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성장 중인 파키스탄 커피 프랜차이즈 시장
  • 트렌드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강봉학
  • 2025-07-08
  • 출처 : KOTRA

차 문화의 변화 속 서구문화 유입으로 커피의 부상

단맛 선호하는 현지인 입맛을 고려한 디저트류 개발 필요

시장 동향 및 성장 전망


파키스탄은 오랜 시간 전통적인 차(Chai) 문화가 강한 나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커피 소비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커피 프랜차이즈들의 활발한 진출과 현지 브랜드의 등장으로 커피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주요 대도시를 중심으로 카페 체인점이 급증하고 있다. Statista 자료에 따르면 2025년 기준 파키스탄 커피 시장 규모는 약 2926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 중 1178만 달러는 가정용 소비, 1748만 달러는 외식 소비로 추정된다. 향후 5년간 연평균 약 7%의 성장률이 기대된다. 특히 직장인, 대학생, N세대 등 도시 청년층을 중심으로 커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수입 현황

 

파키스탄은 자국 내 고지대 일부에서 시험적 커피 재배가 이뤄지고 있으나, 상업화는 미비하며 커피 관련 가공 설비 역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커피 원두 및 제품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원두커피 (HS Code 09011100) 수입통계>

 (단위: US$ 천, %)

연번

국가

2021-22

2022-23

2023-24

점유율(%)

1

브라질

21.15

49.94

118.23

32.83

2

콜롬비아

23.99

18.71

65.45

18.18

3

과테말라

25.84

16.54

62.82

17.45

4

에티오피아

11.00

10.89

61.89

17.19

5

인도네시아

6.31

29.11

35.66

9.90

6

케냐

3.11

3.18

9.65

2.68

7

탄자니아

 

 

4.41

1.22

8

멕시코

 

8.99

1.96

0.54

9

호주

 

0.49

 


10

기타

9.22


 


11

총합

100.62

137.85

360.07

100.00

[자료: 파키스탄 통계청]

 

<볶은 커피 (HS Code 09012100) 수입통계>

(단위: US$ 천, %)

연번

국가

2021-22

2022-23

2023-24

점유율(%)

1

이탈리아

448.68

275.51

500.84

48.54

2

말레이시아

211.56

301.24

223.42

21.65

3

아랍에미레이트

180.12

213.41

86.15

8.35

4

미국

47.43

140.35

78.73

7.63

5

베트남

26.94

40.38

44.86

4.35

6

튀르키예

 

 

30.42

2.95

7

호주

 

2.6

21.438

2.07

8

캐나다

34.76

12.96

16.84

1.63

9

인도

 

4.03

11.24

1.09

10

영국

2.02

 

7.93

0.77

11

기타

21.98

188.40

10.10

0.98

12

총합

973.49

 

 

100.00

[자료: 파키스탄 통계청]

 

수입 제도 및 관세 현황

 

파키스탄의 커피 수입품에 대한 기본 관세는 11%, 판매세(GST)는 18%, 추가 관세 2%, 수입세 12%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다. 반면 전통 음료인 차에 대한 세율은 13%에 불과해 가격 경쟁에서 커피가 불리한 상황이다. 커피 시장 확대를 위해 일부 업계에서는 원자재 성격의 커피 제품에 대한 관세 완화를 요구하고 있다.

 

<커피 수입 관세율(%)> 

HS Code

관세 

판매세 

추가 관세 

수입세 

09011100

11

18

2

12

09012100

11

18

2

12

[자료: 파키스탄 통계청]

 

파키스탄에 진출한 주요 글로벌 커피 프랜차이즈


파키스탄에 진출한 글로벌 커피 프랜차이즈들은 전반적으로 본사 기준에 따라 높은 수준의 품질을 유지하고 있다. 품질 유지를 위해서 원재료 조달, 바리스타 교육, 기기 관리 및 매장 운영을 강화하고 있다. 특별히 브랜드별 경쟁이 강화함에 따라 기본적인 메뉴 제품을 유지하면서 파키스탄 일반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는 페이스트리와 샌드위치 등의 푸드 메뉴 개발이 진행되는 브랜드들도 있다.  


<주요 글로벌 커피 매장>

브랜드명

원산 국가

매장 수

매장 이미지

특징

Gloria Jean’s Coffees

미국

50


2007년 파키스탄에 진출함. 12개 도시에 최대 규모의 국제 커피 체인임.

커피, 다양한 핫/콜드 음료와 음식 제공

Second Cup

캐나다

44


2013년 프리미엄 커피숍으로 진출

커피, 라떼, 차가운 음료와 피자, 페이스트리 등 다양한 디저트 제공

Tim Hortons

캐나다

16


2023년 라호르에 성공적인 오픈. 주변 대도시로 확장 중임.

아이스드 캡, 도넛, 팀빗, 현지 입맛에 맞춘 차(Chai)와 샌드위치 제공

Coffee Bean & Tea Leaf

미국

27


2017년 캘리포니아 라이프 스타일 감성 재현을 위해 오픈

프리미엄 아라비카 원두와 직접 수확한 차잎으로 로스팅. 블렌딩한 수제 커피 제공

Costa Coffee

영국

3


2022년 라호르에 첫 오픈

시그니처 블렌드 커피, 다양한 음료 및 음식 메뉴로 프리미엄 커피 경험을 지향.

Coffee Planet

아랍에미리트

4


2012년 파키스탄 진출함.

100% 아라비카 스페셜티 커피, 과일 칠러, 스무디, 디저트와 페이스트리 제공

Cinnabon

미국

10


2010년 라호르에 첫 오픈

마카라 시나몬과 크림치즈 프로스팅 기본 제품에 커피를 포함 다양한 음료 공급

 [자료: 커피 브랜드 홈페이지]


로컬 브랜드는 품질 면에서는 글로벌 브랜드에 미치지 못하지만, 가격경쟁력을 기반으로 빠르게 시장을 확장 중이다. 다만 중소도시 진출에 있어 마케팅 및 브랜드 전략이 아직 미흡한 편이다.

 

<파키스탄 로컬 커피 프랜차이즈 매장>

브랜드명

매장 수

매장 이미지

주요 도시

Butler’s Chocolate Cafe

3


카라치, 라호르, 

이슬라마바드

Esquires Coffee

4


라호르, 이슬라마바드

Mocca Coffee

5


라호르, 이슬라마바드

Chai Kada

2


라호르

Espresso

4


카라치

Coffee Wagera

13


카라치

[자료: 커피 브랜드 홈페이지]


인터뷰

 

글로리아 진스(Gloria Jean’s) 라호르 Jail Road 지점의 매니저 Ahmed Ali 씨는 "현재 주 고객층은 청년 및 직장인이며, 가족 단위 방문도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파키스탄 내에서도 호주 및 아랍에미리트와 동일한 품질의 커피를 제공하고 있다"며, 향후 5년간 연 15~20%의 성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현재 약 50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품질 유지를 위해 바리스타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진출방안 및 시사점


파키스탄은 2억 4000만 명의 인구를 보유한 세계 5위의 대형 소비시장으로, 커피 수요는 도시 지역을 넘어 농촌 지역으로도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현지 소비자는 단맛을 선호하는 특성이 강해, 페이스트리나 스위트 기반 메뉴 현지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보인다. 커피 관련 고관세 구조를 고려해 현지 가공시설 설립, 바리스타 교육센터 운영, 브랜드 협업 등을 통한 시장 진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자료: 파키스탄 통계청, 현지 커피 브랜드 웹사이트, Statista, KOTRA 카라치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성장 중인 파키스탄 커피 프랜차이즈 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