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탈리아, 보트산업 발달 배경
- 경제·무역
- 이탈리아
- 밀라노무역관 정윤서
- 2008-12-22
- 출처 : KOTRA
-
이탈리아, 보트산업 발달 배경
- 오랜 역사가 바탕이 된 산업경쟁력, 관련 산업 전시회의 발달, 꾸준한 마리나 개발 등 -
보고일자 : 2008.12.22.
밀라노 코리아비즈니스센터
Claudio pellegatta·정윤서 jys0916@kotra.it
□ 세계 최고의 산업 경쟁력
○ 이탈리아의 보트산업은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음. 이탈리아 보트산업의 규모는 EU내에서 최대이며,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규모임. 전체 시장규모는 약 34억 달러 수준으로 집계되고 있음.
○ 이탈리아의 보트산업은 단순 제조업이 아니라, 다른 이탈리아의 고가 사치품과 같이 품질 뿐 아니라 브랜드로 시장은 선도해나가고 있음. 특히 메가-요트 시장에서 이탈리아 제품의 시장점유율은 매우 높아, 특히 메가-요트의 경우 전 세계 요트시장의 4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메가-요트란 전체 선박길이가 24m가 넘는 대형요트로, 전 세계 시장규모는 약 90억 유로로 집계되고 있음.
○ 메가-요트 시장은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는데, 2007년 총 발주 건수는 777건이었으나 2008년에는 902건으로 증가했음. 세계 10대 메가-요트 제조업체 중 5곳이 이탈리아 업체일 만큼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큼.
○ 이탈리아의 보트산업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10% 이상씩 성장해온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007년 역시 전년대비 19% 이상 매출이 증가했음. 이탈리아 보트 및 연관 산업이 이탈리아 경제에 기여하는 금액은 약 67억 유로 이상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이탈리아 보트산업 종사 기업 역시 대부분 가족경영으로 출발해, 기업을 다각화하기보다는 주력사업에 집중하는 전형적인 이탈리아 기업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음.
○ 이탈리아 베르가모현 Sarnico시에 위치하고 있는 Riva사는 1842년 Pietro Riva에 의해 설립됐음. 이후 1880년에 Pietro Riva의 아들인 Ernesto Riva가 가업을 이어 받아, 최초로 피스톤 엔진을 장착한 보트를 제작했음. 이후 역시 같은 집안의 Serafino Riva와 Carlo Riva가 기업을 이끌어 갔음. Serafino Riva는 자사보트의 최고 속력을 시속 24㎞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해 당시 수차례 보트경주에서 우승을 했으며, Carlo Riva는 1950년대 이 회사를 이끌며 품질·브랜드이미지 등을 제고시켜 현재의 Riva가 있을 수 있는 초석을 다졌음.
초기 공장 모습
○ 2000년에는 대형보트 기업인 Ferretti사가 지분의 100%를 인수해 계열사가 됐음. 2003년에는 La spezia에 65ft 이상 요트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공장을 새로 열기도 했음. 이 회사는 연매출 3300만 유로, 고용 380명의 중견기업이며, 본사는 여전히 창업이 이뤄졌던 sarnico시에 위치하고 있음.
Riva사의 최신 모델 92 duchessa
□ 자국 기업 수출 지원을 위해 보트산업 관련 전시회가 발달
○ 이렇게 발달된 산업을 홍보하기 위해 이탈리아에서는 다수의 보트관련 전시회가 개최되는데, 제노바에서 개최되는 제노바보트쇼·카라라에서 개최되는 seatec 등이 대표적인 사례임. 2008년 2008년 10월 4~12일까지 개최된 제노바보트쇼에는 1500개 이상의 업체가 참가했고, 2500척 이상의 보트가 전시된 것으로 집계되고 있음.
○ 2009년 2월 7~9일까지 카라라에서 개최되는 Seatec의 경우, 2008년에는 1만600명이 넘는 방문객이 다녀갔으며 865개 업체가 참가했음. 이렇게 이탈리아에 보트산업 관련 전시회가 발달한 배경은 이탈리아 보트산업이 매우 수출지향적 산업으로, 생산액의 약 59%가 수출되기 때문임. Seatec의 경우 전체 참가 업체의 70% 이상이 자국기업임.
□ 삼면이 바다인 자연 환경
○ 이탈리아가 이렇게 보트 산업이 발달 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삼면이 바다여서 해안선이 약 8000마일로 길고, 100개 넘는 크고 작은 항구가 있는 자연환경도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음. 이탈리아에는 45만 척의 레져용 보트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탈리아 교통부에 등록된 보트는 7만3000척으로 파악하고 있음.
○ 이탈리아 정부는 마리나 개발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는데, 2007년에만 3029개의 계류장이 새로 생겼음. 샤르데냐는 선석이 2007년에는 전년대비 18% 증가했으며, 시실리와 풀리아도 7%의 선석이 증가했음. 향후 몇 년간 이탈리아 정부는 남부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선석을 증가시킬 계획을 갖고 있으며, 캄파냐 지방과 샤르데냐 지방이 중점적으로 개발될 예정임.
□ 시사점
○ 이탈리아 보트산업은 이탈리아 기업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산업임. 가족경영 중심의 중소기업으로 구성돼 있고, 수출지향적인 성격이 그것임. 또한 최근 기업 대형화 추세에 따라 인수합병도 활발이 일어나고 있는 것도 현재의 이탈리아 기업의 특징을 잘 나타내준다고 할 수 있음.
○ 이탈리아 보트산업의 발달 과정 자체를 우리나라에 대입하기는 어려운 점이 많겠으나, 삼면이 바다로서 특히 남해안에 복잡한 해안선이 발달돼 있고, 조선산업의 기반이 튼튼한 점은 우리나라도 보트산업이 발달할 수 있는 기반은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음. 단 아직 국내 시장자체가 활성화돼 있지 않고, 유럽과 달리 우리나라 인근국가에는 아직까지 보트를 즐길 수 있을 만큼 경제적·문화적 여건이 성숙한 국가들이 부족한 것이 산업 발달의 장애가 된다고 볼 수 있음.
○ 하지만 최근 경기도·경남도 등 국내 지체들이 보트산업 발달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소득증가에 따라 보트시장도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 산업 발달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임.
자료원 : UCINA, RIVA, 현지 언론보도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이탈리아, 보트산업 발달 배경)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스페인, PLAN VIVE 자동차산업 지원 노력
스페인 2008-12-22
-
2
2009년 아르헨티나 시장, 이것이 바뀐다
아르헨티나 2008-12-22
-
3
이탈리아 보트산업 현황
이탈리아 2008-11-28
-
4
[금융위기] 2012 블라디보스토크 APEC 준비현황(예산절감)
러시아연방 2008-11-21
-
5
독일, 경기악화에도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 이어져
독일 2008-12-19
-
6
[기고] 美 정부 지원 프로그램 ‘ERC(직원 유지 혜택)’ 제대로 알기
미국 2023-05-25
-
1
2025년 이탈리아 자동차 부품 산업 정보
이탈리아 2025-05-23
-
2
2024 이탈리아 체외진단기기 산업 정보
이탈리아 2024-10-04
-
3
2024 이탈리아 우주 산업 정보
이탈리아 2024-07-14
-
4
2021년 이탈리아 제약산업 정보
이탈리아 2021-09-08
-
5
2021년 이탈리아 섬유·패션산업 정보
이탈리아 2021-09-07
-
6
2021년 이탈리아 농식품산업 정보
이탈리아 2021-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