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中 유통업, 어떻게 발전할까?
  • 경제·무역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12-09-06
  • 출처 : KOTRA

 

中 유통업, 어떻게 발전할까?

- 높은 성장성과 잠재력에도 유통관리체계는 여전히 미흡 -

- 중국 정부, 소비활성화를 위한 유통업 구조개선대책 수립 중 -

 

 

 

    

 

□ 중국 유통업 주요 특징

 

 ○ 빠른 시장규모 확대   

  - 2002~2011년 기간 중국 사회소비품 소매총액이 4만8136억 위안에서 18만3919억 위안으로 2.8배 증가했고 연평균 성장률은 14.3%를 기록했음.

  - 중국 내 상장된 유통업체는 2011년 3분기 전년동기대비 평균 33.7%로 높은 이익 증가율을 보였으며, 이는 2010년의 30% 증가율을 초과하는 수치임.

  

 ○ 유통체계 매우 복잡   

  - 현재 중국 유통업은 국유, 민영, 해외자본, 혼합 등 각기 다른 소유제가 존재하며 체인식 경영과 단독 경영 등으로 나뉘어 매우 복잡한 유통조직체계를 형성함.

  - 전통 도소매업이 조직화, 브랜드화, 인터넷 경영 등을 추진하며 변화하고 물류, 임대, 전시회 등 비즈니스 서비스업 역시 빠르게 성장세임. 또한 전당포, 경매 등 특수 업종 규모가 크게 발전함.

 

 ○ 점점 더 다양해지는 유통방식

  - 지난 10년간 편의점, 대형 쇼핑센터, 특색상업 지구, 체인식 경영, 전자상거래의 확대로 끊임없는 변화를 함.

  - 2011년 12월 말까지 중국 네티즌 수는 5억 명을 돌파,이 중 인터넷 쇼핑 이용자는 매년 48.67%가량 증가하며 최근기업의 블로그 마케팅 전략도 각광받음.

 

□ 중국 오프라인 유통 - 백화점, 대형마트 성장잠재력 높아

 

 ○ 중국 대형마트는 2010년 2289개에서 2011년 2775개로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내었음.

  - 중국 유통산업은 분야별로 고급 백화점, 대형 마트(쇼핑몰), 인터넷쇼핑과 홈쇼핑, 일반 중소형 마트, 재래시장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대형 마트(쇼핑몰)는 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2%에 불과해 미국의 9.6% 대비 1/3 수준임. 마트 성장률이 기타 유통업 대비 3배 이상 높을 것으로 전망

 

 ○ 중국 전체 소비에서 백화점이 차지하는 비중은 1.4%이며 2, 3선 도시들의 경제 성장을 감안하면 백화점과 마트의 향후 수년간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임.

  

□ 중국 온라인 유통 - 주요 유통경로로 부상 중

 

 ○ 외형적 확산에도 시스템 미비

  - 중국의 인터넷 쇼핑시장규모는 2010년 약 5231억 위안이며 전년대비 109.2% 성장

  - 중국 증권사에 따르면 인터넷 쇼핑 규모는 2015년에 2010년 수준의 약 5배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 온라인 상거래 진출 유통기업이 많아짐에도 기술, 전문인력, 마케팅, 소비자·시장 분석, 데이터 발굴·관리 등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함.

  - 쑤닝의 EGOU, 궈메이, KOO8, 월마트와 같은 성공 사례와 약 6000만 위안의 투자에도 결국 온라인 유통을 철수한 Meters Bonwe의 실패사례처럼 양극화가 이뤄질 것임.

 

 ○ SNS시대 도래

  - 소셜 마케팅에서는 기업 이미지 향상, 정보 전파, 시장 동향 분석, 소비자 평가를 유도하는 일거다득의 효과를 실현함.

  - 2009년부터 블로그와 트위터가 폭발적으로 발전하면서 소셜 마케팅 붐이 일어남. 까르푸, 월마트, CRV, 메트로 등 유통기업도 소셜 마케팅의 중요성을 깨달으면서 SNS을 이용한 마케팅이 빈번해질 것임.

 

□ 중국 유통업이 당면한 문제점

 

 ○ 시스템 미비로 효율성 낮아

  - 중국의 유통시스템은 선진국 대비 '수준이하의 확장, 낮은 수준 경쟁, 낮은 효율 운영'의 현상이 보편화됐음.

  - 특히, 유통과정 중 가짜상품, 거래 과정 중 발생하는 사기, 난잡하고 정리되지 않은 업계의 관행과 규율 등으로 시장 공정성이 확립되지 못함.

 

 ○ 유통부문 과도한 세금과 비용

  - 2011년, 중국 세수의 70% 이상이 유통세에서 징수됐으며, 국가 세수 중 소득세나 기타 세금의 비중이 30% 미만인 매우 낮은 수준.

  - 1994년 세제개혁 이래로 전체 세수 중 유통세 비중이 줄곧 60% 이상의 수준을 유지 중이며, 소득세 비중은 20% 내외 수준임.

  - 중국의 중요한 세수 원천인 유통세는 제품가격을 결정짓는 중요 요인으로 물가 상승을 부추겨 전 국가 차원의 소비자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지적 팽배

 

□ 중국국무원, 2012년 8월 3일 '유통체제 개혁심화를 통한 유통산업발전 가속화 의견' 발표

 

 ○ (배경과 의의) 쏭저(宋则) 중국사회과학원 재정무역경제연구소 유통산업연구실 주임은 이 의견 발표는 유통비용 절감을 통한 소비촉진으로 올해 하반기 경제성장안정화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해석

 

 ○ (주요 내용) 금융지원정책, 세금감면, 유통단계별 비용감소, 유료도로정비추진 등을 통한 유통업의 비용절감과 구조개선노력

  - 은행 카드 결제 비율 구조 최적화. 종합 비용 수준 절감

  - 신선한 농산품 운송의 '녹색 통로' 정책실시. 합법적 신선농산품 운송차량 통행료 면제

  - 농산품 시장, 판매 업체와 공급 업체의 거래에서 수금 규범화

  - 유료도로 정리. 위법이나 불합리한 요금 폐지, 높은 수준의 통행료 요금 표준 인하

  - 1급 이하 도로·다리·터널 요금 항목의 엄격한 심사

  - 국가에서 확정한 서부 지역 성·시의 정부 대출, 2급 도로 요금 면제 추진 가속화

  - 일정기간 내 농산품 도매시장과 농업 무역시장의 도농 토지 사용세와 임대 소득세의 면제, 채소 유통 단계 증치세 면제 정책을 신선 농산품으로 확대함.

  - 폐품 회수 체계 구축을 촉진하는 세수 정책을 제정하고, 본사와 지사의 종합 납세정책 실시를 통해 체인식 기업의 다지역 발전을 촉진하며 영업세-증치세 개혁 시범사업을 적극 추진해 유통업 세금제도 개선 노력.

 

 ○ (실시세칙) 아직 내용적으로 원론적인 부분이 많아 조만간 실시 세칙이 마련될 전망

 

□ 주목할 만한 대표적인 중국 내 유통기업

 

 ○ 유이(友)그룹

  - 중국 내 최대 종합 유통기업

  - 전국에서 백화점, 마트, 쇼핑몰, 명품 할인점 등 5000여 개 소유

  - 2012년 연 매출액 5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추정

  - 2011년 8월 상하이 백현 그룹을 인수함. 백화점, 쇼핑몰, 마트, 아웃렛 등 유통업의 모든 업종에 진출했으며 중국 유통 업계의 리더로 볼 수 있음.

 

 ○ 타오바오(淘)그룹

  - 중국 최대 인터넷 쇼핑업체임.

  - 중국 최대 전자 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 그룹이 2003년에 타오바오 설립

  - 타오바오의 사업 부문은 기업부문(B2C)과 소비자 부문(C2C)으로 나뉨. C2C 부문에서 타오바오는 전국 1위를 차지하며 2011년 시장점유율은 63%에 달함.

  

 ○ 다롄다샹(大大商)그룹

  - 중국 최대의 백화점 업체로 2011년 기준 총 82개 백화점 소유

  - 경제 성장이 빠른 둥베이와 허난성을 중심으로 성장하며 2011년 상반기 매출 155억 위안

 

 ○ CJ 홈쇼핑(한국진출 기업)

  - 중국 첫 번째의 홈쇼핑 업체로 중국 내에서 판매액이 가장 많음.

  - 2011년 매출액 61억 위안

  - CJ 홈쇼핑은 상품의 우수한 품질과 고객의 생활 방식을 개선하는 것을 강조. 이로 인해 '教买(가르치는 판매)'라고 불림. CJ는 이미 20개 지역에 진출했으며, 상하이와 화동을 기점으로 전 중국으로 점포를 확장함.

 

 ○ 롯데마트(한국진출기업)

  - 2004년 롯데마트는 중국 시장을 개발하기 시작해 2008년 베이징에서 최초로 롯데마트 왕징점을 시작으로 현재는 중국에 82개의 마트를 보유함.

  - 2011년 매출액 110억 위안

  - 중국 롯데마트는 베이징, 천진, 산둥, 랴오닝을 시작으로 해 2018년까지 300개 점포확장 계획

 

□ 시사점

 

 ○ 중국 유통업은 지난 10년간 빠르게 발전했음. 체계적 유통시스템 부족과 과다한 세금으로 인한 고비용구조 등 여러 문제점에도 중국인들의 꾸준한 소비력 향상으로 발전 잠재력이 매우 높은 산업임.

 

  중국 정부는 최근 경기침체로 인한 투자와 수출부진으로 유통체계관리를 통한 소비활성화를 추진하고자 올해 8월 '유통업 산업발전 가속화 의견'을 발표했으며 향후 시행될 유통관련 세부 세칙에 따라서 유통기업의 구체적인 수혜범위가 윤곽을 드러낼 것임.

 

 ○ 우리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시 중국의 유통체계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요 유통기업 등을 통한 마케팅 전략과 진출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음.

 

 

자료원: , 百度, 新经济, 한국경제 매거진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유통업, 어떻게 발전할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