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산업기술] 중국의 그린에너지 산업현황
  • 경제·무역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09-09-28
  • 출처 : KOTRA

 

중국의 그린에너지 산업현황

- 그린에너지산업 투자 신속히 증가추세 -

- 풍력, 태양광, 원자력 등 분야별 현황 -

 

 

 

편집자주 : 1편 중국의 그린에너지산업 지원정책에 이어 산업현황을 나눠 풍력, 태양광, 원자력 분야별 산업현황을 2편에 게재함.

 

□ 그린에너지산업 시장규모

 

 ㅇ 중국 에너지자원 중 청정연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5%에 불과하지만 5년 후에는 10%를 차지할 것이며, 20년 후에는 25%에 달할 것으로 전망

 

 ㅇ 중국 재생가능자원과 신에너지 증가율은 25% 이상이며 주로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생물에너지가 이용됨. 중국은 생물에너지자원을 중시하지만 규모가 크지 않음.

  - 2008년 재생가능자원 이용량은 2억5000만 톤이며, 1차 에너지소비 총량의 약 9%를 차지함.

  - 중국공정조(中工程院)의 예측에 의하면 현재 중국의 재생가능에너지 개발 총량은 1억9000만 톤(표준석탄)임. 2020년에는 6억 톤(표준석탄),2050년에는 17억 톤(표준석탄)에 달할 것으로 예상

  - 2020년 중국 태양광발전력이 500만㎾, 풍력에너지 발전력이 5000~8000만㎾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그 외 1000만 톤 생물에너지가 석유를 대체할 것임.

 

 ㅇ 신에너지산업 투자가 신속 증가추세

  - 중국정부는 신에너지산업의 투자는 GDP 성장에 비례해 증가해야 한다는 계획 마련

  -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통계에 의하면 중국 신에너지와 재생가능에너지 투자액은 2006년에는 600억 위앤, 2007년에는 800억 위앤에 달했음. 국무원 "국가환경보호 '11.5'계획" 발전목표에 따르면 "11.5계획" 기간 환경보호투자는 동기 GDP의 1.35%에 달할 것이며 GDP 증가에 따라 투자규모도 증가할 것임.

  - 국가정보중심에서 2009년 7월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10년, 즉 2020년까지 중국 재생가능에너지 투자는 3억 위앤을 돌파할 것이라고 예상

  - 중국과학기술부 마숭더 전임 부부장은 2008년 금융위기 이래 2009년 3월까지 중국 풍력에너지에 대한 투자는 88% 증가했으며, 원자력 에너지 투자는 72% 증가했다고 밝힘.

 

□ 태양광

 

 ㅇ 풍부한 태양광에너지 보유

  - 2/3 국토면적의 전년 일조시간이 2200시간 이상에 달함. 또한 사막면적이 커 태양광에너지 발전은 무한한 잠재력이 있음.

  - 2007년 중국 에너지산업 규모는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2008년 불황 속에서도 30%의 증가율 유지

  - 2008년 중국 국내시장에서 태양광에너지 설비매출액이 17억6600만 위앤이며 전년 동기 대비 70.62% 증가함.

 

 ㅇ 태양에너지 배터리 생산대국 부상

  - 2008년 실리콘 태양광배터리 생산량은 세계 총 생산량의 26%인 1.78GW로 세계 1위를 차지했음.

  - 2008년 중국 태양에너지 배터리생산량은 2300㎿이며 98% 가량이 해외수출되고 국내사용량은 50㎿에 불과

  - 현재 준비 중인 폴리실리콘(태양에너지 배터리의 일종)프로젝트가 생산에 투입되면 생산량이 14만 톤에 달할 것임. 중국투자컨설팅(中投顧問)에너지연구부의 통계에 의하면 현재 중국에서 20개 폴리실리콘 프로젝트를 건설하고 있으며 총 투자액은 700억 위앤 초과

  - 도시 난방 및 옥상 태양광 계획을 상하이, 베이징, 광둥, 장쑤, 산둥 등 대도시에서 중점적으로 실시함. 2010년에는 전국 태양광에너지 발전 총량이 5만㎾에 달할 것으로 전망

 

 ㅇ 태양열온수기 생산 및 사용 대국

  - 2008년 태양열온수기 연간 생산력은 4000만㎡에 달하며, 전국 태양열온수기 누적사용량은 1억2500만㎡를 초과했고 세계 총사용량의 60% 이상을 차지함.

 

 ㅇ 중국 태양광에너지 기술현황

  - 2008년까지 중국에는 500여 개 태양광 기업과 연구개발소가 있으며, 폴리실리콘원료기업이 20여 개 있고 대형기업은 부족한 편임.

  - 중국의 폴리실리콘 원자재 제조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함. 국내 관련 기업은 기술수준도 낮으며 규모도 작지만 중국의 실리콘칩 등 생산기술은 높은 편임.

  - 비정질 실리콘 태양에너지 배터리는 결정질 실리콘전지에 비해 원가우위에 있지만 중국은 기술 부족으로 비정질 실리콘 태양에너지 배터리 원자재 TCO를 수입에만 의존했음.

   · 2008년 항저우 란싱 신재료기술 유한회사(星新材料技術有限公司) 관련 생산기술을 연구했으며 대량생산단계로 진입하면서 일본, 미국의 이 기술 독점구조를 바꾸고 있음.

  - 2009년 중국이 자체연구개발한 "건축용 대형 태양광에너지 부품"은 세계에서 가장 큰 비정질 실리콘 태양광에너지 프로젝트이며 275㎾ 옥상 태양광 프로젝트가 산둥성 웨이하이시에서 착공. 이 프로젝트는 성능이 높으며 건축 커튼월, 지붕 등에 응용됨.

 

□ 풍력

 

 ㅇ 2006년 중국 지상 풍력에너지 총 매장량은 42억㎾, 개발가능량은 3억㎾이며 근해의 풍력에너지자원 개발 가능량은 7억5000만㎾임. 실제 풍력에너지 개발 가능 총 매장량은 10억㎾ 이상에 달함.

  - 중국 풍력에너지는 ▷동남연해 및 부근의 섬 ▷신장, 내몽고, 간쑤(甘肅)저우랑(走廊), 동북, 서북, 화북지역 ▷청장고원 등 부분적 지역에 분포. 풍속은 매년 3m/s 이상으로 4000시간에 달함. 일부지역은 연평균 풍속이 7m/s에 달함.

  

 ㅇ 풍력발전은 중국에서 발전속도가 가장 빠름.

  - 2008년 중국은 이미 100여 개의 풍력발전기지를 건설했음. 2008년 말 기준 중국 풍력발전설비 용량은 1215만3000㎾로 세계 4위로 부상함. 풍력에너지설비 증가량은 625만㎾에 달하며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함.

  - 2008년 발표한 "재생가능에너지자원의 중장기계획"에 의하면 2010년에 이르러 중국 풍력 발전력은 2200㎾를 돌파할 것임. 풍력설비의 생산력은 연간 500만㎾가 가능하며 풍력발전 부품세트 연간 생산능력은 800만㎾에 달함.

 

 ㅇ 현재 국가에너지자원국에서 해상풍력발전 관련 계획을 배치하고 있으며 해상풍력발전은 향후 중국 풍력발전의 주요한 부분이 될 것임.

  - 중국 첫 해상풍력발전 시범프로젝트인 상하이 동해대교 100㎿ 풍력발전기지는 8월 초에 먼저 3대의 3㎿ 풍력발전기가 가동될 것임.

  - 이 프로젝트의 총 투자액은 23억 위앤이며 용량이 3㎿인 국산풍력발전기 34대를 설치했으며 총 설비용량은 102MW임. 2009년 상하이 엑스포 개막전에 연계형 발전은 완료돼 연간 전기공급량이 2.6억 도에 달해 상하이 40만 인구의 생활용 전기수요를 만족시킬 것임.

 

  ㅇ 중국 풍력발전설비제조업체는 2004년의 6개에서 2008년의 70여개로 증가. 그 중 국유 주식통제회사 27개, 민영기업 23개 및 20여개의  중외합작기업과 외국독자기업이 포함됨.

   - 풍력발전업체 3대기업인 화뤄이펑디엔(華銳風電), 진펑커지(金風科技)과 둥팡디엔치(東方電氣)의 시장점유율이 57%를 차지하며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함. 3대기업별 시장점유율은 각각 22%, 12%와 17%임.

 

2007~2008년 중국 10大 기업 풍력발전설비 시장점유율

(단위 : %)

구분

2008년

2007년

변화

화뤄이(華銳)

22

21

2

진펑(金風)

18

25

-7

둥팡디엔치(東方電氣)

17

7

10

Vestas

10

11

-2

Gamesa

8

17

-9

윈다(運達)

4

2

2

상하이전기(上海電氣)

3

1

2

밍양(明陽)

3

0

3

항톈안수넝(航天安速能)

2

2

1

GE

2

6

-4

기타

11

9

2

자료원 : 중국풍력에너지협회

 

  ㅇ 중국 풍력발전은 고속 발전단계에 진입. 지상 풍력발전설비의 최대 용량은 2mw이며 해상 풍력발전설비 최대 용량은 3mw에 달함.

   - 현재 중국은 메가와트급 풍력발전설비제조기술을 장악했으며 규모화된 생산력을 갖춤. 해외기술 도입과 자체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600㎾~1.5mw의 연계형 풍력발전설비 제조 가능.

   - 2007년 중국은 2mw 변속 풍력발전설비의 지적소유권을 획득했으며 이미 대량생산에 투입. 이는 중국에서 용량이 가장 큰 지상 풍력발전설비임.

   - 2009년 5월 화뤄이(華銳)는 중국에서 용량이 가장 큰 3MW 해상풍력발전설비를 제조해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

 

 

□ 원자력에너지

 

  ㅇ 2007년 중국원자력에너지 소비량은 14.2 Mt oil equivalent 이며 전년 동기 대비 14.6% 증가했으며 세계 총 소비량의 2.3% 차지.

2000~2007 중국원자력에너지소비량

(단위 : Mt oil equivalent)

구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소비량

3.8

4.0

5.7

9.8

11.4

12.0

12.4

14.2

증가율

11.8%

5.3%

42.5%

71.9%

16.3%

5.3%

3.35

14.5

주: 1t oil equivalent은 열에너지단위 1000만 C, 420억 J、4000만 Btu에 대응

자료원 : BP세계에너지자원통계2008

 

  ㅇ 원자력발전은 향후 중점 발전분야이며 현재 원자력발전의 년 발전량은 683.94억 ㎾시에 달함.

   - 20여년의 발전을 거쳐 중국원자력발전공업 기반이 형성됨. 현재 저쟝 친산(秦山),광둥 따야완(大亚湾)과 쟝쑤 톈완(田) 등에 원자력발전기지가 있으며 설치된 발전기 발전력은 897만㎾임. 2008년 원자력 발전은 중국 전기설비총용량의 1.3%에 불과하지만 원자력의 연간 발전량은 683.94억㎾시로 전국 발전총량의 2% 가량 차지함.

   - 현재 중국에서 운영에 투입한 투자업체와 운영업체는 중허그룹(中核集),중광허그룹(中廣核集), 중땐터우터우땐회사(中投核公司)등임. 2009년 중국은 여러 개의 원자력프로젝트를 착수할 예정이며 신규 원자력에너지 착수 규모는 840만㎾에 달할 것임.

 

2007~2010년 전국 원자력발전설비용량 현황 및 예측

(단위 : 만㎾)

2006

2007

2008

2009

2010

685

897

897

897

1097

자료원: 중국은하증권연구소(銀河證券硏究所)

 

 ㅇ 신에너지진흥계획에 따르면 2020년에 중국 원자력발전설비 총량이 8000만㎾에 달할 것을 요구. 중장기 에너지 수요와 구도로 보면 2030년에는 중국 원자력발전설비가 억㎾급에 도달해야 하며 백만㎾급의 원자력발전설비를 수백 개를 건설해야 함.

 

 ㅇ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의 협력계획이 시작됐으며 2050년 즈음에는 상업성 열핵융합발전시범으로 될 전망

  - 중국은 ITER의 자기밀폐방식 방식에 적극 참여하는 동시에 관성밀폐방식 등 열핵융합기술도 연구하고 있음.

 

 ㅇ 원자력발전기술은 100만㎾급 가압수형 원자로(PWR) 설계변경 연구가 완성됐음.

  - 중국은 자체로 30만㎾와 60만㎾의 가압수형 원자로(PWR)를 설계할 능력이 있으며 "자체 위주, 중외협력"의 방식으로 100만㎾급 상업용 가압수형 원자로 건설 능력도 구비

 

 

자료원 : 현지 언론 보도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산업기술] 중국의 그린에너지 산업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