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탈리아 보트산업 현황
  • 경제·무역
  • 이탈리아
  • 밀라노무역관 이정훈
  • 2008-11-28
  • 출처 : KOTRA

이탈리아 보트산업 현황

- 신규시장의 진출을 노리는 이탈리아 업체 -

 

보고일자 : 2008.11.28.

밀라노 코리아비즈니스센터

이정훈 tomas@kotra.it

 

 

□ 이탈리아 보트산업 특성

 

 ○ 이탈리아 보트산업은 세계 보트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호화요트산업의 경우 우수한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 호화요트 산업의 경우, 정치·경제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다른 사치품 분야의 매출경향과는 반대로 진행되는 특징이 있음.

 

 ○ 따라서 이탈리아 호화요트산업은 최근 국제적 금융위기의 영향을 가장 덜 받은 분야로, 2008년 올해 18%의 성장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남.

 

 ○ 이탈리아 전체산업 중 보트산업이 유일하게 전년대비 2007년 두 자리 성장률(12~14%)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남.

 

 ○ 이탈리아 보트산업에는 직접적으로 3만4500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전체 매출액은 국내총생산(GDP)에 50억 유로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이탈리아 보트 및 연관 산업의 규모(매출 기준)

 

 1. 전체 규모

 

 ○ 이탈리아 보트산업 전체 규모는 34억5080만 유로 규모이며, 이 중 전체의 86.46%를 차지하는 국내생산은 29억8358만 유로이고, 나머지 13.54%인 수입은 4억6722만 유로 규모로 이뤄져 있음.

 

 ○ 국내 생산 중 41.08%는 12억2562만 유로는 내수, 58.92%인 17억5796만 유로는 수출로 이뤄지는 매출액임.

 

 ○ 수출의 경우 EU회원국으로 53.36% 인 9억3806만 유로, EU 역외국으로 46.64%인 8억1990만 유로 상당의 교역이 이뤄지고 있음.

 

 ○ 수입은 주로 EU 회원국으로부터 3억5131만 규모(75.19%)를 해오고 있고, 이에 반해 EU역외국으로 부터는 1억1591만 유로(24.81%)의 수입이 이뤄지고 있음.

 

 ○ 2007년도는 전년대비 이탈리아 보트산업 전체 매출액이 19.57% 증가함.

 

 ○ 2007년 보트산업 수출의 호조로 무역수지 흑자시현

 

2005~06년 2년간 이탈리아 전체 보트산업

            (단위 : 백만 유로)

 

전체생산

수입

무역수지

내수

수출

2005년

1,175

1,346

365

981

2006년

1,226

1,758

467

1,291

변동률

4.31%

30.61%

28.01%

 

자료원 : UCINA 보고서

 

 2. 관련 부속품 산업

 

 ○ 이탈리아 보트부속품 생산에 종사하는 기업은 대부분 중소기업임.

 

 ○ 보트부속품 부문에 해당하는 제품으로는 부품, 항해용 의류, 선체 전자 계측장비, 엔진부품, 원자재, 발전기, 돛, 하선용 장비 및 기구, 수화물 운반대, 잠수 및 스포츠 낚시용 장비 등이 포함됨.

 

 ○ 2006년 보트 부속품 산업 전체 총 매출액은 13억8200만 유로로, 이 중 10억3200만 유로는 국내생산에서 3억5000만 유로는 수입으로 이뤄짐.

 

 ○ 10억3200만 국내생산 매출에서 3억6900만 유로는 수출로 인한 매출액임.

 

 ○ 수입 매출규모는 총 3억5000만 유로로, 이 중 2억100만 유로는 EU회원국에서, 1억4030만 유로는 EU역외국가로부터 수입이 이뤄짐.

 

 ○ 2006년은 보트 부속품부문은 전년도 무역수지 적자를 만회한 것으로 나타남.

 

2005~06년 2년간 이탈리아 보트부속품 산업

            (단위 : 백만 유로)

 

전체생산

수입

무역수지

내수

수출

2005

657

268

318

-50

2006

663

369

350

19

변동율

0.86%

37.56%

9.98%

 

자료원 : UCINA 보고서

 

 3. 엔진부문산업

 

 ○ 이탈리아 보트 엔진부문 산업 총 매출액은 4억3100만 유로이며, 이 중 국내생산분이 8100만 유로, 수입 3억5000만 유로로 이뤄져 있음.

 

 ○ 국내 생산분 중 5200만 유로는 수출로 인한 매출액이며, 엔진 수입 중 3억100만 유로는 EU 연합에서 4900만 유로는 EU 역외권에서 수입하는 걸로 나타남.

 

 ○ 보트 엔진의 경우 수입이 수출보다 많아 무역수지 적자를 시현하고 있음.

 

2005~06년 2년간 이탈리아 보트엔진 산업

          (단위 : 백만 유로)

 

전체생산

수입

무역수지

내수

수출

2005년

58

41

341

-242

2006년

29

52

350

-269

전년대비 변동률

-49.95%

27.73%

2.56%

 

자료원 : UCINA 보고서

 

 4. 이탈리아 총 등록 보트 수

 

 ○ 2005년 12월 31일자로 이탈리아에 총 등록된 보트는 7만3311대임.

 

 ○ 등록된 보트는 종류별로 다음과 같음.

 

보트(돛)

보트(엔진)

선박

합계

14,844

58,294

173

73,311

자료원 : 이탈리아 교통부 통계자료

 

□ 이탈리아 정부의 보트산업 및 보트쇼 관련 정책

 

 ○ 이탈리아 정부는 2007년 전년대비 두자릿수 성장을 기록한 레저보트 생산 증가에 힘입어 레저보트용 항만시설확충에 대한 특별방안을 확정할 예정

 

 ○ 이를 통해 보트 정박 시설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만족시키고 이와 연계해 선박관리, 숙박 요식산업 및 관련 관광산업이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특히 소규모 항구시설 개발은 지중해 연안 관광산업에 있어 필수적 요소이며, 활성화될 경우 이탈리아 남부지역 경제발전으로까지 이어지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알려짐.

 

 ○ 2009년 정부예산법을 통해 메가급 규모의 요트 항해에 관한 규제를 간소화시키고, 요트 렌트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함.

 

 ○ 지방정부도 보트산업진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Liguria 주의 경우 La Spezia시 마리나 시설의 남아도는 공간을 재활용해 관광보트산업을 육성화하며. 시 소재 대학 보트공학부 연구소 지원 계획을 가지고 있음.

 

 ○ 이탈리아 경제발전부와 보트산업협회는 최근 자국 보트산업의 세계화에 관한 협력 방안에 서명을 하고 이탈리아무역공사 ICE의 도움을 받아 2010년 상하이 엑스포 및 인도·브라질에서 열리는 중요한 보트전시회에 참가해 자국보트산업 홍보 및 해외시장개척을 강화할 것이라고 함.

 

□ 이탈리아 보트산업의 향후 전망

 

 ○ 이탈리아보트산업 협회장인 Albertoni에 따르면, 자국 보트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선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요소가 선과제로 수행돼야 한다고 함.

  - 항만기간시설 확충

  - 높은 품질의 서비스

  - 관련 조세법안의 개정

  - 환경 보호

 

 ○ 또한 관광보트산업에 있어 전통적 라이벌인 프랑스, 스페인뿐만 아니라 크로아티아, 터키의 부상하는 경쟁력에 대비해야 함.

 

 ○ 많은 수의 이탈리아 보트업체 80%가 수출에 의존하고 있으며, 기존 유럽시장에 집중하기보다는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을 공략하고, 카리브해 연안·멕시코·남미 지역에 자국보트 관련 업체 진출이 필요할 것이라고 함.

 

 

자료원 : 코리아비즈니스센터 실사, UCINA 연차보고서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탈리아 보트산업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