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쿠웨이트, 건축경기 붐 타고 중장비 수요 많다
  • 현장·인터뷰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박한수
  • 2011-09-18
  • 출처 : KOTRA

 

쿠웨이트, 건축경기 붐 타고 중장비 수요 증가 일로

- 한국산 중장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높아 수출 가능성이 큼 -

 

 

 

□ 시장 개요

 

 ○ 쿠웨이트 정부 사회 인프라 투자 증가로 건설 경기가 2008년 이전의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음.

  - 건축 경기가 호조로 각종 건설 장비 수요도 지속 증가하고 있어 우리 중장비의 수출 전망이 좋음.

 

 ○ 민간부분의 건축 경기도 정부 공공 부문의 투자확대에 따른 자금 선순환으로 완연한 회복세를 보임.

  - 주상 복합 빌딩의 신축, 오피스 빌딩의 신축이 늘어나고 있어 크레인 등 건설 장비의 수요도 증가함.

 

 ○ 중동의 민주화 바람으로 정부의 민심 달래기용 서민 정책 또한 건설경기 견인의 한 요소임.

  - 주택난으로 인한 불만이 고조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서민주택 공급정책이 탄력을 받고 있어 관련 기자재의 수출 전망도 밝음.

 

 ○ 쿠웨이트 정부, 주택공사(National Housing Authority: NHA)를 통한 신규 주택 공급과 병행해 민간에 대한 금융 지원을 통해 필요한 주택을 스스로 건축하도록 유도

  - 대규모 주택 공급은 정부 주도로 추진하되 소형 및 일반 주택은 자금 공금을 통한 자가 건축 유도

 

 ○ 정부의 재건축 장려정책 또한 건축경기 견인의 중요한 요소로 25년 이상된 오래된 빌딩을 허물고 새로 건축하는 붐이 일고 있음.

  - 정부는 재정 지원을 통해 건물주가 노후화된 건물을 허물고 신축하거나 리모델링하도록 유도

 

 ○ 수요가 많은 건설 중장비는 Tower crane, Crane, Excavators, wheel loaders 등이며, 내장재 등 일반 건축자재의 수요도 회복 국면임.

  - 건설 중장비는 신규 수요와 함께 중고 장비의 수요도 증가하는데, 이는 인근 지역의 유휴장비의 도입을 통해 현장에 즉시 투입이 가능하기 때문으로 보임.

 

□ 경쟁 동향

 

 ○ 미국,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 선진국 제품의 수요가 높은 가운데 저렴한 중국 제품의 시장 진출이 활발한 상황임.

  - 치열한 입찰 경쟁으로 프로젝트 계약이 예가의 60~70% 수준에서 이뤄지고 있어 비용 절감 차원에서 저가 장비 활용이 늘어남.

 

쿠웨이트의 건설용 중장비 수입 실적

                              (단위: 천 달러)

국가

2006

2006

2008

중국

-

597

19,630

USA

3,690

7,539

32,490

벨기에

3,701

-

-

영국

2,793

-

-

대한민국

-

-

2,301

독일

8,797

18,367

15,516

이탈리아

370

385

6,542

일본

10,036

5,552

-

프랑스

7,333

-

-

기타

19,316

19,988

28,929

합계

56,036

52,428

105,408

자료원: 쿠웨이트 통계청, HS 8426.20, 8429.59 기준

 

 ○ 유럽산 제품의 시장 인지도가 높은 이유는 품질에 대한 소비자 신뢰가 높고 A/S가 신속하기 때문임.

  - 쿠웨이트 수입상들은 유럽산에 대해 높은 브랜드 로열티를 보이고 있어 중장비 공급처를 쉽게 바꾸지 않음.

 

 ○ 중장비 수입상이 고려하는 구매 결정요소는 종류에 따라 다소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가격, 품질, A/S 등 부품 공급능력 등인 것으로 나타남.

  - 중장비는 고가이고 지속적인 A/S와 부품 공급이 가능해야 하므로 지리적으로 인접한 유럽 제품이 시장에서 인지도가 높음.

 

□ 수입규제 및 관세

 

 ○ 특별한 수입규제는 없음.

 

 ○ 수입관세: 인보이스 가격의 5%

 

□ 시장 진출 방안

 

 ○ A/S에 대한 신뢰도 제고를 통해 수입상의 근심 해소

  - 더운 날씨, 부주의한 관리 등으로 부품 마모가 심하고 A/S 수요가 높으므로 A/S 및 신속한 부품 공급에 대한 보증이 구매의 중요한 요소

 

 ○ 입찰시장에도 관심을 가져 볼만

  - 정부 부문은 입찰을 통해 장비를 구매하므로 현지 에이전트를 통한 입찰시장 진출에도 관심을 가져볼 만해

 

 ○ 철저한 에이전트 관리

  - 현지 시장에 밝은 에이전트 선정을 통해 효율적으로 시장을 관리해야 함.

 

 ○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해 제품 인지도 제고 노력 필요

  - 관련 전시회 참가를 통해 중국산 제품과의 차별화 등 제품 이미지 제고 노력이 필요함.

 

 

자료원: 중장비 수입상 인터뷰 등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쿠웨이트, 건축경기 붐 타고 중장비 수요 많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