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쿠웨이트, 엘리베이터 수입규모 증가
  • 트렌드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김익환
  • 2010-03-07
  • 출처 : KOTRA

 

쿠웨이트, 엘리베이터 수입규모 증가

- 철저한 A/S 및 하자보증이 수출의 관건 -

 

 

 

□ 시장 동향

 

 o 쿠웨이트에서 주택공급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해당 관청(National Housing Authorities, NHA)이 다수 프로젝트를 진행 중. 금융권은 주택 등의 시설을 마련하고자 하는 쿠웨이트인에게 상환이 용이한 융자를 제공하고 있음. 건설부문이 여러 영역에서 활발히 움직이고 있어 엘리베이터 등 건설 자재와 관련된 제반 품목의 수요가 많은 편임.

 

 o 현재 쿠웨이트는 건설붐이 일고 있고 신규 주거 및 상업 복합 건물이 다수 건축되는 중. 따라서 현지 시장에서 각종 엘리베이터와 관련 부속 등의 수요가 많은 상태. 각종 건설관련 품목에 기회가 많은 편임.

  - 승강기는 신규 건물, 고층 빌딩, 상업 복합 건물 등에 필수적인 품목이기 때문에 수요가 많음.

 

 o 현지에서는 대부분 유럽산 승강기가 시장을 점유한 가운데, 극동 국가의 제품도 시장에 진입하고 있음. 일부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가격의 제품을 필요로 하고 극동 국가제품이 자신들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고 판단해 서서히 수입선을 바꾸는 실정으로 경쟁력 있는 가격 조건과 판매 후 서비스 등 기타 편의를 제공해 잠재 바이어들을 유치한다면 한국 관련 제품의 시장 진입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음.

 

 o 승강기는 대개 싱가포르, 한국, 중국, 이탈리아, 스페인 등에서 구매하며, 이들 제품이 어느 정도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한 상태임. 엘리베이터 안전벨트(rope gripper)의 경우 대개 이탈리아, 미국, 터키에서 엘리베이터 부속으로 수입되는데 이탈리아 제품은 현지 엘리베이터 시장에서 50% 이상을 점유함.

  - 한편 한국산 엘리베이터 및 기타 상표의 한국 업체 제품도 수요가 많이 있는 편임.

 

 o 주요 상표는 Telcal(이탈리아), Elex(이탈리아), Faer(이탈리아), LVT 엘리베이터(이탈리아), Fupa 승강기(터키), Autur(스페인), Shervill(미국), Cean(이탈리아), Thissen(독일), Orona(스페인), Sabin(이탈리아), Axel(이탈리아), Cenia(스페인) 등임.

 

□ 수입동향

 

개인 및 물품 운반용 승강기(HS Code 84281000)

(단위 : US$ 천)

국가

2004

2006

2007

이탈리아

8,255

-

-

스페인

4,185

6,645

-

한국

4,279

-

6,397

중국

-

11,085

8,221

싱가포르

-

5,138

10,756

기타

11,897

18,347

30,278

총계

28,616

41,215

55,652

자료원 : 쿠웨이트 기획부

주 : 2005년 통계는 발표치 않음.

 

□ 시장진출 TIP

 

 o 쿠웨이트에 제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해외 업체는 현지 시장 요건을 잘 이해하고 경험이 많은 에이전트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쿠웨이트 상법은 해외업체를 대표하는 권리를 쿠웨이트인에게만 부여해 해외 수출업체의 이익이 보호됨.

  - 제품 원산지

     쿠웨이트로 수출되는 모든 제품은 반드시 탈부착되거나 교체되지 않는 방식으로 원산지를 표기해야 함. 그렇지 않으면 제품들은 세관을 통과할 수 없는데 이러한 법은 일부 유명 상표의 복제품을 막기 위해 적용됨.

  - 전자 제품 관련 특기 사항

     전기 공구, 모터, 전자 제품은 240V㎐ 전압(±5%), 50㎐ 주파수의 쿠웨이트 표준기술 사양을 따라야 함.

  - 안전

     제반 안전 관련 장비와 엘리베이터는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안전검사 인증서를 쿠웨이트 소방부(Kuwait Fire Department)에 제출해야 하며 이 기관에서 승인을 받은 후 해당 제품을 설치할 수 있음.

 

□ 유통구조 및 관세

 

 o 유통망

   제조업체(혹은 수출업체) -> 최종 소비자

 

 o 관세

   5%(CIF 기준), 기타 수입관세 없음.

 

□ 현지에서 이용되고 있는 주요 엘리베이터 상표

 

상표

원산지

Telcal

이탈리아

Elex

이탈리아

Faer

이탈리아

LVT

이탈리아

Cean

이탈리아

Sabin

이탈리아

Axel

이탈리아

IGV

이탈리아

Autur

스페인

Orona

스페인

Cenia

스페인

Fupa

터키

Thissen

독일

Shervil

미국

EL-Tech

대만

주 : 승강기 유형, 사양, 용량, 선택사항 등이 원산지 별로 다양해

해당가격 파악이 매우 어려움

 

□ 현지시장 진출을 위한 유의사항

 

 o 현지시장의 구조적 상황에서의 주의사항

   - 유망 에이전트 선정

     현지 상거래는 에이전트를 통해 수행하게 돼 있으므로 시장진출의 성패는 얼마나 유능한 에이전트를 선정하느냐에 달렸음. 따라서 전국적인 유통망 보유는 물론 영향력 유무도 반드시 확인해야 함.

  - 소규모 오더에 적극 대응

     여타 중동국의 바이어와 마찬가지로 비즈니스 초기단계에는 소규모 오더로 진행하다가 신뢰관계가 구축되면 대규모 오더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음. 그러나 우리 업체들의 경우에는 소규모 오더에 실망한 나머지 지속적인 관계구축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많으므로 유의해야 함.

  - 거래 시 문서로 명확히 주요 거래 제의는 말로 하지 말고 반드시 문서를 남겨둬야 클레임이 발생할 경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 현지인들은 자기편의 위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접촉 시 반드시 맺고 끊는 것을 정확히 해야 하는 냉정함이 필요함.

 

 o 바이어 요망사항

  - 원활한 A/S

     바이어들은 유로화 강세로 수입선 전환을 모색하지만 신규 수입선이 기존 수입선처럼 A/S를 잘해줄지 의문시된다고 함.

  - 독점 에이전트 체결 희망

     에이전트 체결을 희망하되 가능한 한 독점을 희망

 

 o 한국업체 및 제품과 관련 개선해야 할 사항

  - 철저한 A/S

     한국업체는 일단 제품을 판매하고 나면 A/S에 소홀한 경향이 있음. 장기적인 시장관리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기술자 파견 등 철저한 A/S가 급선무

 

 o 충분한 보증기간

    현재 주로 1년으로 돼 있는 보증기간을 최소한 2년 이상으로 연장

 

 

자료원 : 현지 수입 에이전트 및 건설기자재 수입 바이어 및 2009 BUY KOREA 수출상담회 참가 바이어 의견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쿠웨이트, 엘리베이터 수입규모 증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