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우즈베키스탄 고무제 공기타이어 시장동향
  • 상품DB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무역관 한정선
  • 2025-07-07
  • 출처 : KOTRA

현지 생산 확대에도 한국산 타이어는 일정한 수요를 유지하며 시장 경쟁에 참여 중

고온 기후와 소비자 선호를 겨냥하는 제품 현지화 전략이 핵심

상품명 및 HS코드


HS CODE

상품명

4011.10

고무제 공기타이어(신품, 승용차용, 스테이션왜건, 경주자동차용)

4011.20

고무제 공기타이어(신품, 버스용, 화물차용)


시장 동향


우즈베키스탄의 자동차 타이어 시장은 최근 몇 년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차량 등록 대수의 증가이다. 우즈베키스탄 통계청에 따르면, 202411일 기준 등록된 전체 차량 수는 4,020,744대로 전년 대비 약 23% 증가한 수치이다. 이 가운데 승용차는 3,759,045대로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트럭은 240,917, 버스는 6,297, 미니버스는 9,102, 특수 차량은 5,383대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수도 타슈켄트시가 624,022대로 가장 많은 차량이 등록돼 있으며, 사마르칸트 지역이 448,702대로 뒤를 잇는다. 이러한 차량 보유 대수의 지속적인 증가는 타이어 교체 및 신규 수요를 견인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에서 타이어를 생산하는 업체는 Birinchi Rezinotechnika Zavodi 한 곳 뿐이다. 2019년에 설립된 이 공장은 국내 최초의 고무 제품 전문 생산시설로 연간 300만 개의 자동차 타이어와 20만 개의 농기계용 타이어, 10만 미터 길이의 컨베이어 벨트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고 있다. 20232월에는 소유권이 변경되면서 러시아 Tatneft 그룹의 타이어 사업 부문에 편입되었다. 기존 기술 파트너였던 중국의 Linglong TireDouble Arrow는 라이선스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는 대부분의 장비가 유럽 기준에 맞춰 재정비된 상태다. 장비 셋업에는 Aikon Tyres의 기술진도 참여한 것으로 전해진다. Birinchi Rezinotechnika ZavodiBars라는 자체 브랜드를 통해 승용차 및 상용차용 타이어를 생산하고 있으며, 주로 보급형 시장을 타깃으로 한다. 타이어 라인업은 12인치부터 18인치까지를 기본으로 하며, 최대 20인치 제품도 생산이 가능하다. Bars 브랜드는 승용차용으로 UZ310, UZ300, UZ200, UZ100, AZ110 , 상용차용으로는 XL607, UZ600, XL640, XL630, XL620 등의 모델을 생산 및 유통하고 있다. 2023년 한 해 동안 Bars 타이어는 우즈베키스탄 내에서 약 78만 개가 판매된 것으로 집계됐다. 자국 내 유일한 타이어 제조사로서 점차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해 가고 있다.

 

<Bars 브랜드 타이어 라인업>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0c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6pixel, 세로 20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0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5pixel, 세로 19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0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9pixel, 세로 19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0c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4pixel, 세로 213pixel

UZ310

UZ300

UZ200

UZ10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0c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77pixel, 세로 17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0c3420.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4pixel, 세로 19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0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6pixel, 세로 21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0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2pixel, 세로 196pixel

XL607

UZ600

XL630

XL620

[자료: Birinchi Rezinotechnika Zavodi 홈페이지]

 

수입 동향


우즈베키스탄의 고무제 공기타이어(HS Code: 4011) 수입은 최근 5년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TradeMap 자료에 따르면, 20202709만 달러였던 수입액은 2024년 기준 48016만 달러로 두 배 이상 확대되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2024년 기준 29740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라트비아, 슬로바키아, 한국, 러시아 등이 잇고 있다. 한국산 타이어 수입액은 2024년 기준 1408만 달러로 집계되었다. 슬로바키아와 리투아니아, 튀르키예, 인도, 체코 등의 유럽 및 아시아 국가들도 중위권 수입국으로 자리잡고 있고 일본과 브라질, 벨라루스, 네덜란드 등에서의 수입도 일정 수준 유지되고 있다. 수입국 다변화 흐름과 함께 일부 국가에서는 신규 진입도 확인되고 있다.

 

<고무제 공기타이어(HS CODE 4011) 상위 15개 국가 수입 현황>

(단위: US$ )

수입국

수입액

2020

2021

2022

2023

2024

전 세계

207,095

187,148

231,803

402,575

480,164

중국

95,945

87,219

156,227

236,426

297,407

라트비아

57,319

29,500

18,549

77,782

68,978

슬로바키아

29

4

5,225

18,790

40,511

대한민국

7,177

7,575

11,192

14,657

14,081

러시아

20,723

25,778

12,414

12,123

13,682

리투아니아

9,379

8,823

608

20,932

12,764

튀르키예

2,401

3,154

4,793

5,632

6,739

인도

341

362

473

1,009

4,833

체코

9,514

9,471

6,291

6,817

4,541

브라질

-

5

500

1,406

3,466

오스트리아

-

-

-

-

2,865

에스토니아

-

-

-

-

2,276

일본

118

8,787

462

255

1,482

벨라루스

858

1,032

1,317

1,609

1,381

네덜란드

90

174

387

428

1,164

[자료: TradeMap]

 

KOTRA 무역투자 빅데이터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산 고무제 공기타이어 수입은 최근 몇 년간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HS 코드 4011.10에 해당하는 승용차용 신규 타이어는 2020년 약 7016000 달러에서 202413095000 달러까지 증가했다. HS 코드 4011.20에 해당하는 버스·트럭용 타이어 수입도 202053000 달러 수준에서 2024년에는 785000 달러로 늘어나며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

 

<대한민국 고무제 공기타이어(HS CODE 4011.10, 4011.20) 수입 추이>

(단위: US$ )

HS CODE 4011.10

HS CODE 4011.20

[자료: KOTRA 무역투자 빅데이터]

 

경쟁 동향

 

<우즈베키스탄 내 고무제 공기타이어 주요 경쟁사 제품 및 가격 현황>

제품명

국가

사진

소매가()

소매가(달러)

All-season tires Lassa Multiways 195/65 R15, 4pcs

튀르키예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23pixel, 세로 572pixel

3,306,000

257

Summer tires, Kumho Solus KH16 195/60/R15, 4 pcs

대한민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89pixel, 세로 803pixel

3,116,000

242

All season MICHELIN 195/65 R15 95V XL Cross climate

이탈리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3.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9pixel, 세로 509pixel

8,372,000

651

All season Charmhoo 195/65/R15 tires, 4 pcs,

중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4.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2pixel, 세로 497pixel

2,829,000

220

All season, Nexen NPRIZ AHS 195/65 R15, 4 pcs

대한민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5.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00pixel, 세로 409pixel

4,758,096

370

Summer season, Hankook 185/65 R15 92T TL Kinergy Eco 2 K435, 4 pcs

대한민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6.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72pixel, 세로 930pixel

3,847,200

299

Yokohama BluEarth-Es ES32 195/65 R15 91V summer tire

일본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7.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0pixel, 세로 653pixel

4,083,200

317

Summer tires, PIRELLI, 195/65 R15 91V

러시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8.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2pixel, 세로 488pixel

3,326,400

259

Summer tires, Bars M777 195/65R15

우즈베키스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9.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38pixel, 세로 585pixel

2,663,876

207

[자료: www.glotr.uz, www.olx.uz, https://market.sello.uz, www.wildberries.uz 등 온라인 플랫폼]

 

유통구조


타이어는 주로 공식 수입업체와 딜러를 통해 유통되며, 타슈켄트의 Sergeli Farkhadskiy 등 대형 자동차 부품 오픈마켓에서도 활발히 거래되고 있다. 최근에는 olcha.uz, sello.uz, wildberries.uz 등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유통도 빠르게 확산되는 추세다. 이러한 유통 채널의 다변화는 지역 소비자 접근성과 브랜드 인지도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우즈베키스탄 고무제 공기타이어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관세

특별소비세

부가세

인증 유형

4011.10

20% 또는 개당 최소 5달러

없음

12%

우즈스탠다드(Uzstandard) 적합성 인증서

4011.20

[자료: customs.uz, lex.uz]

 

시사점


우즈베키스탄의 타이어 시장은 내수 수요 증가와 함께 현지 생산 기반이 점차 확대되면서 구조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국내 유일의 타이어 생산업체인 Birinchi Rezinotechnika Zavodi2024년부터 GM UzbekistanDamas 모델에 Bars 타이어를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올해 말까지는 Chevrolet TrackerOnix 차량에도 적용이 확대될 예정이다. 현재 연간 약 300만 개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등 인접국으로의 수출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현지 제조업체의 입지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산 타이어는 여전히 일정한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현지 Hankook 공식 유통업체에 따르면, 사계절용과 여름용 제품이 주요 판매 품목이며, 전기차용 타이어(Nexen ION 시리즈)와 같은 특수 제품을 중심으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고 한다.

 

다만, 우즈베키스탄 타이어 시장은 소비자의 구매 성향과 유통 환경이 독특하기 때문에 현지에 맞는 소비자 분석과 유통 전략이 필수적이다. 여름철 고온 기후에 적합한 타이어가 요구되며, 소비자들은 '부드럽고 보기 좋은 타이어'와 같은 감성적인 요소를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또한, 바자르와 같은 전통 유통망의 영향력이 여전히 크다는 점은 진입을 고려하는 기업 입장에서 마케팅이나 브랜딩 전략을 수립하는 데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 아울러 타이어 개발부터 인증, 시장 출시까지 평균 1~4년이 소요되는 만큼 초도 장착(OE) 공급을 목표로 할 경우에는 장기적인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한국 기업의 경우 기존 브랜드 신뢰도와 유통 경험을 기반으로 현지 기후와 차량 구조에 맞춘 제품군을 확대하고 유통 채널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고온·건조한 환경에 적합한 전용 타이어 개발과 함께 현지 파트너사와의 협업을 통해 시장 대응력을 높이는 전략이 요구된다.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청, TradeMap, UN Comtrade, lex.uz, tarif.customs.uz, KOTRA 무역투자 빅데이터, 기업 홈페이지(https://www.brz.uz/), 온라인 플랫폼(www.glotr.uz, www.olx.uz, https://market.sello.uz, www.wildberries.uz), 현지 언론 자료, 현지 유통업체 인터뷰, KOTRA 타슈켄트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우즈베키스탄 고무제 공기타이어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