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녹색상품] 호주 친환경・고효율 건축자재 인기
  • 경제·무역
  • 호주
  • 멜버른무역관 문숙미
  • 2012-08-17
  • 출처 : KOTRA

 

호주 친환경·고효율 건축자재 인기

- 건축물에 에너지 효율성 높이는 그린스타등급제도 빠르게 확산 -

- 호주 건축시장 그린 자재에 이목 집중 -

 

 

 

□ 이산화탄소의 압박이 건축을 그린으로 변화시켜

 

  호주의 일반 주거 건축물은 의무적인 주택에너지등급(House Energy Rating)을 적용해 2011년부터 6 스타등급을 받아야 하며 대형·상업용 건축물에는 그린스타(Green Star)제도를 자발적으로 도입해 친환경, 고효율 건축물 프로젝트를 시행하도록 유도함.

 

  찬반 논란 속에 2012년 7월 1일부터 시행된 탄소세 시행으로 전기, 수도 인상 등 기본적인 에너지 지출 비용 증가가 예상되며 호주 사회 전반적으로 친환경 고효율 제품에 대한 관심 증가

 

  GBCA에 따르면 건축물은 세계 32%의 에너지원을 사용하며 자연환경과 주변환경에 많은 악영향 (예: 폐수) 을 미친다고 함.

 

  호주 이산화탄소 배출의 8.8%는 상업용 빌딩·건축물에서 나오며 상업용 빌딩·건축물 중 오피스용 건물과 병원이 제일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 함.

 

□ 에너지등급제도로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성 높여

 

  2003년부터 도입된 주택에너지등급(House Energy Rating) 제도는 신형 주거 건축물과 아파트에 적용되는 제도로 에너지와 물의 사용량을 절감하도록 만들어진 제도임.

 

  빅토리아주는 2004년부터 5 스타 에너지등급제도 도입을 발표했으며, 2010년부터 신축하는 주거 건축물과 아파트는 의무적으로 6 스타 에너지 등급(6 Star Energy Rating)을 받아야 함.

  - 6 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전기세를 절감하기 위해 냉난방의 효율성을 고려해 주거 건축물을 건설해야 함.

  - 빗물을 저장해 사용할 수 있는 물탱크를 사용해야 하며 태양열 전광판을 이용해 온수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어야 함.

  - 효율성이 높은 샤워 헤드와 수도를 사용해 물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함.

 

  상업용·오피스용 건축물에 대해서는 의무제도는 없지만 2002년 호주그린빌딩카운실(Green Building Council of Australia: GBCA)를 설립해 자발적인 그린스타(Green Star)제도를 소개해 건축업계에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함.

 

□ 자발적 그린스타제도, 지속 확산 예상

 

  2002년 호주 그린빌딩카운실이 설립, 각국의 다양한 시스템을 토대로 그린스타제도를 만들었는데, 특히 영국의 브림(Building Research Establishment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 BREEAM)시스템과 북미의 리드(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LEED)시스템을 토대로 호주의 개발한 독자적인 시스템임.

 

  그린스타는 진행 중인 프로젝트와 완성된 건축물에 등급을 부여함으로써 해당 빌딩이 얼마나 친환경적이고 고효율적인 건물인지를 나타내는 증표임.

  - 그린스타등급프로그램(Green Star Rating Tool)을 사용해 등급을 받을 수 있는 건축 자재와 상품 목록을 확인해 신축 건축물과 프로젝트에 도입할 수 있다고 함.

  - 건축물 프로젝트의 등급 1, 2, 3은 각각 최하, 평균, 양호 프로젝트를 나타내며 가장 기본이 돼야 하기에 별도의 등급을 받지 못한다고 함.

 

  그린스타제도는 자발적 참여로 이뤄지는 등급제도이지만 현재 호주의 많은 건축 프로젝트와 빌딩에 등급을 부여받는다고 함.

  - GBCA에 따르면 호주에는 현재까지 1200만m2 이상의 그린스타등급을 부여받은 건물이 있으며 향후 그 수요는 증가할 것이라고 함.

   

건축 프로젝트와 건축물 등급표

점수

Green Star 등급

등급

10 ~ 19

1 Star

-

20 ~ 29

2 Star

-

30 ~ 44

3 Star

-

45 ~ 59

4 Star

Best Practice

60 ~ 74

5 Star

Australian Excellence

75 이상

6 Star

World Leader

자료원: GBCA 웹사이트

 

□ 그린스타등급 활용한 건축물로 운영비 절감

 

  그린스타를 기준으로 건축물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전기·수도세 등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어 건물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음.

 

  그린스타등급을 적용한 상업용·피스용 빌딩을 건축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고효율적인 건축물을 디자인한다는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 빌딩에 속한 기업 또한 마케팅 효과로 사람들의 관심을 증가시킬 수 있음.

 

  이러한 추세를 보아 그린스타등급을 적극 도입할 프로젝트가 늘어날 것임.

 

멜버른의 6 그린스타등급 프로젝트와 건축물

건축물

특징

카운실 하우스2(CH2: Council House 2)

호주 최초의 6 그린스타등급 건축물

 

통풍 시스템(Displacement ventilation)을 사용, 건물 안으로 직접 외부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해 일하는 사람들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에 도움이 됨.

ANZ Centre

ANZ Centre는 콜린 스트리트에 자리한 은행 건물로 6 그린스타등급을 획득했음.

 

□ 현지에 적용 중인 고효율성 건축자재

 

  현재 사용되는 건축자재 중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은 자재와 재활용할 수 있는 건축 자재의 수요가 높다고 함.

  - 예를 들어 현재 건물에 사용되는 목재와 가구를 다른 건물 프로젝트에 수용함으로써 재활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며 이런 상황으로 장기간 사용 가능한 목재와 가구의 수요가 늘어날 것임.

 

  효율성이 높은 제품 또는 유지비가 적게 드는 건축 자재 또한 등급을 높일 수 있는 방법임.

  - 건축 자재로 쓰이는 전기시스템을 예로 들면 천정복사 냉방시스템(Chilled Beam Cooling System)이라는 제품이 있음.

 

대표적인 그린 자재 - 천정복사 냉방시스템

천정복사 냉방시스템

(Chilled Beam Cooling System)

특징

 건물의 냉방 효율성 향상을 위해 건물 내에서
 발생하는 상승열을 이 냉방시스템이 식혀서
 밑으로 내려보내는 방법으로 건물 내 온도
 조절이 가능함.

 자료원: Virtual Commissioning 웹사이트

 

  빛을 반사하는 천정 자재(High light reflectent ceiling)라는 제품·자재는 태양빛을 대한 반사시켜 건물 내부로 빛을 더 들이게 함으로써 실내 채광을 극대화함. 이 제품을 사용해 낮에 사용하는 전력과 전기를 절감할 수 있다고 함. 이러한 제품·자재를 활용함으로써 건물의 전력 사용량을 절감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기에 수요가 늘어날 것임.

 

대표적인 그린 자재-채광판

채광판 (Light Shelf)

특징

빛을 반사하는 천정자재와 채광판을 함께 사용하면 효율성이 높아져서 채광판의 수요도 높아질 것임.

자료원:Tom’s style 웹사이트

 

□ 시사점

 

  그린스타제도는 현재까지 자발적인 참여로 이뤄지나 현재 진행 중이거나 진행 예정인 건축 프로젝트에 등급을 부여받는 추세가 늘어날 것임.

 

  그린스타등급을 높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건축에 사용되는 자재 선택에 있어 관련 건축자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므로 호주 마케팅 시 고효율 친환경 건축 자재가 제품 홍보가 중요한 판매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임.

  - 우리 기업도 천정복사 시스템과 채광판 등 그린 건축자재 시장 확대에 주목해야 할 것임.

 

 

자료원: 멜버른대학교 건축학 강의 자료, GBCA 웹사이트, KOTRA 멜버른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녹색상품] 호주 친환경・고효율 건축자재 인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