013년 동남아시안게임(SEA Game) 개최와 2014년 아세안 의장국 지위 수행을 계기로 미얀마의 국제적 위상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 ADB는 2012년 8월 미얀마 경제 특별보고서를 통해, 2030년까지 1인당 국민소득 2000~3000달러대 도달 가능성을 전망하면서, 미얀마를 “아시아의 떠오르는 스타”로 평가

 

□ 주요 비즈니스 환경 변화

 

 ① 미얀마 신정부, 경제개발 및 인프라 구축 지속 확대 예상

 

 ㅇ 수출입 정책 완화, 외국인 투자유치 강화 등 신정부의 정치, 경제 개혁 적극 추진

  - 월드뱅크 등 국제사회와 공조를 통해 수출입정책 완화, 외국인에 대한 금융시장 개방 등 개혁조치 지속 추진

  - 외국인 투자법 개정(11월 2일)과 정부소유 기업의 민영화 추진으로 외국인 직접투자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

 

  미얀마 국가경제개발 5개년 계획 추진

  - 미얀마 정부는 농촌 개발계획을 통해 최극빈층 비율을 26%에서 16%로 줄일 계획

  - 일자리 창출 사업 발굴, 2/3차 산업 개발,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정책 추진

  - 2012-2013 회계연도 농업 분야의 GDP 비중은 36.4%에서 29.2%로 감소, 산업 부분은 26%에서 32.1%로 증가, 서비스 부분은 37.6%에서 38.7%로 증가 목표

 

 ② 미얀마 국제관계 활성화로 인해 차관 도입 재개 전망

 

 ㅇ 미얀마 경제개발 및 인프라 확대를 위한 차관 도입 강화

  - 미얀마 정부는 조속한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기초 인프라 강화가 필수적이라 인식, 외국으로부터의 차관 및 투자유치를 통해 해결모색

  - 신정부 취임 이후 서방세계의 긍정적 평가로 경제제재가 완화됨에 따라 경제개발 및 인프라 확대를 위한 신규 차관 도입 재개 전망

 

 ㅇ 신규 차관은 전력, 통신, 도로 등 기초 인프라 확대에 우선적 사용

  - 미얀마는 전력, 통신, 도로 등 기초 인프라의 낙후로 인해, 전자, 기계 등 중후장대형 산업의 투자는 거의 이뤄지지 않음.

  - 미얀마 정부는 신규 도입된 차관을 전력, 통신, 도로 등 기초 인프라 강화에 주로 투자함으로써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 조성에 주력 전망

 

③ 미얀마의 경제 개방 확대로 인한 외국인 투자 및 진출 증가 전망

 

 ㅇ 미얀마의 지정학적, 지경학적 특성을 감안한 외국계기업의 진출 촉진 전망

  - 미얀마는 중국과 인도 중간의 위치해 동-서남아 연결 및 태평양-인도양을 잇는 지정학적 요충지이자, 다양한 천연자원과 개발 잠재력을 보유한 시장으로 평가

 

 ㅇ 미국의 대 미얀마 신규투자 및 금융거래, 미얀마산 수입제한 등이 완화됨에 따라, 외국기업의 본격적인 진출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

 

대 미얀마 경제제재 현황 및 완화여부

분야

내용

관련법령

시작

연도

완화여부(2012.11.19.현재)

법률

대통령령

금융거래

금지

미국으로부터의 또는 미국시민에 의한 모든 금융거래 금지

제이드법

대통령령 13047 외

2개

1997

2012년 7월

완화

투자 금지

미얀마에 대한 신규투자 금지

1997년 정부종합조달법

대통령령 13047

1997

2012년 7월

완화

비자 금지

미얀마 정부와 군부인사, 미얀마 군사정권 주요 지지자와

가족 비자 발급과 입국 금지

제이드법 외 2개

대통령포고 6925 외 1개

1996

2012년 9월

부분완화

자산 동결

미얀마 정부와 정부인사의

미국 내 자산동결

제이드법 외 1개

대통령령 13310 외 3개

1997

2012년 9월

 부분완화

원조 금지

양자원조 및 국제기구를 통한 미얀마 원조 금지

대외원조법 외

 6개

-

1995

2012년 10월

부분완화

미얀마산 제품 수입금지

미얀마산 제품 수입금지(2003년부터 모든 제품으로 확대)

버마자유민주주의법 외 1개

대통령령 13310

1990

2012년 11월

부분완화

일반특혜관세 적용금지

1974년 무역개혁법에 근거한 대통령 포고를 통해 일반특혜관세 적용 중단

-

대통령포고 5955

1989

지속

무기수출 금지

미얀마에 대한 모든 군수

물자와 서비스 수출 금지

무기수출통제법

-

1993

지속

자료원: 미국의 미얀마 경제제재 완화현황과 시사점, KIEP

 

□ 주요 국가의 미얀마 진출 동향

 

 ㅇ 미얀마에 대한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 중국,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의 진출이 빠른 속도로 증가세

  - (일본) 인프라, 전력, 천연자원 개발, 양곤 개발 등 전 범위에 걸쳐 발 빠르게 대응

  - (미국) 경제 제재 해제를 지렛대로 해 미얀마에 대한 영향력 확대하는 한편, 여타 국가에 비해 다소 늦은 것으로 평가되는 미국기업의 미얀마 진출 강화

  - (중국) 미얀마 내의 서방지원 강화와 반 중국정서 확대를 의식 기존의 강성전략에서 연성전략으로 변화 추진

 

 ㅇ 경제특구, 자원개발, 기초인프라 등 대형 프로젝트 투자 가속화

  - (일본) 띨라와 경제특구 개발, 유와마 복합화력발전소 유지보수 프로젝트 등 대형 프로젝트 수주 및 추진 강화

  - (중국) 짜욱퓨 천연가스 프로젝트와 연계한 철도, 도로, 산업단지 개발 강화

  - (태국) 드웨이 심해항 프로젝트가 개발사인 ITD사의 자금난으로 다소 난항을 겪고 있으나, 태국 정부의 강력한 추진의지로 다시 본 괘도에 오를 것으로 전망

 

□ 시사점

 

 ㅇ 그동안 미얀마는 잠재력에 비해 정치적, 시장여건 등으로 우리기업의 관심이 낮았지만 최근 미얀마 정부의 지속적인 개방과 개혁정책으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며, 미얀마를 찾는 우리기업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음.

 

 ㅇ 특히, 미얀마에 대한 미국의 신규투자 및 금융거래, 미얀마산 수입제한이 완화됨에 따라 미얀마에 대한 외국기업의 관심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ㅇ 아울러 대 미얀마 차관(EDCF) 재개로 인해 그동안 미얀마 정부가 달러가 없어서 추진 못했던 전력, 통신, 도로 등 대형 인프라사업에 집중 투자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 분야를 중심으로 우리기업의 높은 관심이 요구됨.

 

 ㅇ 하지만, 미얀마는 우리기업의 동남아 진출 초기와 비교해 볼 때, 아직 투자유치 여건이 조성되지 못한 상태(예: 전력, 도로, 통신망, 달러화 송금의 어려움 등)에서 단기간 내 외국기업의 진출이 이뤄지기 때문에 단순히 낮은 인건비, 넓은 소비시장, 풍부한 자원 등의 장밋빛 전망에 현혹되기 보다는 자사의 특성에 맞춰 미얀마 시장진출 전략을 수립하는 노력이 더욱 요구됨.

 

 

자료원: 미얀마 통계청, 중앙은행, EIU, KIEP, KOTRA 양곤 무역관 보유자료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13년 미얀마시장, 이것이 바뀐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