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유럽 6대 자동차 메이커 중 5개사 판매 플러스 성장
  • 트렌드
  • 벨기에
  • 브뤼셀무역관 김선화
  • 2010-01-18
  • 출처 : KOTRA

 

유럽 6대 자동차 메이커 중 5개사 판매 플러스 성장

- 2009년 유럽 신차 등록현황 -

 

 

 

□ 2008년 하반기와 2009년 상반기의 판매급감에 이어, 하반기에는 유럽의 신차등록이 수치상으로는 다소 회복됐음.

 

 ㅇ 물론 이는 신차 수요의 순수한 회복이라기보다는 유럽 각국이 취한 폐차지원조치에 따른 인위적인 수요로, 유럽자동차제조업자협회(ACEA)가 1월 15일 발표한 ‘2009년 신차 등록대수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유럽(EU+EFTA, 즉 유럽 28개국)의 2009년 신차 등록대수는 1448만1545대로 2008년보다 1.6% 감소, 2007년보다 9.5% 감소했음.

     

□ 회원국별 신차 등록현황

     

 ㅇ 서유럽의 경우 오스트리아(8.8%), 프랑스(10.7%), 독일(23.2%)에서만 2008년 대비 플러스 성장을 했는데 모두 폐차 인센티브정책 때문으로 분석됨. 이탈리아(-0.2%), 영국(-6.4%), 스페인(-17.9%)의 경우 유사한 이유로 비록 마이너스 성장을 하긴 했으나 감소폭이 둔화된 것으로 ACEA는 전함.

  - 서유럽에서의 총 판매는 1363만2918대로 전년 대비 0.5% 증가했음.

     

 ㅇ 가입국의 경우 체코(12.5%), 슬로바키아(6.7%)에서만 판매가 크게 늘었는데 이 지역은 전체적으로 전년 대비 26.6% 줄었으며, 판매대수는 115만6169대였음.

     

 ㅇ 폐차지원제도는 특히 영국과 프랑스에서 큰 성과를 거뒀으며, 이 두 국가에서만큼은 아니지만 독일에서도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ACEA는 분석함.

     

유럽국가별 2009년 판매현황

            (단위 : 대수, %)

국가

2009.1~12.

2008.1~12.

변화율(09/08)

오스트리아

319,403

293,697

+8.8

벨기에

476,194

535,947

-11.1

덴마크

112,271

150,197

-25.3

핀란드

90,574

139,669

-35.2

프랑스

2,268,671

2,050,282

+10.7

독일

3,807,175

3,090,040

+23.2

그리스

220,548

267,242

-17.5

아일랜드

57,460

151,607

-62.1

이탈리아

2,158,010

2,161,682

-0.2

룩셈부르크

47,265

52,359

-9.7

네덜란드

387,679

499,918

-22.5

포르투갈

160,996

213,389

-24.6

스페인

952,772

1,161,176

-17.9

스웨덴

213,408

253,982

-16.0

영국

1,994,999

2,131,795

-6.4

유럽연합(EU15)

13,267,425

13,152,982

+0.9

아이슬란드

2,020

9,033

-77.6

노르웨이

98,675

110,617

-10.8

스위스

264,798

288,557

-8.2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365,493

408,207

-10.5

EU15+EFTA

13,632,918

13,561,189

+0.5

불가리아

22,869

45,143

-49.3

체코

161,659

143,661

+12.5

에스토니아

8,234

24,347

-66.2

헝가리

78,590

158,328

-50.4

라트비아

3,745

19,192

-80.5

리투아니아

7,003

21,514

-67.4

폴란드

320,119

319,922

+0.1

루마니아

115,979

285,489

-59.4

슬로바키아

74,717

70,040

+6.7

슬로베니아

55,712

68,533

-18.7

유럽연합(New Members)

848,627

1,156,169

-26.6

유럽연합

14,116,052

14,309,151

-1.3

합계(EU+EFTA)

14,481,545

14,717,358

-1.6

자료원 : ACEA

     

□ 제조업체별 판매현황

     

 ㅇ 6개의 톱 제조업체 중 5개사가 폐차지원제도 효과로 2009년을 플러스 성장으로 마감했는데, 이 5개 사는 폴크스바겐, PSA, 포드, 르노, 피아트임.

  - 주요 제조업체 중에서는 오직 GM만이 마이너스 성장을 했음.

  - 이 외에도 도요타(-4.7%), BMW(-13.6), 다임러(-13%) 등은 마이너스 성장을 했음.

     

 ㅇ 시장점유율면에서 최대 업체는 역시 폴크스바겐 그룹으로 연간 306만2774대를 판매하면서, 총 판매의 21.1%를 차지했음. 아울러 전년 대비 0.7%의 플러스 성장을 했음.

  - 이어 PSA 그룹이 186만5263대로 12.9%를 차지했으며, 3위 기업은 시장점유율 10.3%의 Ford 그룹으로 148만6338대임. 이어 르노(시장점유율 9.2%), GM(8.9%), FIAT(8.7%), 도요타(5%), BMW(4.9%) 순임.

  - 피아트 그룹의 경우 Punto 모델 판매호조가 피아트 판매선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됨.

     

 ㅇ 한국차의 경우 현대는 2009년 한 해 동안 34만1837대를 판매해 26.6% 증가하면서 시장점유율이 전년의 1.8%에서 2.4%로 늘어났고, 기아 역시 25만2403대 판매해 5.8% 증가하면서 시장점유율이 0.1%포인트 늘어난 1.7%를 차지했음.

     

 ㅇ 도요타를 포함한 일본차들은 닛산(9%), 스즈키(0.6%)를 제외하고는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해 부진했음.

 

제조업체별 2009년 판매현황

제조업체

점유율

판매대수

증감률(%)

'09

'08

'09

'08

09/08

All Brands

 

 

14,481,545

14,717,358

-1.6

VW Group

21.1

20.7

3,062,774

3,040,295

+0.7

VOLKSWAGEN

11.4

10.7

1,649,931

1,573,811

+4.8

AUDI

4.2

4.5

612,393

664,167

-7.8

SEAT

2.2

2.3

316,928

336,274

-5.8

SKODA

3.3

3.1

481,458

462,485

+4.1

Others

0.0

0.0

2,064

3,558

-42.0

PSA Group

12.9

12.7

1,865,263

1,866,155

-0.0

PEUGEOT

6.9

6.9

995,130

1,008,156

-1.3

CITROEN

6.0

5.8

870,133

857,999

+1.4

FORD Group

10.3

9.9

1,486,338

1,456,593

+2.0

FORD

8.9

8.4

1,283,602

1,232,952

+4.1

VOLVO

1.4

1.5

202,736

223,641

-9.3

RENAULT Group

9.2

8.7

1,335,766

1,286,205

+3.9

RENAULT

7.6

7.5

1,097,854

1,102,008

-0.4

DACIA

1.6

1.3

237,912

184,197

+29.2

GM Group

8.9

9.6

1,284,283

1,405,990

-8.7

OPEL/VAUXHALL

7.4

7.8

1,064,723

1,155,044

-7.8

CHEVROLET

1.3

1.2

190,715

180,847

+5.5

SAAB

0.2

0.4

26,567

64,913

-59.1

GM

0.0

0.0

2,278

5,186

-56.1

FIAT Group

8.7

8.0

1,254,829

1,180,562

+6.3

FIAT

7.0

6.5

1,016,340

957,831

+6.1

LANCIA

0.8

0.8

121,549

114,012

+6.6

ALFA ROMEO

0.8

0.7

110,545

102,306

+8.1

Others

0.0

0.0

6,395

6,413

-0.3

TOYOTA Group

5.0

5.2

730,831

766,884

-4.7

TOYOTA

4.9

5.0

710,369

738,670

-3.8

LEXUS

0.1

0.2

20,462

28,214

-27.5

BMW Group

4.9

5.6

708,109

819,946

-13.6

BMW

4.0

4.6

572,091

675,959

-15.4

MINI

0.9

1.0

136,018

143,987

-5.5

DAIMLER

4.8

5.4

689,177

791,969

-13.0

MERCEDES

4.1

4.7

593,088

688,058

-13.8

SMART

0.7

0.7

96,089

103,911

-7.5

NISSAN

2.5

2.3

366,711

336,321

+9.0

HYUNDAI

2.4

1.8

341,837

269,931

+26.6

KIA

1.7

1.6

252,403

238,643

+5.8

SUZUKI

1.7

1.7

250,309

248,926

+0.6

HONDA

1.7

1.8

244,693

265,225

-7.7

MAZDA

1.5

1.7

211,100

243,912

-13.5

MITSUBISHI

0.7

0.8

98,193

119,417

-17.8

JAGUAR LAND  ROVER Group

0.6

0.7

86,026

109,797

-21.7

LAND ROVER

0.4

0.5

56,556

72,976

-22.5

JAGUAR

0.2

0.3

29,470

36,821

-20.0

CHRYSLER

0.4

0.6

54,344

93,132

-41.6

Other

1.1

1.2

158,560

177,455

-10.6

자료원 : ACEA

     

□ 2009년 베스트셀링 차량

     

 ㅇ 폴크스바겐 그룹의 Golf가 2009년에도 2008년에 이어 가장 많이 판매된 넘버원 차량이었음. 이어 포드의 Fiesta가 푸조의 207, 르노의 Clio를 능가한 2위를 차지했음. Fiesta는 실제로 판매대수와 무관하게 2009년의 최대 수혜자로 꼽힘.

     

 ㅇ 한편 Fiesta, 푸조 207, 르노 Clio 등 세 모델은 모두 유럽 각국의 폐차지원제도 효과를 톡톡히 본 것으로 자동차 전문지인 Automotive News Europe는 봄.

     

2009년의 Top 베스트셀링 차량

순위

차량 모델

판매대수

2008년 대비 증가율

1

폴크스바겐 골프

571,838

23.9%

2

포드 Fiesta

472,091

44%

3

Peugeot 207

367,160

-9.7%

4

Renault Clio

312,925

-6.8

5

폴크스바겐 폴로

282,780

2.4%

6

오펠 Corsa

351,807

-2.5%

7

포드 Focus

309,134

-15.1%

8

피아트 Panda

298,914

33.8%

9

피아트 Punto

323,536

15.9%

10

오펠 Astra

275,638

-14.1%

자료원 : Automotive News Europe

 

 ㅇ 한편 2000년 이후 Top-selling 차량은 다음과 같음.

  - 폴크스바겐 골프(2009, 2008), Peugeot 207(2007), 오펠 Astra(2006, 2005), 폴크스바겐 골프(2004), Peogeot 206(2003, 2002), 폴크스바겐 골프(2001, 2000)

     

     

자료원 : ACEA, Automotive News Europe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럽 6대 자동차 메이커 중 5개사 판매 플러스 성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