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책]파키스탄, CDM 프로젝트사업 유망
- 경제·무역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정영화
- 2009-04-21
- 출처 : KOTRA
-
파키스탄, CDM 프로젝트사업 유망
- US$ 3억3800만 규모 10건 CDM 프로젝트 추진 중 -
- Biomass 및 Waste 이용한 에너지 발전시설 참여 유망 -
□ 정부정책
ㅇ 파키스탄정부는 환경보존 및 녹색성장을 위해 정부, 시민, 민간단체 등이 공동참여해 '국가환경정책'을 마련함.
- 기후변화 대응 Action Plan 개발과 실행
- 정부 내 CDM 추진 조직 설립
- 효과적인 CDM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정책과 Framework의 개발 및 실행
- Ozon-Friendly 기술의 사용과 홍보
- 몬트리올 협약에 따른 오존층 파괴물질 사용 감축
ㅇ 환경부는 효과적인 CDM사업 추진을 위해 2006년 2월 국가 CDM 실행전략(CDM National Operational Strategy)을 수립하고 2007년 1월 DNA 등 관련 조직을 설립, 운영하고 있음.
ㅇ 또한 환경부는 차량오염배출 기준을 Euro-II 기준에 맞춰 휘발유 사용 차량은 7월부터, 경유 사용 차량은 2012년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함.
□ 분야별 주요 추진대책
ㅇ 에너지분야
- 산악지역에 대한 소형발전소 건설
- 에너지보존 법규 및 기준 마련
- 지역별 에너지자원 정보센터 설립
-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량 확대
· 2006년 현재 17㎿, 2010년까지 880㎿, 2015년까지 1만7000㎿까지 확대
- 2015년까지 고형폐기물(Solid Waste) 발생량 10% 감축
- 국가 에너지 보존상 설립
ㅇ 폐기물처리 분야
- 폐기물 관리(폐기물 매립, 고형폐기물 관리, 재활용, 동물 및 가축폐기물)
ㅇ 폐기물처리 분야
- 육상운송 연료에 청정에너지 도입(CNG : Compressed Natural Gas)
- CNG 충전소 설립 허가 확대
- CNG 충전소를 위한 공급선 확충
- 수입관세 및 판매세 면제
- CNG 장비에 대한 면세
- 디젤연료 CNG 전환 전략
- CNG 버스에 대한 면세
ㅇ 폐기물처리 분야
- 지역 담당자의 훈련 및 능력 제고
- 소규모 발전공장
- 임업 관련 소규모 프로젝트 모니터링
- 유기농법 홍보
- 사막화(Desertification) 관리 기금 설립
* 자료원 : CDM National Operational Strategy
□ 시사점 및 진출방안
ㅇ 파키스탄, CDM사업 참여 유망
- 파키스탄은 아직 환경이나 기후변화와 관련해 국민들의 인식이 충분히 확산되지 않은 상태임.
- 그러나 정부는 교토의정서에서 규정하는 CDM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2006년 CDM사업을 위한 국가운영전략이 수립됐고 2007년 관련 조직과 지침이 마련된 이래 현재까지 10건의 프로젝트가 진행 중임. 금액으로 따지면 3억3800만3300달러에 해당함.
- 파키스탄 CDM 프로젝트의 대부분은 자국기업들이 재원조달을 통해 사업을 추진해 확보된 배출권을 유럽 등의 국가에 판매하는 전략으로 추진돼 국내 관련 기업의 진출이 적극 요망됨.
ㅇ 전력발전분야 CDM 프로젝트, 국내기업에 기회
- 파키스탄의 전력 수급현황은 매년 악화되고, 2008년 한 해에만 2500㎿의 전력공급 부족현상이 발생함.
- 2007년 파키스탄의 첫 CDM 프로젝트 개시 후 화석에너지에 대한 대체에너지 발전분야 CDM 프로젝트가 금액 기준 전체의 약 65%, 2억1800만7900달러에 달함.
- 파키스탄 정부의 전력난 해소를 위한 정책 의지를 감안할 때 향후 전력분야에서 CDM 프로젝트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ㅇ 정책은 선진국…실행은 미온적
- 정부는 쓰레기 처리, 상하수도, 차량 배출기준 등은 선진국 수준으로 정했으나 예산 및 인력 부족으로 실제 실행은 거의 되지 않음.
- 정부가 최근 차량 배출가스 기준에 Euro-II 기준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대부분 시민들은 탁상공론으로 치부할 정도로 정부 정책이 신뢰를 잃고 있음.
- 따라서 정부 프로젝트라고 반드시 시행된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예산반영 여부 및 프로젝트의 구체성 등을 면밀히 검토해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자료원 : Ministry of Environment, 카라치KBC 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정책]파키스탄, CDM 프로젝트사업 유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멕시코 원자력 발전, 2026년까지 8개 원자로 신설 검토
멕시코 2009-04-21
-
2
[산업기술] 중국의 그린에너지 산업현황
중국 2009-09-28
-
3
[건설/플랜트]콜롬비아, Bucaramanga 댐 건설 박차
콜롬비아 2009-04-25
-
4
인도네시아 정부 민관합작(PPP) 프로젝트 동향
인도네시아 2021-12-27
-
5
베트남, 한국 건설기업 진출시 ODA 적극 활용
베트남 2009-01-09
-
6
美, 불황속에서도 거침없이 성장하는 비디오게임 시장
미국 2010-05-18
-
1
2024년 파키스탄 IT 산업 정보
파키스탄 2024-09-06
-
2
2024년 파키스탄 자동차산업 정보
파키스탄 2024-07-09
-
3
2023년 파키스탄 IT산업 정보
파키스탄 2023-10-31
-
4
2023년 파키스탄 농업 시장 정보
파키스탄 2023-09-06
-
5
2022년 파키스탄 제약산업 정보
파키스탄 2022-09-15
-
6
2022년 파키스탄 자동차 산업 정보
파키스탄 2022-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