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캐나다, 농어촌 소매판매시장을 잡아라
  • 경제·무역
  • 캐나다
  • 토론토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9-05-14
  • 출처 : KOTRA

     

캐나다, 농어촌 소매판매시장을 잡아라

- Home Depot 등 대형 소매판매기업도 농어촌시장 진출 확대 계획 중 -

     

     

     

□ 캐나다 농어촌마을 인구 현황

     

 ○ 캐나다 농어촌마을 인구 600만 명에 달해

  - 2006년 캐나다 인구조사에 의하면 1만 명 이하의 농어촌마을 인구는 총 600만 명에 이르며, 이러한 수치는 1981년부터 지속적으로 이어졌음.

  - 이러한 소규모 농어촌마을의 인구는 소도시(1만~9만9999명)에 거주하는 410만 명보다 많은 수치임.

  - 1981년부터 온타리오·브리티시 컬럼비아·앨버타·매니토바·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 주의 농어촌마을들의 인구는 증가함.

     

 ○ 농어촌마을 인구 증가 원인은 귀농인구 증가

  - 상기 언급한 주에 속한 농어촌마을들의 인구 증가 원인은 각박한 도시를 떠나 보다 저비용으로 조용한 삶을 살고자 하는 은퇴자들의 귀농 증가로 밝혀짐.

  - 2006년 캐나다 인구조사에 의하면 65세 이상의 노인은 캐나다 전체 인구의 13.2%인 430만 명으로 집계됐으며, 이러한 수치는 과거 2001년 인구조사보다 11.5% 상승한 수치임.

  - 캐나다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6년에는 전체인구의 21.6%를 이루고 2056년에는 전체인구의 29.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

     

주별 65세 이상 노인인구 전망

자료원 : 캐나다 통계청

 

캐나다 전체 65세 이상 노인인구 현황 및 전망

자료원 : 캐나다 통계청

     

□ 캐나다 농어촌마을 소매시장 현황

     

 ○ 캐나다 농어촌마을 소매시장 배경지식

  - 소규모 농어촌마을 주민들은 대부분 카탈로그나 인터넷, 혹은 주변 도시로의 원정 등을 통해 쇼핑을 해옴.

  - 캐나다 최대의 하드웨어 협동조합인 TruServ, 가정 및 농업 관련 하드웨어업체인 TSC Stores, 식품판매점인 The North West Company 등은 오래 전부터 이러한 농어촌마을을 중심으로 다수의 체인을 형성. TruServ는 캐나다 전역에 650개의 지점을 소유했으며, 300년 역사를 자랑하는 The North West Company는 전체 222개의 지점 중 200여 개가 외딴 농어촌마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됨.

     

 ○ 대형 소매업체들의 농어촌마을 소매시장 진출 현황

  - 한편 최근에는 도시지역에서 활동하던 대형소매업체들도 도시시장 포화 탈피를 위해 소규모지점 설립을 통해 농어촌마을 소매시장에 진출하고 있음.

  - 북미 최대의 건축 및 홈하드웨어 판매업체인 Home Depot는 도시에 있는 지점들보다 작은 규모의 지점들을 농어촌마을에 열고 있으며, 2008년에도 노바스코샤주의 New Minas와 온타리오주의 Parry Sound에 지점을 오픈함.

  - Home Depot의 경쟁업체인 Canadian Tire도 2009년부터 수년간 100여 개의 소규모지점을 캐나다 전역의 농어촌마을에 오픈할 계획임.

  - 북미 최대의 사무용품 판매업체인 STAPLES는 2007년 12월, 파일럿 프로젝트로 첫발을 내디딘 STAPLES Express(일반지점의 절반 규모)의 2번째 지점을 2008년 7월, 온타리오주의 Parry Sound에 오픈함.

  - STAPLES의 세일즈팀 John Castiglione 부사장은 유가 변동폭 증가, 시간적 여유 감소, 환경에 대한 인식 전환 등으로 인한 로컬 구매활동 증가로 인해 소규모 농어촌 소매시장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함.

  - 한편 라이어슨 경영대학교의 Ken Jones 학장은 2000년대 초반부터 여성의류 전문점 Penniongton's, 스포츠웨어 전문점 Athlete's World, 생활용품 및 약품 소매점인 Shopper's Drug Mart 등의 농어촌마을을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신규지점 오픈과 매출 확대는 소규모 농어촌마을 소매시장의 꾸준한 성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전함.

     

□ 캐나다 농어촌마을 소매시장 확대 요인

     

 ○ 인터넷 판매 부진

  - 처음에는 인터넷이 농어촌마을 주민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면서 편리함과 넓은 구매 선택의 폭을 제공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넓은 지리적 요건에 의한 배송 문제, 현장 구매를 선호하는 캐나다 농어촌 소비자 특성 등으로 인해 인터넷 판매는 예상만큼의 결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한편 컨설팅회사인 J.C. Williams Group의 Maureen Atkinson 소매판매 컨설턴트에 따르면 관련 회사들의 웹사이트가 온라인상의 판매보다 스토어에서의 직접 구매 전의 리서치 도구로 많이 활용된다고 밝힘.

  - 이를 반영하듯 2009년 1월부터 Canadian Tire는 자사 웹사이트를 통한 판매를 중단한다고 발표했으며, STAPLES의 경우 현재의 다방면 멀티채널 판매 방식을 유지할 것이나 STAPES Express와 같은 소규모지점을 통해 농어촌마을 소매시장 진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힘.

     

 ○ 농어촌마을 주민들의 높아진 제품 및 서비스 기대치

  - 도시로부터의 인구 유입 증가로 인한 도시적 소비형태 확산은 쇼핑에 있어서 별로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던 기존 농어촌마을 주민들의 제품 및 서비스 기대치를 업그레이드함.

  - 산골마을인 Labrador City의 월마트 지점 Corey Legge 매니저는 대도시 주민들과 마찬가지로 농어촌마을 주민들도 다양한 신제품, 저렴한 가격, 신속한 체크아웃과 반환 서비스 등을 기대한다고 전함.

     

□ 농어촌마을 소매시장 진출 시 고려할 사항

     

 ○ 도시보다 무형가치 더욱 중시

  - 캐나다 토론토의 Bensimon Byrne 광고 에이전시에 따르면 캐나다 농어촌마을 소비자들은 구매 결정 시 회사의 브랜드, Comfort, 애국주의, 지역사회 참여도 등의 무형가치를 도시주민들보다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함.

  - 일례로 North West Company의 경우 새로운 농어촌마을 진출 시 지역 스토어 인수 전략을 많이 활용하며, 원주민(First Nations)지역으로의 진출 시에는 토지 공동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등을 통해 지역주민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는 노력을 하는 것으로 밝혀짐.

  - 또한 이 회사는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새로운 지점 설립 전 때때로 그와 관련한 찬반 주민투표 실시를 요청하기도 하며, 본사 차원에서의 전국적인 자선활동뿐만 아니라 지점의 재량으로 꾸준한 지역사회 스폰서십과 기부활동 등을 통해 회사의 무형가치를 향상시키고 있음.

  - 이 외에도 이 회사는 새로운 가게나 지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파악한 후, 100% 현지채용 등과 같이 지역경제와 상생하는 방안을 모색하며, 지역사회와의 좋은 관계 구축에 힘쓰고 있음.

     

 ○ 지역적 특색 맞추기

  - 농어촌마을 소매시장에 진출한 업체들은 모두 지역적 선호도와 특색에 따른 알맞은 상품 배치와 지역의 경제성향과 상황을 고려한 마케팅 활동을 성공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음.

  - 이밖에 Canadian Tire의 David Hicks 스토어 디자인 및 판매 부사장은 고용부문에서도 농어촌마을은 도시와 다르며, 일례로 이 회사의 농어촌마을 지점들은 대부분 파트타임 직원 채용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이 지점들의 정직원 채용 비중은 60%로 도시지역 지점들의 40%보다 더욱 높다고 전함.

  - 그는 또한 농어촌마을 지점들은 항상 스토어 관리와 수리부문에 있어 숙련된 근로자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재배치와 관리가 쉬운 설비장치를 통해 이를 극복하고 있다고 전함.

  - 농어촌마을 지점 담당자들의 역할은 도시지역 담당자들보다 더욱 중요하며, 이들의 상당수는 스토어 배치상품 선정을 비롯한 스토어 운영의 많은 부분에서 도시지역 담당자들보다 더욱 많은 권한과 융통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남.

     

□ 시사점

     

 ○ 한국에서는 경기불황, 정부의 귀농 지원정책, 농어촌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 등으로 인해 귀농을 생각하는 도시인들이 점차 늘고 있음.

  - 2009년 5월, 한국 농업대에서 실시하는 귀농교육 과정은 5.2 : 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그 중 70% 이상이 대졸 이상의 학력에 귀농에 대한 뚜렷한 목적의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남.

   

 ○ 캐나다 농어촌마을의 소매시장을 공략하는 캐나다업체들의 전략은 도시에서의 경쟁 가열로 어려움을 겪는 한국의 소매판매업체들에게 좋은 시장 진출전략을 제공해주고 있음.

     

 ○ 캐나다시장에 물건을 납품하는 한국기업들은 현지 소매판매기업들과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증가하는 농어촌 소매판매시장에 대한 특성을 파악해 공략에 힘써야 할 것으로 보임.

  - 캐나다 농어촌마을 주민들은 도시인들에 비해 자국 제품이나 회사에 더 커다란 가치를 두는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성향을 반영해 한국기업들은 물품 제조 시 캐나다 현지 제조 혹은 유통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이나 Private Label 전략을 통한 캐나다 농어촌 소매판매시장 진출 전략을 고려해야 할 것임.

  - 전통적으로 캐나다 농어촌마을을 중심으로 비즈니스를 확장해온 TruServ, TSC Stores, The North West Company 등을 비롯해 새로 농어촌마을 진출에 나서는 Home Depot 등 대형업체들의 구매선 확보와 가족 성향이 강한 농어촌마을 주민들의 성향을 바탕으로 한 여러 가지 가족 친화적 제품 소개 등도 필요한 시점임.

     

     

자료원 : 캐나다 통계청, Canadian Retailer Magazine, 각 소매판매업체 웹사이트, 토론토KBC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캐나다, 농어촌 소매판매시장을 잡아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